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컨텐츠 이야기


역성장하는 국내 태블릿 시장


거꾸로가는 국내 태블릿

전세계 태블릿 PC 시장은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IHS가 발표한 태블릿 디스플레이의 출하량을 보면 2012년 1억5500만대에서 2013년 2억6000만대로 69%나 성장하였다. 2013년 미국 태블릿 PC 판매량은 약 4200만대로 전년대비 64%나 많아졌다. 지금과 같은 추이를 유지한다면 2015년에는 데스크탑 시장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면, 국내 사용자들은 태블릿에 대한 관심이 좀처럼 높아지지 않고 있다. 통신사의 태블릿 PC 가입자 추이를 보면 2013년 5월에 732,714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에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2013년 11월의 가입자는 655,659명이다. Wi-Fi 버전을 포함한 2013년 국내 시장 출하량은 115만대, 관련 매출 6509억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8.2%, 16.3% 하락한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예상치 못한 킬러, 패블릿

국내 시장의 부진에는 여러 이유가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전자책을 비롯한 전용 컨텐츠 부족을 가장 큰 원인으로 꼽는데 개인적으로는 동의하지 않는다. 관련 보고서를 찾아보면 태블릿 PC를 통한 주요 소비 컨텐츠는 게임이 월등히 높고, 웹 서핑과 동영상이 대부분이다. 이점을 고려해보면 컨텐츠가 부족한 것이 침체의 주요 원인이라는 해석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무래도 기기 선호도에 따른 성향이 가장 큰 원인이지 않을까 한다. 5~6인치 크기를 형성하는 패블릿이 유독 국내에서 많이 판매되는 것을 이야기 하지 않을 수가 없다. 패블릿이 차지하는 전체 스마트 기기 비중을 보면 전세계 시장을 기준으로는 7%에 불과하지만 국내에서는 41%나 차지하고 있다. 대형 스크린의 스마트폰을 사용하다보니 태블릿 PC를 따로 구매해야 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유통에 대한 노하우 부족

Wi-Fi 버전의 태블릿 PC의 판매 비중이 높은 것도 영향이 크다. 2013년 기준으로 전체 판매량 중 75.1%가 Wi-Fi 버전인 것으로 알려졌다. 통신망 이용료에 대한 부담감은 사용자들로 하여금 Wi-Fi 전용 기기를 선호하게 만들고 있다. 기기 자체 가격 또한 훨씬 저렴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통신사가 보조금을 지원하고 유통과 마케팅을 해주는 3G나 LTE 버전과 달리 Wi-Fi 버전은 제조사가 해야 할 일이 많아진다. 오프라인 유통망을 통해 스마트기기를 판매해 본 경험이 많지 않은 제조사들은 과거 가전이나 카메라 등을 판매했던 채널을 동원하는게 전부인 상황이다. 사용목적이 다르니 제품의 구성이나 판매접점, 프로모션이 달라져야 하는데 그런 노하우가 부족하다. 시장이 크지 않다보니 자세 또한 적극적이지 않아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자체 브랜드 제품의 부재

태블릿 PC는 유독 비(非)제조사들의 진입이 많은 영역이다. 아마존의 킨들 시리즈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현재 킨들은 전체 시장의 2.8%나 차지하고 있는 성공 사례이지만 아마존은 순수한 온라인 사업자이다. 자사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유통시키기 위한 수직통합 전략의 결과물이며 효과적으로 적중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Verizon의 Ellipsis 7, Tesco의 Hudl, Nvidia의 Tegra Note 등과 같은 '기타'에 해당하는 태블릿 PC가 전체 시장의 38.7%나 차지하고 있다. 애플과 삼성이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는 스마트폰과 달리 태블릿 PC는 사용 목적에 따른 틈새 시장이 잘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전세계 태블릿 PC 시장이 활기를 띄는 중요한 원인 중에 하나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태블릿 PC에 도전을 할만한 튼튼한 컨텐츠형 서비스를 가지고 있는 사업자가 많지 않다. 근본적으로 소비 시장 자체가 크지 않은 한계도 있다. 조만간, 예스24에서 전용 태블릿인 '크레마원'을 출시할 예정이지만 에코시스템의 밀도가 높지 않아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중견제조사들이 도전하려면 삼성과 LG라는 대형 제조사의 영향력과 중국 제조사들의 저가 공세를 동시에 이겨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강력한 변곡점이 필요

이렇게 국내 태블릿 PC가 성장하지 못하는 이유를 살펴보면 대부분 구조적인 한계이며 쉽게 바뀔 수 없는 것들이다. 인위적인 변곡점이 없다면 지금과 같은 역성장은 계속 될 수 밖에 없다. 그런데, 한가지 기대할 수 있는 변곡점이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정부가 2015년까지 2조 3천억원에 달하는 예산을 투입하여 초·중·고등학교에 전자교과서를 보급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교과서의 주이용 단말은 태블릿 PC가 된다. 관련하여 디지털교과서협회는 2014년 1월에 온라인교수시스템인 '온티처(OnTeacher)'를 오픈할 예정이며 관련 업체들은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미국에서도 2012년 전자교과서를 도입한 후, 아마존을 중심으로 태블릿 PC 판매량이 급증한 사례가 있다. 대형 시장이 움직이면서 기폭제가 되어 시장이 확산된 것이다. 대중적인 환경이 아직 형성되지 않아 당장은 특정 목적에 편향된 시장이 형성되겠지만 이를 시작으로 국내 태블릿 PC 시장이 새로운 도약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2014/01/02 20:07 2014/01/02 20:07
top

  1. xyz 2014/01/02 23:44 PERM. MOD/DEL REPLY

    전자책은 변곡점이 되기 힘들 것 같습니다 문제는 학교에서 전기료를 부담하기 힘들다는 거죠. 한두대도 아니고 그거 어디서 다 충전하고 전기비는 누가 부담할까요?

