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컨텐츠 이야기


PC Web, Full Browsing, 그리고 Mobile Web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바일 산업의 흐름이 빠르다는 것은 변화하는 Keyword를 보면 실감할 수 있다. 불과 얼마전까지 모든 컨퍼런스와 미디어를 휩쓸던 'Full Browsing'이라는 용어는 더 이상 Sexy함을 잃어버린 단어가 되어 버렸다. 산업에서는 여전히 브라우저의 퍼포먼스는 고민거리이고, 사용자의 사용은 늘어나고 있지만 더 이상 Full Browsing에 대한 고민을 공개적으로 하지는 않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렇게 'Full Browsing'이 신선함을 잃은 것은 모바일 기기에서 PC Web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 옳은 접근이 아니라는 것을 그 동안의 경험을 통해 얻어내었기 때문이다. mobizen 역시 Full Browsing에 관심이 높았었고, Mobile Web Site를 따로 구축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기술의 발전과 사용자 경험이 쌓일 때까지의 사용성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중간 과정'이라고 생각했다. 그러한 이유로 Google의 Text위주의 사이트 구성과 트랜스코딩, Web Toolkit 기술을 선망의 대상으로 바라보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웹서비스 사업자 입장에서는 미래를 위한 투자임은 분명했지만, 당장 큰 돈이 되지 않는 모바일에 많은 투자를 하는 것이 부담스러웠다. 이에 대한 논쟁은 답이 없었고, 사업자들은 3가지 방향성을 가지고 선택을 하게 된다. 첫째, Mobile Web을 따로 개발하는 것. 둘째, Google과 같이 PC Web을 경량화하는 것. 셋째, Full Browsing으로 소극적인 대응을 하는 것.

3가지 옵션을 고려하는 것은 모두 기술이 발전되고 사용자의 경험이 쌓이면 모바일 브라우저의 사용성이 높아질 것이라는 예상이 바탕이 깔려있다. 그리고, 여기에 대해 초기에 동의했던 mobizen의 생각이 점차 바뀌고 있다. 정말 많은 이들이 생각했던 것처럼 PC Web과 Mobile Web은 사용성의 차이이고, 극복되면 모두 동일한 View를 가지게 될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요즘과 같이 Touch와 Smart Phone의 발전이 빠르게 되는 근래에는 사용성에서의 차이는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실제 Nerdery Interactive Labs에서 조사한 보고서에 의하면 Touch 스크린을 지원하는 Smart Phone의 브라우저 사용성은 Desktop 브라우저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실제 iPhone, 넥서스원, HTC HD2 등과 같은 단말들에서의 브라우징은 PC와 비슷한 사용성을 경험할 수 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바일은 단순하게 사용성이 떨어진 PC로 보아서는 안된다. Mobile Web은 PC보다 작은 화면으로 달라지는 CSS와 Layout 수정으로 만들어지는 Site가 되는 것을 지양해야 한다. PC에서 줄 수 없는 Edge를 살리는 것이 중요하다. 위치(GPS), User Profile, 카메라모듈, 주소록 등의 자원을 이용하고, PC와는 다른 사용자의 이용 패턴을 통해 PC Web이 주는 정보와는 다른 것을 사용자에게 전달해야 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정보 검색이 중심이 되는 PC Web과는 Mobile Web의 사용행태는 분명히 다르다. Nerdery Interactive Labs의 동보고서에서는 사용자들이 Mobile을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다른 사람과 지속적인 연락하기 위한 것으로 보고 되었다. 즉, Relation을 강화하기 위한 Communication Device로서의 Identity가 가장 큰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Mobile에 최적화된 Web Site는 Small LCD에 최적화된 CSS가 아니고, Mobile 사용 환경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mobizen은 이러한 서비스가  Contextual Web이라고 굳게 믿고 있다. 지금 우리들이 제작하고 있는 Mobile Web Site의 모습이 PC Web을 Small Screen으로 Optimize외의 차이가 있는지 한번쯤 돌아보도록 하자.
2010/01/19 08:39 2010/01/19 08:39
top

  1. 성지인 2010/01/19 14:18 PERM. MOD/DEL REPLY

    예전에 (벌써 2년 정도 되었나요...) full browsing에 대해서 말씀 드리기 위해 찾아뵈었던 때가 생각 나네요. 정말로 어느 순간인가 full browsing이란 말은 쏙 들어가버렸네요.

