모바일 컨텐츠 이야기


Mobile Wallet 시장 현황과 티머니


해외 세미나들의 최근 주제들

아무리 바쁘더라도 관심있는 해외의 몇몇 정기적인 세미나들은 내용까지는 아니더라도, 어떠한 주제들이 논의되는지에 대해서 계속해서 주시하고 있다. 국내 Web 2.0의 무수한 세미나처럼 세미나 안에서만 머물수도 있지만, 어느 순간 시장을 지배하는 이슈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아직까지도 iPhone 폭풍과 앱스토어에 머물고 있는 국내 세미나와는 달리 최근 해외 세미나들은 소수 몇개의 키워드보다는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그만큼 모바일이 전방위에 걸쳐서 관심을 받고 있다는 뜻이다. 그 중에서도 겹치는 주제들이 있는데, 그 중에 하나가 바로 '모바일 지갑(Mobile Wallet)'이다. mobizen은 국내이던 해외이던 아직까진 모바일 지갑은 시기 상조라고 생각하지만, 뭔가 준비를 해야할 필요성과 현재의 시장을 돌아보아야 할 필요를 느낀다.



성장하는 것은 분명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는 Ovum에서 발표한 최근 보고서로 모바일 지불 시장을 어플리케이션별로 구분하여 추이를 예상해 본 것이다. 현재는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Mobile Shopping이 시간이 지날수록 비중이 줄어들며, Money Transfer와 Contactless Payments은 빠르게 성장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복잡한 사업자의 이해관계

사용자 삽입 이미지

Mobile Wallet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복잡한 사업자들의 이해관계가 얽히게 된다. 기본적으로 개인의 현금이나, 신용카드, 은행 계좌로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의 Mobile Wallet Acount는 금융사업자, 이통사, 또는 3rd Party 사업자에 의해 실행이 되어지고, 이를 통해서 다양한 곳에 사용되어 진다. 사용처는 현금이나 신용카드, 계좌 등을 대신할 수 있는 모든 곳이 대상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근들어 Mobile Wallet 사업에 뛰어드는 사업자들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주요사업자들은 이통사, 단말사, 플랫폼사, 금융권 등으로 구분되어 질 수 있으며, 위 그림은 mPay connect에서 정리한 각 플레이어별 주요 사업자들이다. 시장이 열리기도 전에 이러한 대형 사업자들이 활발하게 움직이는 것은 'Mobile Wallet'에서 헤게모니를 선점하면, Mobile에서 Cash의 흐름을 주도할 수 있으며, 현재의 신용카드의 영역을 Mobile Wallet이 상당 부분을 잠식할 수 있다는 미래 비전 때문이다.



국내의 티머니

국내에서 이러한 Mobile Wallet 역할을 하는 대표적인 서비스가 바로 '모바일 티머니(T-Money)'이다. 티머니는 교통카드나 전자화폐로 사용될 수 있는 스마트카드이며, 이러한 카드가 USIM이나 뱅크온칩 등에 들어가서 휴대전화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 '모바일 티머니'이다.

한국스마트카드와 SKT가 지난 2007년 3월에 제휴해 첫 사용화한 모바일 티머니는 SKT T cash, KT T money, LGT T money 라는 브랜드로 각각 서비스되고 있으며, 지난 09년 9월, 가입자가 100만명을 돌파하였다. 모바일 티머니 결제건수는 지난 110만건에서 6월에는 430만건으로 급증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바일 티머니가 성장하는 것은 전국 5만여개의 다양한 가맹점 수와 신용카드 사용이 어려운 소액결제 시장을 공략했기 때문이다. 모바일 티머니는 자판기, 관광지 매표소, 공공주차장등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실제 평균 건당 결제액수는 약 2500원으로 알려져 있다.



아직은 미완성

그렇다고 현재 Mobile Wallet 시장이 활짝 펴있다고 할 수는 없다. 모바일 티머니를 이용한 결제 금액은 현재 월평균 80억원 정도로 아주 크다고 할 수는 없다. 80억원이 매출일 뿐 실순익은 극히 낮고 아직은 투자 비중이 높은 사업이다.