  2. 비밀방문자 2014/01/03 07:48 PERM. MOD/DEL REPLY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와이파이(Wi-Fi)를 활용한 수직통합 현황


C-P-N-T 수직통합 전략

서비스 사업자들은 제한된 벨류체인에서 유통되는 모바일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수직통합이 필수라고 여기고 있다. 모바일 시대가 오면서 기업들은 C(콘텐츠, Contents)-P(플랫폼, Platform)-N(네트워크, Network)-T(단말, Terminal) 중심의 수직통합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모든 것이 개방된 환경이었던 유선 인터넷 시대와 달리 모바일 환경은 각 벨류 체인에서 출구전략이 강력한 힘을 발휘하고 있다. 대형 사업자들은 자사의 서비스를 유통시키기고 기존 벨류 체인의 강자들과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수직통합 전략을 펼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애플은 Mac, iPhone, iPad, 애플 TV 등과 같은 단말에 Mac OS, iOS, 앱스토어, iTunes 등과 같은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 해당 플랫폼을 통해 iCloud, iMessage, 지도 등과 같은 자사의 콘텐츠를 유통시키고 있다. 아마존은 ‘amazon.com’이라는 자사의 콘텐츠를 유통시키기 위해 킨들 시리즈를 직접 개발하였다. 콘텐츠 유통을 극대화 시키기 위해 자체 기술로 최적화시킨 안드로이드 OS를 개발했으며 자체 앱스토어를 만들었다. AWS(Amazon Web Services)와 같은 서비스 플랫폼도 보유하고 있다.


‘네트워크’는 수직통합에 필수

지금까지 서비스 기업들은 C-P-N-T 통합전략에서 C-P-T 에 집중하였고 네트워크는 통신사 제휴를 이용하거나 기존 인프라를 활용하는데 머물렀다. 구글의 넥서스 시리즈와 아마존의 킨들 시리즈, 페이스북의 버피 프로젝트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대형 사업자들은 ‘네트워크’를 장악하지 않으면 통신사들에게서 주도권을 뺏어오는데 한계가 있음을 인지하고 와이파이를 통해 C-P-N-T 통합 전략을 완성하려는 시도를 공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와이파이를 중심으로 네트워크까지 통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화이트 스페이스'를 활용하는 구글

구글은 오래전부터 네트워크 통합 전략에 많은 투자를 해 왔었다. 구글은 미 연방통신위원회(FCC)를 설득하여 ‘화이트 스페이스’를 개방하였고 'Gig.U(기그유) 프로젝트’에 참여 중이다. ‘화이트 스페이스’란 FCC가 아날로그 TV 채널간 주파수 충돌을 피하기 위해 완충 지역으로 남겨둔 공백 주파수 대역(54~698㎒)을 말한다. Gig.U는 화이트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저렴한 무선 인터넷망을 구축하려는 프로젝트이다.

구글은 유사한 프로젝트인 Air.U도 진행 중에 있다. 화이트 스페이스 대역을 활용한 슈퍼 와이파이(Super Wi-Fi) 기술을 적용하여 미국 교회 지역에 무선망을 구축하는 것이다. 슈퍼 와이파이는 기존 와이파이와 달리 저출력으로 전파가 160Km까지 갈 수 있고 빌딩과 나무, 악천후를 통과할 수 있는 기술이다.

안드로이드 사용자들만을 대상으로 무료 와이파이를 제공하고 있기도 하다. 최근에는 홀리데이 시즌에 핫스팟 사업자 보잉고(Boingo)와 제휴를 통해 이루어졌다. 뉴욕의 JFK 공항과 시카고의 O'Hare, 시애틀의 Tacoma 공항과 같은 주요 공항을 비롯해 미국 4000여 곳에 무료 와이파이를 제공하였다. 해당 와이파이는 아이폰이나 블랙베리 사용자는 사용할 수 없게 하였다.

[ 구글의 N-T 전략 ]
사용자 삽입 이미지
* 클릭하면 이미지가 커집니다.


무료 와이파이를 제공하는 페이스북

페이스북도 최근 오프라인 상점들과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를 진행 중에 있다. 사용자들은 페이스북 계정으로 와이파이에 로그인을 하면 무료로 무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다.  해당 상점의 페이스북 페이지로 자동 이동하여 할인 쿠폰이나 프로모션에 참여할 수 있으며 상점들은 이들을 대상으로 마케팅을 집행할 수 있게 되며 ‘좋아요(Like)’를 얼마나 많이 받는지 피드백을 리포트 형태로 받게 된다. 페이스북은 네트워크망을 구축하기 위해 오프라인 상점에 전용 무선 공유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마존이나 MS(마이크로소프트)등과 같은 대형 서비스 사업자들도 와이파이망 구축에 투자를 하고 있다.  2012년 3월, 아마존은 델타 항공과 제휴를 통해 무료 와이파이 접속을 제공하고 기내 쇼핑을 유도한 적이 있다. MS도 윈도8 출시 프로모션을 위해 뉴욕과 샌프란시스코의 주요 시내 200여곳에 무료 와이파이를 제공하였다. MS는 해당 이벤트를 위해 보잉고와 제휴를 하였다.


서비스 사업자에게는 강력한 무기가 될 것

네트워크를 장악한다면 서비스 사업자에게는 자사 서비스를 유통시킬 수 있는 강력한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 초기화면을 장악하여 자사 서비스를 노출시키거나 프로모션 참여를 유도시킬 수 있다. 와이파이망을 무료로 사용하는 것 이상의 사용자 가치를 전달할 수 있다.

지역 정보를 전달하거나 로컬 사업자와 제휴를 통해 할인쿠폰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각 핫스팟존을 중심으로 하여 오프라인 접점을 확보하고 모바일 광고, 모바일 결제 등과 같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이들은 향후 서비스 사업자들의 수익모델이 될 수 있다. 제휴 와이파이망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소비 패턴 분석도 가능하다.