    '모든 기획은 단 하나의 열쇠를 가진 자물쇠를 푸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마찬가지로 모든 tool은 그 목적과 의미에 맞는 최적의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다고도 생각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공감이 많이 가는 글이네요...

    반면, '인터넷' 혹은 '네트워크'를 탐색하는데 매우 저차원적인 인터페이스를 지닌 www가 여전히 강세를 보이며 새로운 기술로 보완되어 가는 것만 봐도, 꼭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인터페이스가 채택(?)되는 건 아닌 것 같기도 하네요.
    (개인적으로 네트워크와 연결된 PC 스크린을 2차원적으로 활용하게 되는 가장 큰 원인이 www의 규약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어쨌거나 저쨌거나 "small screen is more smarter than big screen" 이 되어야만 할 것 같습니다. more smater 하려면 기존의 css 활용하는 형태로는 확실히 힘들어 보이기도 하네요.

    (정말 오랜만에 블로그에 덧글을 남기는 것 같네요 ^^ 항상 글 잘 보고 있습니다~)

    mobizen 2010/01/20 00:58 PERM MOD/DEL

    안녕하세요? 잘 지내시죠. 오랜만에 인사 나누게 되어서 반갑습니다.
    처음 인사드릴 때가 1년 약간 넘은 것 같네요. 그 때와 지금과는 상황이 너무 다른게 어리둥절하기도 하고, 재미나기도 하고 그렇습니다.

    시장이 점점 재미있어지니 슬슬 뭔가가 나올 것 같은 기대감이 높습니다. ㅎㅎ

  2. jy 2010/01/20 10:48 PERM. MOD/DEL REPLY

    항상 좋은글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글을 읽어보니 모바일 서비스를 만드는 사람들이 꼭 염두해야할 사항 인 것 같네요. 너무나도 공감합니다.

  3. 김호준 2010/01/24 19:23 PERM. MOD/DEL REPLY

    너무 글 잘 읽었습니다.
    무척이나 감명받았고 글 쓰신 분의 insight에 대해 존경을 표합니다 ^___^ 진심.
    지금 관련 공모전을 진행중이어서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거듭 감사 드립니다!

 

모바일 사이트 접속 방법과 접근성


무선 인터넷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다양한 서비스 주체들이 무선으로 진입하고 있는 이 때에 사용자들이 쉽고 빠르게 원하는 사이트로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고민이 많아지고 있다. 망개방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풀브라우징 서비스가 시작되면서 이러한 접근성에 대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 지고 있다. 사용자들이 흔히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WINC, 모바일 넘버, Open Net, 접속 이력, 검색엔진, Callback URL, QR 코드, URL 직접 입력 등이 있다.

그렇다면 여러 방법 중에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접속 방법은 어떠한 것일까? 국내 자료는 찾을 수가 없지만 국내 트렌드와 가장 비슷한 일본의 자료가 있어서 소개를 한다, 아래 자료는 2008년 7월 30일, 일본의 Net asia Research에서 발표한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mobizen 역시 국내에서는 크게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는 QR 코드를 제외하고는 위와 같은 순서로 무선 인터넷에 접속을 한다. 다른 분들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 예상한다

'즐겨찾기가' 가장 높다는 것은 접근성이 그만큼 높고 편하기 떄문이다. 하지만 위에서 볼 수 있듯히 현재 많이 사용되는 접속 방법은 모두 무선 인터넷 사용에 적극적인 사용자들에게 해당하는 이야기이다. 게다가 즐겨찾기의 경우는 매번 접속하는 사이트의 범위가 동일하다는 것이다.