대형사업자아니면 쉽게 뛰어들 수 없을만큼 투자비용이 높은 것도 장애요인이다. 대형사업자들이 얽혀 있는 지금과 같은 사업구조에서 제휴가 얼마만큼 원활하게 이루어져 시장을 키울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하지만, 엔터테인먼트와 정보 위주의 현재 모바일 서비스 시장에서 다양성을 갖는다는데 의미를 둘 수 있을 것이다.
2009/10/21 08:14 2009/10/21 08:14
top

  1. 김영주 2009/10/22 16:13 PERM. MOD/DEL REPLY

    오늘 처음 방문했습니다. 정말 보물을 발견한 것 같습니다.
    올리신 글 다 읽을려면 몇일을 보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계속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2. fifa7002 2009/12/21 10:52 PERM. MOD/DEL REPLY

    금일도 좋은 글을 본 것 같습니다.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성장기에 들어설 모바일 금융 서비스 #1


1. 들어가는 글

모바일 업계에는 뭔가 터질 듯 터질듯 하면서도 절대로 터지지 않는 몇가지 아이템이 있는데 그 중에 하나가 모바일 금융 서비스(Mobile Financial Service)이다. 모바일 금융 서비스가 터지지 않는데에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지만 근본적인 것은 은행권 및 대형 신용카드사들이 자리잡고 있는 텃세를 이통사들이 허물기에는 힘이 벅차기 때문이다. 다른 사업군과 같이 슈퍼'갑'이 될 수 없으니 관심은 있지만 버려두고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점차로 기존 사업자들도 모바일 금융 도입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며 SIM이나 스마트카드를 통한 인증의 방법도 다양해지면서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는 Mobey Forum을 통해서 다양한 연구가 되고 있는데 아래 그림이 Mobey Forum에서 내어놓은 모바일 금융 서비스의 개념도와 세부 서비스들이다. 어떠한 종류가 있고 어떠한 서비스가 있는지 한눈에 알기 쉽게 표현이 되어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 모바일 뱅킹과 지급결제 서비스

위에서 4가지로 나눈 큰 카테고리 중에서 실제적인 구분은 모바일 뱅킹(Mobile Banking)과 모바일 지급결제(Mobile Payment)로 나눌수가 있다. 이번 시리즈 포스팅에서는 이 두가지 측면을 중점으로 살펴보기로 하겠다.
 
모바일 뱅킹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이루어지는 은행 서비스"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아래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바일 지급결제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물건이나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하는 것"이라고 정의되며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아래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3. 시장 분석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장의 상황은 날이 갈수록 좋아지는 것이 사실이다. Master Card 사등이 시행한 사용자 설문에 따르면 모바일 금융 서비스에 대해서 사용자의 요구가 점차로 증가되고 있다고 조사되고 있다. "Mobile ATM"으로 대변되는 이러한 금융 서비스는 금융 사업자와 사용자 모두에게 편안하고 비용을 절감시킨다는 장점이 부각되고 있다. 또한 USIM과 스마트카드 등이 일반화되면서 인증이 쉬워졌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보안 기술이 향상된 것도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네트워크 인프라와 플랫폼을 제공하는 이동통신사와 실제 계정과 계좌, 돈을 소유하고 있는 기존 금융사간의 힘겨루기가 큰 장애요인으로 작용한다. 모바일 금융으로 이루어지는 서비스의 주체가 불명확해지면서 이윤 분배에서는 우위를 가지고 싶어하고 정작 고객 서비스 등과 같은 일은 서로에게 미루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 기술적으로 표준화가 미비한 상황에서 비슷한 일에 중복 투자하는 것도 큰 문제이다.



4. 시장 전망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장조사 기관 Juniper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모바일 금융 서비스는 계속적인 증가세를 보이며 2011년에는 이용자 수가 6억 1,200만명까지 증가할 것이며 거래 규모 또한 5,870억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표를 보면 극동 지역과 중국의 성장이 아주 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러한 갑작스러운 모바일 금융 서비스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정비된 금융 시스템과 관련 규제법을 미리부터 준비하고 도입에 속도조절이 필요할 것이다.
2008/04/11 13:42 2008/04/11 13:42
top

  1. 앗싸뵹 2008/04/14 09:58 PERM. MOD/DEL REPLY

    모바일 뱅킹 서비스에 관해서는,
    국민은행이 KTF에서 공인인증서를 탑재했다는 기사를 얼마전에 봤습니다.
    직접 써보지 않아서 실체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앞으로 모바일 뱅킹 서비스는 공인인증서를 탑재하는 방향이 주가 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또, 이렇게 인증서 탑재쪽으로 방향이 모아지면 모바일 뱅킹 서비스 분야에서는 이통사나 기타 서비스 제공사가 끼어들 여지가 극히 적지 않을까요?

    mobizen 2008/04/14 13:00 PERM MOD/DEL

    ㅠ.ㅠ 시리즈 후반부에 제가 할 이야기를 앗싸뵹님께서 다 해버리시네요.
    맞는 말씀입니다. 그리고 이미 처음부터 모바일 뱅킹은 이통사 주도형이 아니라 기존 금융권이 힘을 더 많이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것때문에 많이들 싸워댔었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