최근의 이러한 시도들이 성공을 거둔다면 3G나 LTE를 기반으로 하는 통신사업자들의 시장 장악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높다. 여전히 정리되지 않은 망중립성 논쟁을 벗어나 mVoIP, MIM, Wi-Fi를 통한 위치 정보 등과 같은 서비스를 주도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가 제공된다면 기존 통신사업자는 수익에 큰 타격을 입게 된다.

전용 기기(terminal)과 플랫폼(Platform)과 결합을 할 경우에는 통신사와 무관한 독자적인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다. 지금까지 와이파이망은 이동통신망의 보안재에 가까웠지만 앞으로는 대체체가 될 수 도 있음을 의미한다.


국내 네트워크는 통신사들이 장악

방송통신위원회와 국내 통신3사는 공공장소에 무료 와이파이를 공동으로 구축하고 있다. 지금까지 전국 관공서 민원실 400여곳, 버스터미널, 기차역, 공항 등 100여곳, 지자체 문화센터, 도서관, 체육시설 등 280여곳, 국공립 병원, 복지시설 등 130여곳, 관광지 등 40여곳 등 1000개곳에 무료 와이파이존이 있었다. 이를 올해말까지 2000개로 확장할 계획이다.

상당수의 대중교통(지하철, 시내버스, 광역버스, 공항 버스 등)들도 무료 와이파이를 지원하고 있는데 와이브로(Wibro) 무선통신망을 와이파이로 전환하는 장비를 설치하는 형태가 대부분이다. 네트워크 안정성도 좋지 않으며 많은 사람이 동시에 접속할 때 느려지는 한계가 있다.

국내 서비스 사업자들도 아직까지는 수직통합에 적극적인 상황은 아니다. 시장 규모가 작다보니 C-P-N-T 통합 전략보다는 기존에 있는 N-T를 잘 활용하여 경쟁력 있는 C-P를 개발하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NHN이 자체 태블릿 개발을 고려 중이라는 루머가 흘러나올 정도로 수직통합에 대한 고민은 해외 사업자와 비슷하다. 국내사업자들이 수익통합 전략을 시도한다면 해외사업자들과 같이 C-P-T 통합을 일차적으로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아마존 킨들과 같은 성공 기기(Terminal)를 확보한 이후에 네트워크에 대한 고민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 사업자와 기술에 주목해야

구글과 MS의 제휴에 등장하는 보잉고는 전세계적으로 약 40만개의 와이파이존을 보유한 대형 사업자이다. 2012년 9월, 세계 최대 네트워킹장비업체 ‘시스코 시스템즈’는  ‘싱크스마트 테크놀로지스’를 인수하였다. 아일랜드에 있는 ‘싱크스마트 테크놀로지스’는 와이파이 기술을 이용해 위치 데이터를 분석해 제공하는 기업이다.

무선초고속인터넷연맹(WBA)은 올해 안으로 NGH 프로젝트의 핵심 기술인 `와이파이 인증 패스포인트(Wi-Fi Certified Passpoint)`를 상용화 할 계획이다. 해당 기술이 적용되면 와이파이망 사이에 로밍이 되어 이동 중에서도 와이파이를 끊기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기술적으로 이동통신망을 거의 대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근에는 국내에도 '와플 오픈플레이스'와 같은 와이파이 사업자들이 새롭게 진출하고 있다. 와플은 고객에게 비밀번호 없는 공개 와이파이를 제공하고 접속 화면을 통해 각종 설문조사, 퀴즈, 광고, SNS 체크인 등을 유도하여 광고수익을 만들어내는 서비스 사업자이다.

또한, 방송통신위원회가 주도하여 휴대폰 위치추적 반경을 5m로 좁히는 방안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전망이다. 관련한 시범 사업에 7억5000만원 규모의 예산을 편성한 상태이다.


앞으로의 전망

해외 서비스 사업자들의 C-P-N-T 전략을 위한 시도는 당분간 계속될 것이다.  단기간에 네트워크 인프라가 구축되어 이동통신망을 위협하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시간이 소요되겠지만 관련 기술과 서비스들이 발전하면서 네트워크 통합이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통신사는 강력한 위협을 받게 될 가능성이 높다.

가장 먼저 C-P-N-T 수직통합을 완벽하게 이루어내는 사업자가 무선 시대의 승자가 될 가능성이 크다. 국내 시장만 보면 뜬구름 잡는 이야기처럼 들리겠지만 글로벌 시장의 흐름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대목이다. 앞으로 대형 사업자들의 관련한 움직임을 계속해서 주시해볼 필요가 있다.



* 이 포스팅은 제가 Digieco에 기고한 '와이파이(Wi-Fi)를 활용한 수직통합 현황' 보고서를 블로그 형식으로 재구성한 것입니다.
2012/11/16 13:44 2012/11/16 13:44
top

 

모바일 트래픽 증가와 통신사 대응 전략


급증하는 국내 모바일 트래픽

2011년 2월 22일, 거텀 아난드(Gautam Anand) 유튜브 아시아 태평양 지역 콘텐츠 파트너십 총괄은 서울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1월 한국의 유튜브 모바일 트래픽 비중은 작년 동기 대비 9배 상승하는 등 한국시장에서 유튜브의 모바일 시청이 크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특히 작년 한국 유튜브의 모바일 트래픽 비중은 20%로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설명할 정도 국내 모바일 트래픽의 성장은 경이적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실제 국내 모바일(3G) 월 트래픽은 2010년 1월 456 TB에서 2011년 1월 5,596 TB로 12.27배나 증가하였다. 스마트폰과 스마트패드 보급율이 빠르게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상승세는 계속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내년말 모바일(3G) 월 트래픽은 47,913 TB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공격받는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

2011년 4월 11일, 경기 과천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대강당에서 '이동통신 주파수 정책 토론회'가 열렸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모바일 트래픽 증가의 심각성에 대한 토론과 함께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이하 '무제한 요금제')가 주요 범인으로 지목되었다. 업계, 학계, 시민 단체들은 모두 무제한 요금제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기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11년 3월 현재 무제한 요금제를 사용하는 가입자는 약 603만명으로 전체 스마트폰 가입자의 약 60% 수준이다. 아이폰 도입 초기 무제한 요금제를 실시했던 AT&T와 O2가 2010년 단계별 정액제로 전환한 해외 사례도 있어 국내 통신사들은 무제한 요즘제 폐지를 호시탐탐 노리고 있다.