이제 막 무선에 뛰어든 업체나 브랜드가 낮은 사이트 그리고 대다수의 사용자군이라 할 수 있는 'Passive한 사용자'들에게는 현재의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은 한계가 있다. 좀 더 노출이 쉽고, 다양한 접근 채널에 대해서 고민을 해야할 것이다.

상대적으로 'Web'이 발달한 국내 환경에서 웹사이트에 핸드폰 번호를 입력하면 Call Back 문자를 보내주는 방법등도 좋은 시도이긴 하지만 여전히 무선 인터넷에 관심이 없는 사용자를 유입하기에는 무리이다. 기본적으로 무선 인터넷 접속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이루어지므로 해당 디바이스에서 노출이 되어야 한다. 그러한 면에서 현재 '컨텐츠'로 접근하는 '위젯'의 Identity 또한 바뀔 필요가 있다. 위젯 외에도 노출 빈도가 높은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즐겨찾기'에 대한 사용빈도가 월등히 높다면 '즐겨찾기'의 관리에 대한 편리함도 중요하다. 그 좁디 좁은 핸드폰 안에서 '즐겨찾기'를 추가할 때의 답답함은 이루말할 수가 없다. PC 브라우저의 '즐겨찾기'와 동기화를 해준다던지, '즐겨찾기' 사이트들에 대한 관리를 Web을 통해서 한다던지.. 하는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해야 한다.

무선 인터넷의 활성화의 가장 기본은 '다양한 컨텐츠'이다. WAP과 VM 으로 대변되는 이동통신사 주도 형태에서는 이러한 것을 이제는 기대하기가 어렵다. 다행히도 무선 인터넷 환경은 현재 '개방'의 흐름을 잘 타고 있으며, 이동통신사의 무관심한 속에서도 좁디좁은 '풀브라우징'에 거대 포탈들이 움직여주고 있다. 이제는 '접근성'에 대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져야할 때이다. 그래야만, 이 기나긴 어두움의 터널이 끝날 수 있을 것이다. 조금만 더 힘을 내자!
2008/10/10 09:45 2008/10/10 09:45
top

  1. 조은숙 2008/10/14 13:17 PERM. MOD/DEL REPLY

    안녕하세요 김책임님 ..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근데 국내 폰에서는 즐겨찾기 추가가 어렵나요? 국외의 단말기에서는 즐겨 찾기가 웹가 비슷한 구조로 되어있는거 같았는데... 현 페이지에서 메뉴로 들어가 즐겨찾기에 등록 하면 추가가 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mobizen 2008/10/14 22:29 PERM MOD/DEL

    귀한 분께서 누추한 곳까지 찾아오셨네요. ^^

    어렵다 쉽다는 지극히 주관적입니다. 저희와 같이 날마나 핸드폰을 만지는 사람의 입장에서 URL 입력하고, 페이지가 보여지면 북마크 추가를 하는게 무척 쉬울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용자는 URL 직접 입력을 눌러야 하는 순간부터 귀찮아지기 시작합니다. 예전 WAP 브라우저로 사업자 포탈에서만 머물때는 Depth 이동을 하다가 마음에 드는 페이지 추가만 하면 되지만 풀브라우징을 하다보면 URL을 입력해야 하는 일이 많아졌죠.

    PC에서는 모바일상의 풀브라우저이던 주로 다니는 사이트는 동일할 것이고, 이는 모두 즐겨찾기에 등록이 되어 있을 것입니다.그렇다면 내 PC에 있는 브라우저와 동기화하면 안될까요? 아니면 온라인 북마크를 지원해준다던지요. 물론, 실제로 그런 브라우저나 서비스는 이미 있습니다. 문제는 대중화겠지요~ ^^

  2. 조은숙 2008/10/20 13:37 PERM. MOD/DEL REPLY

    안녕하세요..
    귀한긴요. 항상 김책임님을 귀한 분으로 여기고 있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3. 옴니아 2010/03/26 01:34 PERM. MOD/DEL REPLY

    안녕하세요 검색하다가 오게되었습니다 스마트폰을 샀기에 QR코드를 읽어서 접속하려 했더니
    일본사이트 접속이 안되던데 해외사이트는 접속이 안되는 걸까요...그냥 사이트 들은 주소로 치면 들어가 지는데 모바일용 블로그가 안들어가 지네요; 한국폰으론 일본 모바일 사이트 접속은 안되는건지...

