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컨텐츠 이야기


이동통신 요금할인 상품 현황


경제가 불황일수록  요금할인 상품에 대한 사용자들의 관심은 높아지고, 이동통신사 역시 그러한 소비 심리를 잘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요금할인 상품은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저렴한 가격으로 통신 서비스를 사용하고, 기업의 입장에서는 고객 충성도를 높인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이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동통신의 요금할인 상품에 대한 시장 트렌드를 가볍게 리뷰해보록 하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동통신 전문 리서치기관인 마케팅인사이트에서 2008년 9월 실시한 제8차 이동통신 기획조사(표본규모 7만6천명)에 따르면 전체 이동통신 시장에서 29.1%가 요금할인 상품을 이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SKT와 LGT의 가입자 중 약 32%가 요금할인 상품을 사용하는데에 비해서, KTF 가입자는 22.2%만이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KT-KTF 그룹이 그동안 다양한 요금할인 상품 개발에 무심했음을 알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요금할인 상품으로는 크게 약정 할인, 가족할인, 지인 할인, 망내 할인, 결합상품 할인 등이 있다. 마케팅인사이트의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사용자들은 약정 할인과 가족 할인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KT+KTF가 합병하면서 그토록 기대하고 있는 결합상품 할인과 망내 할인은 사용자들의 관심을 못받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약정할인은 빠른 속도로 증가

2009년 4월 1일이 되면 시행 1년을 맞게 되는 의무약정제 가입자는 현재 전체 이동통신의 27.3%를 차지하고 있다. 의무약정제 도입이후 신규가입(번호이동포함) 고객의 90% 이상이 의무약정제에 가입하면서 이 수치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추세대로라면 2009년 말이 되면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의 50%이상이 장기 약정으로 인해, 하나의 이통사에 묶이게 될 것으로 보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통사별 수치를 보면 상대적으로 다른 요금할인 상품이 빈약한 KTF의 경우에는 의무약정제에 의한 가입자가 현재 30.5%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고, 약 6백만명의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는 SKT가 가장 많은 가입자수를 가지고 있다.


가족 할인 역시 증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장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가족 통신비를 아끼는 가장 좋은 수단은 가족전체가 할인을 받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가족 할인 역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SKT의 온가족 할인 누적 가입자수가 2008년 12월의 256만명에서 약 2개월만에 46만명이 증가하였다. 이는 순증가입자수가 월 27만명에 해당한다.


결합상품의 인기는 다소 주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거대 통신사들이 합병을 하는 이유 중에 하나가 바로 결합상품에 대한 기대때문이지만 실제 시장 반응은 결합상품에 대해 다소 주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 2월 KT+KTF의 결합상품 누적 가입자수는 203만4,000명으로 2개월 전인 2008년 12월 대비 약 18만명 증가하였다. 이러한 수치는 올해 평균 순증 가입자수가 약 9만명에 그친 것으로 2008년 하반기 이후 순증 가입자수가 월 15만~22만명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증가세가 크게 둔화된 것이다.

SK계열의 결합 상품은 더욱 심각한데, 2008년 12월 142만1,000명에서 2009년 1월 142만3,000명으로 불과 2,000명 밖에 늘어나지 못했다. 이는 대부분의 결합 상품이 인터넷, VoIP, IPTV 등 다양한 제품을 함께 구성을 해야 할인율이 커지는데, 이러한 다양한 제품을 기존에 사용하지 않았다면 추가 비용이 생기게 되는데, 이를 부담스러워 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망내할인은 더욱 심각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망내할인쪽은 성장 속도가 더욱 심각하다. SKT의 망내할인 가입자수는 2008년 12월 247만6,415명에서 2009년 2월 250만 2,493명으로 2개월 동안 3만명 늘어나는데 그쳤다. KTF역시 77만명에서 78만명으로 불과 1만명만 증가하였다.


할인요금에는 음성통화만 고려

위와 같은 다양한 요금 할인제도의 가장 큰 장점은 고객들은 장기간 충성도 높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이동통신사는 이러한 충성도 높은 고객을 좀더 만족시키고 미래가치적인 서비스로 유도해낼 필요가 있다. 과연 이동통신사는 그런 중장기적인 전략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 아니면, 천문학적인 마케팅비를 써가면서 고객 뺏기에만 매달리고 있는 것일까?

이동통신사는 미디어 그룹을 꿈꾸고 있다. ARPU를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무선 Data를 활성화하는 것이 중장기적인 해답이라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요금할인 상품에는 무선 Data 요금이 고려 대상에 빠져 있다. 오로지, 음성통화만을 고려하고 있는 것이다.