통신사의 해결책은?

모바일 트래픽이 급증하고 있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이며 새삼스러운 이야기는 분명히 아니다. 국내 통신사에게 아쉬운 것은 오랜 시간동안 무제한 요금제 폐지와 종량제와 같은 일차원적인 대응 외에는 다른 대안을 제시해 주지 않는 것이다. 과연 두가지 방법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는 것일까? 망 부하를 줄이기 위해서는 Wi-Fi와 펨토셀과 같은 대체제 투자, 3G 기지국 증설, LTE 조기 도입과 같은 이차원적인 대응도 함께 논의되어야 한다.

망부하는 분명히 Fact이기는 하지만 최근 언론에 너무 자주 노출되는 것이 의아하다. 그럴리는 없겠지만 무제한 요금제를 없애기 위한 정당성 확보와 2011년 6월에 결정되는 주파수 재할당에 유리한 조건을 만들기 위한 '언론 플레이'같다는 느낌이 든다. 이러한 의심을 없애기 위해서는 통신사는 위에서 이야기한 일차원적 & 이차원적 방법들 외에도 다양한 방법의 해결책을 내놓아야 한다. 망에 대한 일차적인 관리의 책임은 바로 그들에게 있기 때문이다.


스마트 요금제의 아쉬움

대부분의 해외 통신사 정책도 국내와 대동소이하지만 일부 통신사들은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헤비 유저용 별도 요금제'이다. '헤비 유저용 별도 요금제'란 소수의 트래픽 헤비 유저를 대상으로 별도의 요금 정책 개발하는 것을 말한다. 국내의 경우도 3G 트래픽 경우 상위 5%가 77%를, 10%가 93%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네트워크가 상대적으로 여유있는 비인기 시간대를 택할 경우 요금 혜택 제공 그 외 시간대에는 추가요금 가산하여 효율적인 망 사용을 유도했다. 기존 무제한 요금제를 유지하면서 QoS를 시간대별로 관리하여 망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이다. 국내에도 동일한 요금제를 적용하자는 이야기가 아니고 무제한 요금제를 유지하면서도 망부하를 줄일 수 있는 좀 더 스마트한 방법을 함께 제시해 달라는 것이다.


망에 대한 새로운 부가수익을 찾아야

통신사는 망투자를 단순히 Pipe를 추가하는 것이라고만 생각한다면 지금과 같은 트래픽 논란은 끝이 없을 것이다. 통신 환경이 좋아지는만큼 대용량 트래픽을 사용하는 서비스가 활성화되기 때문이다. 이는 LTE가 모든 것을 해결하는 만능 해결사는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통신사는 투자를 최소화하고 부가수익을 통해 비용을 회수할 수 있는 구조를 스스로 만들어야 한다. 대표적으로 통신사별 자체 Wi-Fi망 구축으로 인해 생기는 주파수 간섭과 중복 투자를 해결해야 한다. 또한, 'Wi-Fi를 둘러싼 통신사와 커피전문점 대결'에서 소개한 것처럼 Wi-Fi를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해야 한다. 핫스팟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Local 광고를 Push하여 Upstream Bunisess를 넓혀갈 필요가 있다.

필요하다면 무제한 요금제 폐지와 종량제로 가야겠지만 그 전에 다양한 해결책을 제시하여 소비자 부담을 최소화해야 한다. 새로운 시도조차 하지 않고 폐지를 논하는 것은 '방임'에 가깝다. 지금의 모바일 트래픽 문제를 해결하는 최우선적인 것은 스마트한 요금제 설계와 부가 서비스 전략이다. 교수님과 통신사 임원들이 모여서 누구나 생각하는 평범한 주제로 진행되는 일차원적인 토론회는 그 이후에 가져도 충분하다.
2011/04/12 08:28 2011/04/12 08:28
top

  1. saint 2011/04/12 09:09 PERM. MOD/DEL REPLY

    SKT가 시작한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를 먼저 폐지하면 KT와 LGU 도 '얼씨구나'하고 그대로 따라하지 않을거란걸 너무 잘 알고 있을겁니다. 당장은 '주파수 경매'에서 주파수 확보를 위한 목적이고, 결과가 나온 이 후 '무제한' 폐지 얘기가 본격화되겠지요. 지금보다 하반기가 꽤나 시끄러울 것 같아요. ^^

 

Wi-Fi를 둘러싼 통신사와 커피전문점 대결


급증하는 국내 Wi-Fi Zon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근 국내 Wi-Fi Zone에 대한 관심과 성장세를 보면, 초고속 인터넷망이 급속도로 확산되었던 데자뷰를 보는 듯 하다. 통신업계가 지와이어의 자료를 기반으로 조사한 보고서에 의하면 지난 4월 12,800개에 지나지 않았던 국내 Wi-Fi Zone의 갯수는 6개월만에 3배 가량이 증가하여 12월 초에는 66,000개로 증가하였다.


통신사들이 앞장서는 Wi-Fi 확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와이어 보고서에서 언급한 66,000개와 LG U+에서 최근 발표한 U+ Zone 100만개를 포함하면 실질적인 국내 Wi-Fi Zone은 약 106만개에 이르고 있다. 이런 사업자 Wi-Fi Zone은 통신사가 주도하면서 확산시키고 있다. KT의 '올레 와이파이존', SKT의 'T와이파이존'이 초기 시장을 형성하였고, 070 인터넷전화 무선랜 지역을 공개 Wi-Fi Zone으로 전환한 'U+ Zone'이 양적인 면에서 시장을 압도하고 있다. KT는 2011년에는 '올레 와이파이존'을 5만대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을 공식적으로 발표를 하였고 LG U+은 U+ Zone AP을 2012년까지 250만대로 늘려갈 계획이다.