  4. 바코드마트 2010/09/03 16:00 PERM. MOD/DEL REPLY

    모바일 신분증이란 : 2차원 바코드를 이용 기존 신분증의 1차원 바코드와 같이 ID를 2차원 바코드을 스마트폰,휴대폰에 다운로드 받아 도서관 출입, 대출 및 열람 좌석 배정시스템 이용시 이용하는 코드입니다. 이동통신사 모두 이용가능하나 2002년 이후(단말기 따라 지원시기가 상이 할 수 있음)에 출시된 휴대폰은지원가능. 모바일 바코드의 유효기간: 모바일 바코드는 최종적으로 발급된 코드만 유효. 리더기 인식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 :휴대폰의 액정부분에 파손 및 이물질이 없도록 하여야 하며 모바일 바코드위에 다른. 컨텐츠가 덮여져 있지 않아야 하며, 폰의 라이트가 켜진 상태에서 리더기의 중앙부위에 폰을 위치하게 합니다. 모바일 신분증 다운로드 통보 메시지(SMS)가 지연되는 경우: 이동통신사 및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지연현상 발생할수 있음

 

Mobile UX #5


15. UX는 PC Like, UI와 Contents는 Mobilization

모바일 환경에서 보여주어야 하는 것들에 대해서 PC와 동일해야 하는 것인지, 모바일에 최적화해서 보여주어야 하는 것인지에 대한 고민은 계속되어 왔다. 그러한 질문 앞에서 항상 "UX는 PC와 동일하게 하고 그 안의 UI와 Contents는 모바일에 최적화하거나 모바일 환경에 맞게 바꾸어야 한다"고 이야기 한다. 물론 절대룰은 아니니만큼 적당한 선에서 Balance를 맞추어야 할 것이다. 과연 그렇다면 실제 모바일 사이트에 접속해서 국내 사이트들이 얼마나 이러한 고려를 하고 있는지 한번 알아보기로 하자.

PC에서의 UX는 있으나 Mobile 환경에 대한 UX가 없는 사용자가 모바일 네이버에 접속을 하면 어떤 UX를 기대 할까? 십중팔구 네이버 특유의 초록색 칼라와 함께 검색창이 가장 상단에 위치하고, 실시간 검색어나 기타 정보성 컨텐츠들의 정보가 나열된 것을 기대할 것이다. 이러한 사용자가 기대하는 UX를 모바일 네이버는 충실히 채워주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의 그림처럼 모바일에서도 네이버 고유의 칼라와 검색창, 그리고 실시간 급상승하는 검색어가 역시 상단에 위치해 있고 나머지 정보들을 순차적으로 나열하여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저 아래에 있는 만화를 상단에 노출시키느냐 아래에 숨기느냐는 다소 어려운 결정이 될 수 있으나 PC의 UX에 최대한 맞추는 레이아웃이 모바일에서 기대하는 네이버의 UX라는 점에서 거부감이 들지는 않는다. UI 자체도 중요 9개의 카테고리를 순차적으로 배열시킨 후에 마지막에 주식 정보를 노출시키고 있다. 주식정보의 노출을 제외하고는 무선 네이버의 초기 화면 UX는 완성도가 꽤나 높은 편이다.