도대체 2년 동안 5만원 이상의 음성통화가 필요한 고객이 얼마나 된다는 말인가? SMS나 Data Packet을 포함시키거나 요금제를 다양화해서 이왕 할인해주는 것, 현실적이고 미래가치가 있는 곳으로 유도하는 것이 그렇게 힘든걸까? 그들은 정말 미디어 그룹인가?
2009/03/23 08:10 2009/03/23 08:10
top

  1. 얼음집 2009/03/23 09:58 PERM. MOD/DEL REPLY

    아마도 미디어 그룹이라기 보다는 수익에 충실한 그룹이라서 그렇겠지요 ^^;;
    시장을 재구성하려면 작지만 혁신적이고 파괴적인 시도가 필요하지만 그걸 실제로 실행하는 회사는 드물지요. 특히나 시장을 선점하는 대기업이라면 더욱 더.

    mobizen 2009/03/23 11:14 PERM MOD/DEL

    네.. 맞는 말씀입니다. 다만, 아쉬움이 조금 남네요.. ^^

 

이동통신사 선택 기준


모바일 산업에서 S/W보다는 H/W가 더 발전을 했고 일반 사용자들의 관심이 높은 듯 하다. 이러한 영향 때문인지 H/W에 대해서는 다양하고 재미난 설문이 꾸준히 진행되고 이를 전략에 반영하는데 반해 S/W나 컨텐츠는 상대적인 데이타의 빈곤감에 허덕인다. 가장 대표적인 항목이 "핸드폰을 살때 고려사항"과 "이동통신사를 선택할 때 고려사항"이다. 핸드폰을 살때의 고려 사항에 대한 설문은 지속적으로 계속되고 있는데 이동통신사 선택시의 고려사항은 대체로 찾기가 힘들다.

그나마 가장 접하기 쉬운 자료가 쇼핑포털 다나와(www.danawa.com)가 2006년 11월29일부터 12월31일까지 1,123명을 대상으로 "가장 선호하는 이동통신사와 그 이유"에 대한 설문자료이다. 설문의 대한 응답은 아래와 같으며 전체 응답자의 71%가 SK 텔레콤을 가장 선호한다고 대답했으며, KTF와 LG 텔레콤은 각각 19%, 10%로 조사됐다.
위의 자료에 대한 언론 보도 자료를 보면 대부분 "이통사 선택은 통화품질"이라는 제목으로 소개되고 있다. 다소 의외의 결론이다. '가격'이 가장 높을 것 같은데 그게 아닌가 보다. 이는 국내 사용자들의 SKT라는 브랜드에 대한 호감이 높기 때문인데 SKT가 마음에 든다기 보다는 KTF와 LGT에 대한 반감의 효과가 아닐까 싶다. SKT가 가지고 있는 시장점유율을 고려해보고 위의 설문에서도 알 수 있듯이 호감도가 71%라는것을 고려하면 '사용요금'보다는 다른 항목이 더 높게 나오는 것이 당연하다.

실제로 수많은 기술적인 자료에서 이통 3사의 통화 품질이 크게 차이가 없다고 증명을 해보여도 'LGT는 확실히 시골에서 안 터진다'는 사용자들의 인식을 바꾸기에는 뭔가 역부족이었던게 있는 것 같다. 시장 점유율에서 낮은 KTF와 LGT의 사용자들은 상대적으로 SKT의 통화 품질과 다양한 혜택보다는 가격면에서 유리한 타 이통사를 선택했으니 이러한 설문에서 '통화요금'이 월등히 높게 나오는 것이다.

그렇다면 최근에 와서는 어떠할까? 일반인들은 3G에서는 SKT와 KTF가 별반 차이가 없는 것으로 SHOW 마케팅에 의해 길들여져 있고, OZ때문에 얼리아답터를 중심으로 하는 프로슈머 그룹에서는 LGT의 이미지도 상당히 좋아지고 있는 편이다. 이말은 상대적으로 SKT 그룹 이미지가 예전과 다르지 않다라는 것을 의미한다. '국가별 핸드폰 기능 사용 선호도' 포스팅에서 소개했던 ABIResearch 자료 중에 해당 항목을 재구성을 해보면 아래와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외국 리서치 기관에서 진행한 설문이니만큼 지역적인 고려사항이 없었기 때문에 100% 신뢰하기는 다소 무리가 있지만 '통화요금'에 대한 사용자의 기준이 월등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가격에 대한 사항은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항목이다. 단 두개의 설문 결과로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는 있지만 예전에는 사용자들이 기업 브랜드효과에 의한 선택을 했다면 현재는 실리를 택하고 있다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점차로 서비스나 컨텐츠와 같은 다양한 무선 데이타가 주는 가치로 서서히 이동할 것이다.