3G 네트워크에 대한 부담감

사용자 삽입 이미지

Wi-Fi를 접속하는 기기로는 노트북이 66.0%로 가장 높았다. 노트북은 대부분 이동 중인 아닌 집이나 회사와 같은 고정된 장소일 확률이 높다. Mobile 기기로는 역시 스마트폰을 포함한 이동전화가 43.9%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통신사가 Wi-Fi Zone 확보에 신경 써야 하는 첫번째 이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또한, 스마트폰 확대로 인해 통신사 입장에서 3G망 Traffic은 상당히 부담이 되고 상황이다. 각 통신사들이 내놓은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로 인해 이런 상황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4G와 같은 대체제와 함께 Wi-Fi는 보완제로 인식되어 가면서 통신사들의 Wi-Fi Zone에 대한 투자는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비즈니스 모델을 고민하는 통신사


Wi-Fi Zone 구축에 필요한 투자가 만만치 않다 보니 통신사들은 Wi-Fi Zone을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고민을 시작하였다. SKT는 HD 영상통화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Wi-Fi Zone에서 이용할 때 초당 1.8원의 요금을 받기로 했다. KT는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Wi-Fi Zone내에서의 부분 유료화를 하였다.

통신사들의 '수익모델 찾기'는 너무나 당연한 내용이지만 '사용자 과금'이라는 1차원적인 접근에는 다소 아쉬움이 남는다. 해외에서는 초기 페이지를 통한 유료 컨텐츠 노출이나 광고를 통한 수입을 기대하는 사례들이 많다. 영국 BT는 지와이어와 제휴를 통해 지역기반 모바일광고 사업을 시도하였다. 사용자가 Wi-Fi Zone AP에 접속하면 해당 위치에서 가까운 곳의 각종 상품·서비스 광고를 디스플레이하여 수익을 발생시키는 형태이다.


'정보 검색'이 주요 방문 이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근 트렌드모니터에서 Wi-Fi Zone 내의 사용자 이용 행태에 대한 조사를 했는데, 가장 특징적인 것은 일반 사용자들이 생각하는 Wi-Fi Zone의 모습이다. Wi-Fi Zone을 단순히 길거리에 있는 Public AP가 아니라 물리적인 공간으로 생각하는 듯 하다. Wi-Fi Zone을 방문하는 이유 중에서 42.7%가 '무료해서'라고 답한 것이 이채롭다.

Wi-Fi Zone에서 주로 사용하는 서비스는 무엇일까? 3G 네트워크 관리가 부담스러운 통신사 입장에서는 VOD나 Streaming 서비스와 같이 Traffic 사용량이 많은 서비스이기를 바라겠지만, 정보검색과 뉴스 검색이 20.5%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Traffic을 고려하면서 접속 네트워크를 이용자들이 선택해주기를 바라는 것은 애초에 과한 욕심이다.


새로운 경쟁자, 커피전문점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렇다면 일반 사용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Wi-Fi Zone은 어디일까? 가정과 직장을 제외하면 커피전문점(44.9%)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도넛&베이커리 역시 14.9%나 차지하여 요식업이 제공하는 Wi-Fi Zone에 대한 충성도가 높았다. 특히, 커피전문점 이용자들은 1주일에 1~2회 정도 이용하고 있으며, Wi-Fi를 사용하기 위해 일부러 찾는 장소는 커피전문점이 24.6%로, 가장 이용빈도가 높았다.

코피스(coffee+office)족 덕분에 '테이블 회전율' 논란은 있지만 대다수의 커피 전문점이 Wi-Fi를 기본적인 Infra로 지원하고 있다. 스타벅스코리아는 320개 전국 매장 가운데 260개가 Wi-Fi를 서비스 중이며, 할리스커피는 249개 전 매장에서 지원하고 있다. 엔제리너스커피는 전 매장의 70%(2010년 9월 기준)에서 Wi-Fi를 사용할 수 있다.


커피전문점의 진화

커피전문점은 더 이상 커피만 마시는 공간이 아닌 새로운 문화와 컨텐츠 소비 장소가 되고 있다. 스마트폰 주요 이용자인 20~30대 대학생과 직장인이 커피전문점의 주요 고객이라는 점에서 Wi-Fi를 통한 새로운 Value를 전달하고자 하는 시도가 시작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장 앞서가는 사업자는 스타벅스이다. 미국 스타벅스는 `스타벅스 디지털 네트워크`를 표방하며, 야후, 월스트리트저널, 뉴욕타임스, USA투데이 등의 컨텐츠 업체들과 제휴하여, 무료 Wi-Fi를 이용하는 고객에게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키로 했다. 매장에서 스마트폰 등으로 Wi-Fi에 접속하면 e북, 음악파일, 영화 등을 이용할 수 있는 Market에 접속할 수 있게 유도하는 방식이다.


통신사의 Wi-Fi Zone에 대한 투자는 너무나 당연한 것이다. 망사업자가 단순 Bit Pipe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Value Added된 모습으로 진화가 필요하다. 하지만, 통신사가 커피전문점을 비롯한 Offline Space와 결합된 Wi-Fi Zone과의 경쟁에서 성공할 수 있는 가능성은 높아보이지 않는다. 3G를 통한 접속을 제한적으로 차단하고 있는 m-VoIP와 같은 서비스들이 커피전문점의 G/W를 통해서 서비스된다면 음성통화의 Revenue도 위험할지 모르겠다. Infrastructure는 더 이상 헤게모니가 될 수 없는 세상이다.
2010/12/13 08:32 2010/12/13 08:32
top

  1. 해피프린팅 2010/12/13 10:50 PERM. MOD/DEL REPLY

    와이파이의 확대가 무서울 정도로 커지고 있는 것 같네요. 커피전문점들도 스타벅스처럼 좀 더 적극적으로 와이파이를 활용한 마케팅을 펼치는 자세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좋은글 감사히 잘 읽고 갑니다. ^^