그렇다면 다음은 어떨까? 다음도 포탈이니만큼 상단은 네이버와 동일한 레이아웃을 가지고 있다. 다음의 로고가 있고, 그 아래에 검색창이 위치해 있다. 네이버가 초록색을 Main Color로 지정해서 안정감을 주고 있다면 다음은 그런 색이 없는게 조금 아쉽다. 다음은 최근 미디어 다음이 급성장 한 탓인지 뉴스를 비록한 미디어 링크를 가운데에 배치하였다. 실시간 이슈 검색어 또한 중요한 위치를 차지 하고 있고, 그 다음은 정보성 링크와 카페, 블로그등이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PC에서 다음을 자주 사용하여 UX가 친근한 사용자라면 모바일에서도 위와 동일한 UX를 경험하기를 바랄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바일 다음이 제공하는 UX는 사실 많이 아쉽다. 1위와 2위의 차이인지, 전략적인 사고나 기본 Concept의 차이인지는 모르겠으나 PC의 UX와는 다소 다른 UX를 모바일에서 제공해주고 있다. 미디어 다음이 검색창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것까지만 동일하고 나머지는 PC의 UX와 거의 다르다. 실시간 이슈 검색어도 없으며, 난데없는 UCC가 2번에 위치해 있다. 4개의 주요 카테고리 사이에 있는 광고 배너나 코스피 정보등은 전반적인 사이트의 레이아웃을 크게 망가뜨리고 있다.

4번 Fun 카테고리의 경우 PC의 UX와는 전혀 동떨어진 메뉴이다. 이곳을 통해 모바일 컨텐츠를 다운 받게 해 놓았는데, PC에서 중요하게 자리잡던 실시간 검색어를 버리고 위치할만큼 중요도가 높은 카테고리인지 의문이다. 예상컨데 저기로 유입되어 모바일 컨텐츠를 소비하는 사용자는 그리 많지 않으리라는 생각이다. 다음의 경우 네이버와 다르게 PC UX와는 상당부분 변형된 UX를 모바일에서 제공함으로서 사용자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 포스팅이 두 포탈의 무선 사이트를 비교하는 포스팅이 아니고, UX의 관점에서만 비교하기 때문에 실제 매출이나 PV와는 다를 수 있으나 모바일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이 이질감을 덜 느끼는 쪽이 어느쪽인지는 굳이 말하지 않아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사용자들이 무선 포탈을 찾는 가장 큰 이유인 검색의 UX는 어떠할까? 무선 네이버에서 'mobizen'이라는 키워드로 검색을 해보았다. PC에서 네이버 검색을 주로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결과값에서 '지식 iN'이 가장 먼저 위치해 있고, 그 뒤로 블로그, 뉴스 등이 있을 것을 기대할 것이다. 역시나 네이버는 그러한 사용자들의 Expected UX를 배신하지 않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 화면을 보면 알겠지만 PC의 UX와 동일한 순서와 레이아웃을 제공하고 있으며, 각 카테고리마다 2개씩만 먼저 노출해주는 것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작은 디스플레이에 최적화하기 위함이다. 이런 모바일 환경에 맞는 UI 디자인이 훌륭한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을것이다. 한가지 아쉬운 것은 PC에서건 모바일에서건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지식iN에서 답을 찾는다. 네이버가 아무리 싫다고 하더라도 대한민국 검색에서 지식iN이 차지하는 비중까지 부정할 수는 없다. 그런 면에서 각 카테고리마다 2개씩의 링크를 먼저 노출하는 일관성보다는 지식 iN의 기본 노출 갯수를 좀 더 늘리는 것이 접근성을 좀 더 높일 수 있는 방법일 듯 하다.

현실을 벗어나서 좀 더 이상적인 모바일 검색 UX를 제공하려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해야 한다. 모바일 검색의 Big Head는 위치 정보와 근처 맛집 정보이다. 모바일이라는 디바이스에 맞게 즉시성과 위치성이 중요한 Sector라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는 PC에서의 검색과 모바일에서의 검색 결과가 같지만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얻어와서 모바일 검색할 때는 위치 정보에서 보다 가까운 정보를 먼저 노출시켜주는게 좀더 개선된 Mobile UX를 제공하는 방법이다.

