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컨텐츠 이야기


기업형 모바일 시장의 최후 승자는?


기업형 모바일 시장의 성장 원인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바일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Consumer Market 만큼이나 Enterprise Market의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모바일 기업 시장이 활기를 띄는 원인은 크게 유무선 기업 솔루션에 대한 Needs, M2M 시장의 성장, LBS기술의 발전 등을 들 수 있다.

유무선 기업 솔루션으로는 모바일 오피스, UM(Unified Messaging), IM(Instant Messaging), FMC, 화상회의, Push E-mail 등이 발전하고 있으며, 스마트폰의 사용 증가로 이미 개화기를 맞이하고 있다. M2M(Machine To Machine) 시장 역시 뜨거운 이슈이다. 디바이스와 기계간의 통신을 시작으로하여 산업 자동화, 실시간 모니터링, 원격제어, CCTV 활용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LBS는 Consumer 시장에서와 마찬가지로 Mobile Device가 가질 수 있는 기본적인 기능이다. 물류와 유통 시장에서의 활용도가 높고, 위치 추적, Local API 개방을 통한 다양한 솔루션 판매가 가능하다. 대부분의 보고서에서는 클라우딩 컴퓨팅 역시 주요 이슈로 언급하고 있는데, 개인적으로 클라우딩 컴퓨팅에 대해서는 다소 관망해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기업형 모바일 시장 규모

KT경영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ICT의 현재와 미래'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통신시장은 2008년 35조4,000억원에서 2013년 36조3,000억원으로 불과 2.3% 정도만 성장할 것으로 보고되었다. 반면 기업시장의 경우 2009년 8조5,000억원에서 2013년 10조7,000억원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었는데, 이는 연평균 6.3%의 성장률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렇게 환경적인 구성이 좋아짐에 따라 2009년 국내 엔터프라이즈 모빌리티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9.9% 증가한 2조6713억원에 달하고, 오는 2013년까지 연평균 6%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3조5777억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참고로, KT 경영연구원의 보고서에 의하면 유무선 기업형 시장은 2009년 8조5,000억원에서 2013년 10조7,000억원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보고서내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노트북, PDA, MID, UMPC 등이 언급되고 있는데, 이러한 모든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기능을 Smart Phone이 대부분 흡수할 것으로 보고 있다. Consumer 시장에서의 Smart Phone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자연스레 기업형 시장에서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통사들의 새로운 먹거리?

최근 SKT의 최고경영진이 B2B 시장을 성장동력으로 규정하고, 1년내 1조원, 5년내 5조원의 매출 목표를 밝힘에 따라 이통사들의 B2B 시장이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SKT는 컨버전스 경쟁력 강화위해 기업형 맞춤 솔루션제공 매니지드 개발했으며 기업 FMC사업은 SKT와 공조해 기상청에 구축하는 등 70여개 고객에 구축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KT도 ‘스마트(S.M.ART:Save cost, Maximize profit ART )'라는 전략을 통해 모바일 기업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그 중심에는 홈허브 네트워킹과 FMC가 있다. LGT의 경우는 타이통사와는 달리 기존 Consumer 시장의 연장선상에서 Enterprise 시장을 보고 있다. 기존 OZ를 통해 기업 시장도 같이 공략하겠다는 전략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통사와 포탈, 솔루션 사업자..최후 승자는?

이통사에게 기업형 시장은 매우 탐나는 먹거리겠지만, 디바이스 유통력을 통해 생성된 Walled Garden 운영에만 익숙한 기업에게 그런 마인드와 능력이 있는지는 의문이다. Open Market이 Walled Garden보다 성장하고, 사업의 영역이 컨버전스 되면서 이통사의 무선시장 장악력이 예전 같지 않으며, 많은 플레이어들이 새로운 먹거리를 찾아 사업영역을 파괴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Google은 Solution Marketplace를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Googls Apps를 비롯한 각종 기업형 솔루션을 판매하고 있다. 이와 별개로 Android Marketplace 역시 운영하고 있다. 최근 루머에 의하면 Google은 또 하나의 앱스토어를 계획하고 있으며, 바로 기업시장을 타겟으로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앱스토어의 중심에는 모바일이 있음을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

국내에서도 최근 몇몇 포탈들이 기업형 서비스와 모바일을 통한 B2B를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포탈 역시 BM은 광고를 기반으로한 기업 대상이 중심에 있지만 실제 서비스는 철저하게 Consumer 기반이다. 최근의 새로운 시도들은 대부분 큰 성공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기업형 시장에 대한 경험이 부족이 이통사와 다를바가 없는 것이다.

무선의 헤게모니를 가지고 있는 이통사와 서비스를 가지고 있는 포탈, 그리고 기업형 시장에 경험이 많은 솔루션 사업자(MS, 시스코, 오라클, 사이베이스 등) 들 중에서 어느 누가 기업형 모바일 시장에서 승자가 될 수 있을런지 자못 궁금하다. 모두에게 장단점이 공존하니, 빨리 시장 변화에 적응하고 조직을 유연성 있게 움직이는 자가 승리할 것이다.  아직까지 기업형 모바일 시장은 '자기 밥그릇이 아니다'라고 스스로의 영역을 한정시키는 기업들은 어쩔 수 없는 것이고~
2010/02/09 08:58 2010/02/09 08:58
top

  1. 엔김치 2010/02/11 14:37 PERM. MOD/DEL REPLY

    항상 모바일에 대한 혜안 감사합니다 아이폰(모바일) 에 최적화된 블로그도 놀랍네요

  2. grayfire 2010/02/20 10:42 PERM. MOD/DEL REPLY

    자기 밥그릇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기업들은 어쩔 수 없고~! 맞습니다~! 환경변화는 어느 순간 확 바뀐다는 것을 요즘 실감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업시장에서 메일과 전자문서만 제대로 유통시킬 수 있는 솔루션을 갖춘다면 정부 및 각종 관공서, 학교 등 어마어마한 먹거리가 있지요.