  2. 제너시스템즈 2010/12/13 11:15 PERM. MOD/DEL REPLY

    저는 스마트폰이 생기기 전에는 와이파이는 그냥 070전화를 쓸 때나 사용하는거라고 생각했었습니다. 그런데 스마트폰이 생기고 나니(좀 덜 스마트한 스마트폰이긴 해도;;) 와이파이가 그렇게 좋을 수 없더군요. 특히 커피전문점에 와이파이가 안잡히면 화가 나기도 합니다. 허허허^^

  3. ㅇㅇ 2010/12/13 13:17 PERM. MOD/DEL REPLY

    미국이 선도기술을 보유한 분야라서 영어식 표현이 많이 사용되는건 피할 순 없겠지만..
    여기 블로거 쥔장님은 너무 과도하신듯.. 될 수 있는대로 쉬운 한글표현을 많이 써주셨으면 좋겠습니다. 한글을 쓰는 습관을 들이시면 처음에 불편해도 자주 사용하다보면 금방 익숙해집니다.

  4. 숲속얘기 2010/12/13 14:13 PERM. MOD/DEL REPLY

    '사용자 과금'이라는 1차원적인 접근에는 다소 아쉬움.. 이라는 점은 많이 생각해볼 만하네요. 좋은글 감사합니다.
    이동성이 떨어지며 정보소비성 기기인 아이패드와 갤패드는 결국 커피전문점을 한번 더 힘을 실어주는 기회가 아닐른지.

  5. 제너시스템즈 2010/12/13 14:25 PERM. MOD/DEL REPLY

    저렇게 자체의 컨텐츠와 외부 컨텐츠를 연결하는 허브를 고민해볼만도 할 것 같습니다. 점점 커피숍에서 시간때우는 사람들이 늘어날때 회전율을 늘리기보다 마케팅방법을 더 고민하겠죠^^;
    저희 블로그에서도 이런 상상으로 써본 글을 트랙백 남겨봅니다^^;

  6. 정석환 2010/12/14 13:14 PERM. MOD/DEL REPLY

 

친 Wi-Fi 정책로 선회하는 이통사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공중무선랜에 대한 관심과 통신사업자들의 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09년 전세계 공중무선랜 핫스팟 수는 약 29만개로 전년대비 21.9% 증가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가별 공중무선랜의 수를 비교해보면 미국이 월등히 많다. 의외로 중국이 많은 수의 핫스팟 존을 확보하여, 2위를 차지하고 있다. Top 10 국가 중에 6개의 국가가 유럽이라는 것은 무선에 강한 지역이라는 것을 느끼게 해준다. 한국의 경우는 7위로 전기와 동일한 순위를 유지하였다.

위 보고서에서 조사된 한국의 약 13,000여개의 핫스팟은 KT의 네스팟존이다. KT는 지금까지 네스팟에 약 2,000억원 정도를 투자하였고, 최근들어 투자는 거의 하지 않고 있는 형편이다. 참고로 이번에 조사된 바에 의하면 한국의 핫스팟존 증가율은 전기대비 0%였다.

증가율 0%로가 이야기 해주듯이 무선 ARPU하락을 두려워하여 Wi-Fi를 견제하던 이통사들 덕분에 국내에서의 공중무선랜 시장은 점차 존재감이 희미해져 가던 중이었다. 하지만, 최근 스마트폰의 성장으로 인해 이동통신망에 대한 Traffic에 부담스러워 하는 이통사들에게 Wi-Fi는 대체제로 인식되어 가고, Wi-Fi를 기반으로 하는 FMC등에 대한 관심이 늘어가면서 이통사들도 Wi-Fi 친화 정책으로 돌아서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통사들은 핫스팟 존 외에 인터넷 전화기를 판매하면서 개인 AP를 지원하고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WiFi 보급을 하고 있다. 이렇게 해서 보급된 AP는 KT 50만대, 통합LGT 170만대 정도이다. 이런 AP는 기존 핫스팟 존 처럼 인증을 처리하거나 공중 AP로서의 역할은 하지 않지만, 해당 업체의 특정 단말로는 접속이 가능하다.

인터넷 전화를 통해 AP를 확보 해놓은 통합 LGT는 아파트단지 및 대형상가를 중심으로 지속적은 투자를 할 계획하여, 올해말까지 230만 AP로 늘릴 예정이다. 그 동안 관심을 두지 않던 SKT 역시 T 멤버쉽 제휴 매장을 중심으로 AP 를 공급하여 3만개 정도를 올해말까지 확보할 예정이다. SKT는 공급된 AP를 FMC로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이통사들의 Wi-Fi 정책이 급격하게 변함에 따라 Wi-Fi를 탑재한 휴대폰이 늘어가고 있으며, 이는 세계적인 추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ABI Research의 최근 보고서에 의하면 2009년 Wi-Fi 탑재 휴대폰은 약 1억 4천만대 정도로 알려졌다. 이 수치는 전체 Wi-Fi 단말의 약 25%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동보고서에서는 2014년 Wi-Fi 탑재 휴대폰의 출하량이 5억대에 이르고, 전체 스마트폰의 90%가 Wi-Fi를 탑재할 것으로 전망하였다.(위의 그래프는 동일 기관의 예전 보고서 내용을 토대로 표를 구성해 놓은 것이니, 본문 내의 숫자와 맞지 않는다. 참고만 하기 바란다.)

Wi-Fi 탑재 스마트폰이 증가하면서 무선 AP 접속 단말 중 휴대폰이 차지하는 비중도 늘어나고 있다. In-Stat에 따르면 전체 핫스팟 접속 중 휴대폰 비중은 2008년 20%, 2009년 35%를 각각 차지하였다, 2011년에는 50%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최근 Wi-Fi 단말의 주요 이슈는 Wi-Fi Direct와 802.11n 이다. Wi-Fi Direct는 무선 AP 없이 Wi-Fi 를 탑재한 단말끼리 1:1 통신을 하는 기술이다. 시장에서는 2010년 말쯤에 공식 인증 휴대폰이 판매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Wi-Fi Direct는 망부하와 무관해지기 때문에 망사업자 입장에서도 부담이 없고, 기존 블루투스 시장을 흡수할 것으로 보고 있다.