모바일 네이버에 로그인을 해 보았다. 로그인을 해서 메일 확인도 해보고, 주소록도 확인해보았다. PC Like UX에 대해서는 굉장히 높은 점수를 줄 수 있었지만 Mobilization에서는 몇가지 아쉬운 점들이 있었다. 아래는 주소록 창에서 이미 등록된 지인들의 정보를 볼 때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등록된 지인의 이름이나 전화번호, 메일 정보등이 PC에서와 동일하게 노출이 된다. 해당 지인의 메일 정보가 있으므로 '메일 쓰기'가 된다는 것은 다행이다. 하지만 전화번호를 Access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이를 테면 저 전화번호를 이용해서 전화가 바로 걸리게 한다던지, 그 사용자에게 SMS를 보내게 할 수 있다던지 할 수 있는 모바일만의 Method를 전혀 제공하지 않고 있다.

모바일 네이버는 이러한 소소한 곳에 모바일만이 가지고 있는 Method를 사용할 수만 있게 하면 꽤나 높은 완성도라고 평가할 수 있다. 잘 하면 큰 매출은 아니지만 소소한 수익 발생 지점도 보이는데 이를 모를리는 없고 아마 큰 시장도 아닌데 유지 관리 비용이 더 든다고 판단을 한 모양이다.



16. 마치는 글

이번 포스팅까지 5회에 걸쳐서 Mobile UX에 대한 시리즈를 마감한다. 꽤나 재미난 시리즈가 되었는데 반응을 보니 방문하시는 분들에게는 조금 관심이 없는 주제였나 보다. 하지만 원론적인 논문이나 자료를 몇번 보면서 개인적으로는 도움이 많이 되었다. Mobile 사이트던, 컨텐츠이던, 어플리케이션이던 사용자 입장에서 편리한 UX를 제공해야 하고, UX에 대한 설계는 서비스 기획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국내 UX에 대한 설계 순서에 대한 잘못된 것도 지적을 했으며, 이런 부분은 업계에 있는 분들이 지금껏 해왔던 관행을 바꿔서 뭔가를 제대로 만들어서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않으면 지금의 어두운 터널은 끝나지 않으리라 생각된다.

아래는 관련된 모든 포스팅이다. 이번 시리즈 역시 단 한분에게라도 도움이 되었기를 바란다.

2008/08/01 14:21 2008/08/01 14:21
top

  1. 빨빤 2008/08/01 16:38 PERM. MOD/DEL REPLY

    관심이 없긴요. 그저 바빴을뿐;; 시리즈 잘 봤습니다 ^^

    개인적으로는 UX 는 기획의 관점이라기 보다는 디자인의 관점에서 보고 있습니다. (뭐, 직업병이기도 합니다만) UX 를 설계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디자인된 product 를 통해 경험을 제공해주기 위함이라 생각하거든요. 오히려 서비스 기획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방식은 UI 를 설계하는 단계가 아닐까해요. 모바일 네이버의 경우 모바일 특성에 맞게끔 인터페이스를 재설계하긴 했는데, 제 시각에서는 좀 많이 아쉽다랄까요.

    좋은 시리즈 포스팅 곱씹어 읽겠습니다 :)

    mobizen 2008/08/01 17:40 PERM MOD/DEL

    빨빤님~ 오랜만입니다. ^^

    저 나름대로 공부를 많이 했던 포스팅 같습니다. UX가 무엇이다의 정의는 사실 의미가 없겠지요. 자신의 위치에서 사용자들에게 최선의 것을 보여주려는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아시겠지만 네이버는 모바일 전문 인력이 따로 없습니다. 컨버전스 센터라는게 있지만 모바일 알기를 우습게 아는 양반들이라..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름 최선을 다하는 것 같기도 하고 1위의 저력이 있구나.. 하는 부러움도 있습니다. "PC의 UX와 같은 것을 전달해야 한다"는 좁은 논제에서 바라본 시각이니 빨빤님 시각과는 분명히 다를 것 같습니다. 저야 기술과 BM쪽으로만 보이니 그쪽으로의 헛점만 보이더군요..