또 하나 특이한 사항은 지인들과 동일한 통신사를 쓰기를 희망한다는 항목이 2위라는 것이다. 이는 망내 할인과 더불어 가족 할인등 다양한 할인 제도와 마케팅 때문인 듯 하다.
2008/07/21 13:23 2008/07/21 13:23
top

 

국내 이통사 ARPU 추이


서비스 사업자 입장에서 ARPU의 중요성은 가장 기본적인 것이다. 더구나, 대형 서비스 사업자들이 IPTV 또는 유선 사업자와의 결합을 시도하면서 지속적인 대규모 자본이 필요한 이때에 외형적인 가입자 늘이기 보다는 ARPU 증대에 힘을 쏟아야할 시점이다. 문제는 음성 통화는 VoIP및 유선 전화, 메신저를 이용한 화상 채팅 등 다양한 경로의 채널들이 생겨나면서 성장이 이미 멈춘 상태이고, 데이타 통신이 해법이라는 것은 이통사도 잘 인지하고 있다. 문제는 Killer에 대한 아쉬움이다.

3G 시대를 맞이하여 국내 이통사 중에 1위와 2위 사업자는 이러한 Killer로 '영상 통화'를 내놓았다. 처음에는 Killer Service를 발굴하기 까지 준비기간이 필요하여 대체 수단으로 '영상 통화'로 포커스를 맞추는 것으로 생각했으나 지금까지도 대부분의 광고전에서 사용하는게 '영상 통화'인 것을 보니 이통사들은 정말로 '영상 통화'를 Killer라고 생각하는 듯하다. 그러나 어쩌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렇게 생각을 안하는걸..

사용자 삽입 이미지
분기별 발표때마다 이통사 발표자를 애먹이는 질문이 바로 이 ARPU 부분이다. WCDMA가 되면 데이타 통신이 증가해서 ARPU가 올라가야 하는데 이 ARPU가 도통 올라가지를 않는 것이다.

그때마다 발표자는 '조금만 기다리면 올라간다'라고 한다. WCDMA 가입자수가 아직은 전체 ARPU를 올리기에는 부족하지만 WCDMA 가입자들의 ARPU는 높다라는 것이다. 왼쪽 이미지는 2008년 2월 19일날 KTF의 CEO Conference에서 발표되었던 자료로 이통사들의 이러한 논리를 정당화해주고 있다.

전체 ARPU의 경우 CDMA 가입자에 비해 24%가 높고, 데이타 통신의 경우 90% 가까운 수치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그들의 성적표는 이러한 그들의 논리가 먹혀들어가기에는 아직 턱없이 부족해 보인다. 아래는 이통사들의 발표자료를 기준으로 해서 서울경제신문에서 재구성한 자료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통 3사 모두 ARPU 그래프가 전반적으로 하강곡선을 아주 위험하게 그리고 있다. 한동안 성장세를 보였던 LGT마저 다시 내려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데이타 통신쪽 ARPU는 어떠할까? 아래는 발표자료를 기준으로 재구성을 해본 표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러한 결과의 원인은 2007년 10월에 있었던 각 이통사들의 '망내할인'전쟁을 시작으로 하여 2008년 1월에 실시되었던 SMS의 가격 인하이다. KTF의 곡선이 그나마 완만한 하강을 그리고 있으며 LGT는 심각할 정도이다. 2007년 11월에 포스팅했던 ARPU 추이 자료와 비교를 해서 보면 이러한 하강 곡선의 심각성을 더 잘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LGT는 OZ의 활성화를 위해 월 6천원의 'OZ 무한자유' 요금제를 내놓았고, 위기를 느낀 SKT는 월 만원의 '데이터 퍼펙트 정액제'를 내놓았다. 이러한 이유로 당분간 ARPU는 지속적으로 하강곡선을 그릴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통사들은 아직도 위기 탈출의 해법으로 '영상 통화'만 바라보고 있는걸까? 우리에겐 풀브라우저보다는 모바일 RSS Reader, 모바일 Mail Client 같은게 훨씬 더 필요하다고..
2008/04/23 10:25 2008/04/23 10:25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