802.11n은 기존 802.11b/g 에 비해 5배 정도 빠른 속도와 2배 정도의 넓은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ABI Research의 보고서에 의하면 2012년에는 시장의 주요 규격이 될 것이며, 2014년의 Wi-Fi 탑재 스마트폰의 87%는 802.11n을 탑재할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Wi-Fi Alliance가 인증한 802.11n 휴대폰은 10개로 모두 국내업체의 단말이다.
2010/04/08 09:55 2010/04/08 09:55
top

  1. kunmoo 2010/04/08 11:01 PERM. MOD/DEL REPLY

    어제 저도 이동통신망에서 와이파이망으로 사람들이 이동하는 모습의 kt 광고를 보면서, 드디어 한국 이통사들도 변하나 보다.. 라고 생각했었습니다. ㅎㅎ

  2. Susanna 2010/04/08 14:48 PERM. MOD/DEL REPLY

    공중무선랜 핫스팟수를 인구당 또는국가면적당으로 계산해 보면 순위가 바뀌지 않을까요? 중국이 우리 나라 보다 3배 정도 많다고 해도, 인구나 국가 면적으로 보면 우리 나라 핫스팟수 밀도가 더 높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3. 칠칠 2010/04/08 21:47 PERM. MOD/DEL REPLY

    Wi-Fi Direct 라면...
    닌텐도에 wi-fi 기능같은거죠?

  4. 걸음마 2010/04/25 16:54 PERM. MOD/DEL REPLY

    스마트폰 사용자 입장에서보면 WiFi존이 늘어남에 따라 무선 데이터 이용료에 대한 부담이 줄어 좋을 것 같은데... 이를 토대로 어떻한 수익모델이 나올지 기대되네요.
    개인적으로 기존 유선 인터넷처럼 공짜로 쓸수 있는 서비스로 그치지말았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5. 마이클 2011/04/12 20:47 PERM. MOD/DEL REPLY

    우리회사에서 WiFi Direct 기술을 이용한 개발지원 솔루션을 마련했습니다. 연락주세요.. 010-3260-2762

 

무선 Air의 보완재, WiFi


한 나라가 있다. 그 나라에는 지엄하신 나라법에 의해 3개의 음식점만 운영되고 있다. 그 나라 백성들은 외출하여 배가 고플때는 반드시 3개의 음식점 중에 한 군데에서만 음식을 먹을 수 있다. 3개의 음식점만 운영되나보니 폐해가 생길 수 밖에 없다. 아무리 뛰어난 요리사도 3군데 음식점 외에서는 음식을 판매할 수 없으니 음식점의 횡포가 심해지고 수익 분배에 불균형이 생긴다. 아무리 수고하여 음식을 만들어도 음식점 운영주의 입맛에 들지 못하면 아예 메뉴에서 제외되어 판매할 수가 없다.

소비자 입장에서도 답답할 노릇이다. 외출해서 어디서나 보이는 음식점에 들어가서 배를 채울 수 있는 이동성과 즉시성은 좋았지만 음식점들이 가게를 세우고 요리사들을 관리한다는 명목으로 음식값을 터무니없게 비싸게 부르는 것이다. 더욱 가관인 것은 소비자들이 음식을 시키려고 메뉴판만 볼려고 해도 돈을 내어야 하고, 서빙을 하는 비용도 음식과 별도로 지불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 먹는 음식의 비용보다 메뉴판을 보는 비용과 서빙 비용이 더 높아져서 사용자들의 불만이 극에 달하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와의 거리감으로 인해 음식점을 운영하는 3곳에도 운영의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음식점에 고용된 요리사나 고객들은 음식 비용만 내게 하면 자주 사용하겠다고 이야기 하지만 음식점을 만드는 비용이 많이 들었으니 '메뉴판 보는 비용'은 포기할 수 없다며 버티고 있다. 음식 판매를 위해서 메뉴판 보는 비용과 서빙 비용을 포기하는게 그렇게 힘든 것일까?


모바일 산업은 아무리 발전을 해도, 이통사의 그늘을 벗어나기가 힘들다. 이통사 권력의 핵심은 바로 'Air'이다. 무선 Air에 대한 비용이 주는 진입장벽과 시장 확산의 문제점에 대해서 여러 각도에서 비판과 접근이 있었지만 그들이 투자해서 만들어 놓은 시스템을 제 3자가 명령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다행히도 이러한 기존 Air에 대한 대체제들이 최근 많이 등장하고 있다. WiFi, Wibro, NetSpot, 펨토셀, 구글의 무선 풍선 등이 기존 무선 Air를 대체할 수 있는 네트워크로 우리에게 다가서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들 중 Post 무선 Air로 주목받고 있는 것은 당연히 WiFi 이다. 우리는 어디에서나 WiFi를 쉽게 만날 수 있다. 회사나 가정에서 쓰는 WiFi, 강남대로에서 쉽게 잡히는 공개 WiFi, 커피숍에서 제공하는 WiFi, myLG070 공유기를 통한 WiFi 등 다양하다. 이러한 WiFi 이용빈도의 증가는 세계적인 추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미국을 중심으로한 북미가 가장 많은 사용을 보이고 있고, 영국, 독일, 프랑스, 스위스, 네덜란드 등과 같은 유럽 역시 활발한 사용 증가를 나타낸다. 아시아 지역에서는 일본 정도가 조금 높을 뿐, 한국은 아직도 갈길이 멀다.