    빨빤님이 보시는 이쉬운 점에 관해서 포스팅 한번 해보심이 어떠신지요.. 트랙백 기대하겠습니다. ^^

  2. 하늘물고기 2008/08/02 15:21 PERM. MOD/DEL REPLY

    취업 준비생으로써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모바일 ux 에 대해 평소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었는데, 이렇게 친절하게 설명을 해주셔서 좋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사실 모바일 ux(디자인)에 대해 정보가 많지 않았서, 저에겐 가뭄에 단비 같은 정보였습니다. 블로그 첫 페이지부터 감사한 마음으로 하나하나 읽어가고 있습니다. ^^

    mobizen 2008/08/02 20:26 PERM MOD/DEL

    한분에게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랬는데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 리플과 관심 감사드립니다.

  3. wizArD 2008/08/03 03:48 PERM. MOD/DEL REPLY

    항상 좋은 자료 잘 보고 있습니다만, 특히 이번 mobile UX 부분은 저도 관심있는 부분이라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특히, 잘 정리된 글을 보면 직접 작성하신 분의 보람(?)과 정리하는 재미도 간접 체험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예전에 무선 인터넷이란 포괄적인 주제를 갖고 상식 수준의 기술 로드맵과 몇 가지 내용들을 정리했었는데, 개인적으로 많은 공부가 됐죠. 당시는 메타 블로그 피딩 하던 시절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읽지는 못 했지만... 여하튼 글 재밌게 잘 봤습니다. ^^

    mobizen 2008/08/03 17:11 PERM MOD/DEL

    안녕하세요. wizArD 님. 사실은 좀 더 빨리 낼 수 있었는데 무선인터넷 패킷을 진작에 다 써버려서 조금 길어졌습니다. 1일되자마자 마감한거죠. 역시 패킷 요금이 비싸긴 합니다. 무제한으로 바꿀까 고민중입니다. ^^

    리플 감사합니다.

  4. cindy 2008/08/04 12:50 PERM. MOD/DEL REPLY

    비교해서 읽으니 정말 실감 났습니다. 감사합니다.

    mobizen 2008/08/04 15:31 PERM MOD/DEL

    cindy님 리플 감사합니다.
    네이버와 다음의 모바일 사이트 비교를 말씀하시는거죠? "UX는 PC와 동일하게 하고 그 안의 UI와 Contents는 모바일에 최적화하거나 모바일 환경에 맞게 바꾸어야 한다"는 전제에서만 본 비교자료이니깐요. 사이트에는 여러가지 요소가 있으니깐 전반적인 평가나 실제 성적표와는 상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5. cosiam 2009/06/03 09:46 PERM. MOD/DEL REPLY

    네이버엔 모바일 전문 인력이 없다는게 사실인가 보네요. 사실 전 PC와 동일하게 가져다 놓은 네이버 보단 모발일 특성을 조금 더 고민한 다음에 더 높은 점수를 주고 싶네요. UI, UX 전문적인 지식을 떠나...

    mobizen 2009/06/03 09:52 PERM MOD/DEL

    이 포스팅은 워낙 예전 내용이라서요. 지금은 상황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불과 1년전인데.. 참 모바일 산업의 변화는 빠르군요

  6. peasant 2010/02/11 14:16 PERM. MOD/DEL REPLY

    감사합니다. 1편부터 5편까지 훌륭한 내용 학습하고 갑니다.
    1~4편에도 관련 포스팅 링크 넣어주시면 더 좋을 것 같아요.
    좋은 내용 공유해주셔서 고맙습니다.

  7. jaemini 2010/03/16 21:17 PERM. MOD/DEL REPLY

    잘봤습니다~과제하는데 도움이 되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