 

[인터뷰] 모바일 앱스토어의 성공요건


사용자 삽입 이미지
KT 경제경영연구소, Digieco는 '전문가대담'이라는 코너를 통하여 블로거들을 대상으로 하는 동영상 인터뷰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5월경에 담당자에게 연락이 와서 앱스토어에 대한 이야기를 요청하였고, 당시 앱스토어에 대한 관심이 무척 높았던 시기인지라 수락을 하고 말았다.

앱스토어에 대해 할말은 많았지만, 제한된 시간과 혼자서 이야기 하고 시선을 고정해야 하는 동영상 인터뷰에 적응을 하지 못해 조금은 아쉬운 인터뷰를 하였다. 시간이 꽤 흘러, 앱스토어에 대한 몇가지 다른 양상들이 보이는 가운데 어제(7월 17일부터) 해당 사이트에 동영상 인터뷰가 개시되고 있다.

혹시나 mobizen의 얼굴이 무척 궁금하고, 버벅거리는 모습이 보고싶은 분은 Digieco에 방문하면 된다. 참고로, 동영상 인터뷰를 보기 위해서는 로그인이 필요하다. 인터뷰의 주요 요약은 아래와 같다.


1. 최근 이통사들이 앱스토어를 런칭하는 배경

- 이통사들이 무선인터넷 활성화에 노력
- 문제점 : 폐쇄적 운영, 다양한 단말과 플랫폼, 지역 기반의 사업
- 환경의 변화 : 벨류 체인 -> 에코시스템
- 단말과 플랫폼을 가지고 있는 사업자가 새로운 기회 요인이 생김
- 애플의 성공과 비슷한 사업자들이 뛰어듬
- 기존 시장의 방어를 위해 이통사들도 런칭을 시도 중


2. 사업자별 앱스토어 특징

2.1. 단말과 플랫폼 개발사
- 가장 유리(Apple, Nokia, RIM, Plam)
- 단일화된 스마트폰 플랫폼과 최적화된 단말
- Global Market을 대상
- 오랜 사업 활동으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기보유

2.2. 플랫폼 개발사
- OEM 사업(MS, Google)
- 스마트폰에 한정되지 않은 단말 영역
- 앱스토어을 통한 플랫폼 확산이 목적
- 단말의 스펙과 라인업을 미리 파악하기 힘들어

2.3. 단말사
- 삼성과 LG 전자가 준비중
- 삼성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LG 모바일 개발자 네트워크
-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해야하고 최적화하기 힘듬
- 어플리케이션은 많으나 End User 대상 사업에 대한 경험이 부족

2.4. 이통사
- T 모바일, China 모바일, O2 UK 등이 준비하거나 오픈
- 다양한 플랫폼과 다양한 단말을 모두 지원해야 함
- 스마트폰과 일반폰을 모두 지원해야 함(장점이자 단점)


3. 현재 런칭되는 국내 모바일 앱스토어의 문제점

3.1. Walled Garden Portal과의 차별성은 없어
- 컨텐츠몰과는 분명히 차이가 있으나 혼동의 우려
- 개발사 입장에서는 기존과 차이가 없음

3.2. 미흡한 준비
- 애초에 수비적인 입장에서 시작
- SKT, KT가 발표를 했으나 실체는 없어
- 가격, 개발자 지원, 사업 정책 등이 없음

3.3. 합리적인 무선 인터넷 가격
- 어플리케이션 보다 중요한 것은 사용자의 진입장벽을 낮추는 것
- 현재 무선 인터넷 가격으로는 힘들어 보여


4. 국내 모바일 앱스토어의 성공 요건

4.1.하이브리드 포털
- 02 UK의 Litmus가 가장 좋은 롤모델
- Walled Garden은 그대로 유지하고 앱스토어는 또다른 유통 채널
- 개방형 앱스토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직접 검증
- 검증된 어플은 Wallden으로 유입시켜 마케팅 효과 극대화

4.2. 경쟁 우위의 API 제공
- 과금의 편리성, Feature Phone 고객 대상의 Business 가능
- User Profile의 접근, LBS를 통한 위치 정보의 활용 등
- Open API를 통해 어플리케이션들이 다양한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함

4.3. 무료 어플의 BM 발굴
- 앱스토어는 애초에 BM의 고민이 불필요
- 하지만 무료어플은 조금 달라
- 광고모델기반의 무료 어플을 지원
- 광고 에이전시로의 역할로 포지셔닝이 필요
2009/07/17 19:29 2009/07/17 19:29
top

  1. 학주니 2009/07/20 13:06 PERM. MOD/DEL REPLY

    모비즌님의 실제 모습(얼굴 ^^)은 저렇군요.. ^^;

    mobizen 2009/07/20 13:16 PERM MOD/DEL

    학주니님은 제 얼굴 전부터 아시잖아요.. ㅎㅎ

    학주니 2009/07/20 14:01 PERM MOD/DEL

    그게 말이죠..
    자주 안보면 까먹게 되어서요.. ㅎㅎ
    언제 한번 다시 뵈어야 할텐데 말이죠 ^^;

  2. 도이모이 2009/07/24 19:40 PERM. MOD/DEL REPLY

    저도 인터뷰 했는데 어떻게 나올지 걱정이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