영국 BT사는 'BT Openzone'과 'BT FON'을 이용하고 있는데 2008년 4월부터 9월까지 전년대비 2배의 트래픽 상승을 보였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WiFi 사용 증가는 WiFi를 지원하는 Gadget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2008년 10월에 Wi-Fi Alliance에서 발표한 수치에 따르면 인증된 WiFi 내장 제품의 수가 통 5,000여종에 이른다. 이런 많은 제품 중에서도 WiFi 사용을 증가하는 대표적인 제품들이 있다.

iPod Touch, PSP, Palm TX 등의 경우에는 이통사 air 사용이 불가능하다 보니 100% WiFi를 이용하고 있다. 근래 모바일 산업의 핵으로 자리잡은 iPhone의 경우 전체 인터넷 접속의 42%를 WiFi를 이용해서 하고 있다. Blackberry 8820 역시 동일하게 WiFi를 사용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얼마전 리서치 컨설팅 전문기업 스트라베이스(STRABASE)에서 미국내 스마트폰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81%는 대부분의 인터넷 서비스 예를들어 검색 서비스나 이메일 그리고 웹 서핑 등을 이용할 때 3G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보다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응답했다. WiFi를 이용하는 디바이스도 스마트폰이 가장 높았다.

이러한 WiFi를 이용하는 스마트폰 사용자의 행태에 대해 이통사의 전략은 극명하게 두갈래도 구분된다. WiFi를 기존 망의 보완재로 인식하여 적극 활용하려는 이통사와 기존 Air의 자리를 뺏길까봐 방어적으로 나서는 이통사이다.

AT&T의 경우 2008년 11월에 WiFi 네트워크 사업자인 Wayport를 2억 7,700만달러에 인수하였다. AT&T는 이번 인수를 통해 핫스팟 3,000여개를 추가하였다. 또한, AT&T 사용자는 미국내 스타벅스와 맥도날드 점포에서는 핫스팟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미국 T-Mobile은 UMA 기반의 법인용 FMC 서비스 제공을 위해 2009년 1월에 Meru Networks와 제휴를 하였다. 펨토셀의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FMC의 활용도가 얼마나 높을지는 의문이 남지만 이번 제휴로 인해 법인 고객들은 옥외 무선 인프라와 옥내 WiFi 네트워크가 핸드오버가 된다. 반면에 Verizon이나 Sprint의 경우에는 미온적이거나 자사 고객의 WiFi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편 네트워크 기기들도 이에 맞추어 진화하고 있다. 일본 Willcom, Buffalo, Sanyo 는 공동으로 WiFi와 PHS를 동시에 지원하는 듀얼모드 AP '도코데모 WiFi'를 개발하여 2008년 10월에 발표하였고, 정식 발매는 2009년 봄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Skyhook의 WPS와 같은 WiFi 전용 솔루션 역시 주목받고 있다. WPS와 GPS는 서로 보완 작용을 하면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얻어오는데 좋은 방법이 되고 있다. WiFi AP가 많아질 수록 이러한 전용솔루션은 더욱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 이통사의 정책도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일부 WiFi를 열어주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들이 다양한 웹 컨텐츠를 접근할 수 있다. Protocol의 상이함으로 인해 기술적인 문제가 있지만 WiFi를 통해 기존의 무선 포탈의 컨텐츠에 접근하지 못하는 것이나, 웹뷰어는 사용할 수 없는 등 제한적인 모습이 다소 아쉬움이 남는다. WiFi던 펨토셀이던 느리고 비싼 air에 대한 비용이 낮아져서 모바일 컨텐트들이 사용자들에게 쉽게 다가설 수 있기를 바랄 뿐이다. 메뉴판 보는데 돈 내는 이상한 식당은 없어져야 하지 않을까?

2009/02/18 08:37 2009/02/18 08:37
top

  1. elixir 2009/02/18 08:58 PERM. MOD/DEL REPLY

    서두의 음식점 비유가 아주 적절하네요. 메뉴판 보는 데도 돈이 드는 이상한 나라 ㅠ.ㅠ

    mobizen 2009/02/18 11:34 PERM MOD/DEL

    '유료 메뉴판'에 대한 이야기는 저와 친분이 있는 지동아빠님(http://www.jdpapa.com/)이 종종 하시던 이야기 였는데 제가 살을 좀 더 붙혀 본 겁니다. 재미있으셨나요? 아니면 더 답답해지셨는지도...

  2. drzekil 2009/02/18 09:36 PERM. MOD/DEL REPLY

    Air라는 용어가 셀룰러 망을 이야기하는듯 하네요..
    셀룰러 망을 이야기하는데 Air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나요?
    이 포스트에서 처음 보는것 같아서요..

    내용은 참 재미있네요..^^
    개인적으로는 WiFi보다는 Wibro=Wimax가 더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WiFi는 통신 범위의 제약이 너무 큰것 같네요..

    mobizen 2009/02/18 11:36 PERM MOD/DEL

    Air는 통상적으로 무선 데이타 패킷을 의미하고, 모바일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무선 산업이 이통사 중심으로 진행됨에 따라 이통사 망을 통한 무선 패킷(셀룰러망이던 PCS이던, WCDMA던)이 Air을 지금까지 대변해 봤죠. 그래서 Air하면 통상 이통사 무선 패킷을 이야기 해 왔답니다. 물론, 점점 변하고 있죠. ^^

  3. 우기태 2009/02/18 10:17 PERM. MOD/DEL REPLY

    drzekil 글 관련…

    포스팅된 Air가 셀룰러 망으로 보이진 않는 것 같네요.
    제 눈엔 그냥 Wireless로 보이는데… 특히 Mobile Wireless를 위한 무선 통로
    Mobile Wireless에 이통사의 횡포가 심하다는 것이고…(메뉴판 보는데 돈 나간다자나요 ^^)

    그리고.. Wibro = Mobile Wimax의(MAN범위) MAC과 PHY가 WI-FI기반인데(LAN범위)….
    와이브로가 와이파이보다 전망이 좋다는 말은 이해가 되질 않네요…
    상보적 관계인 둘 사이에서 특히 와이브로는 Wi-Fi 없이는 살수가 없질 않을까요.. 와이파이야 다른 네트워크에 붙어도 무방하니 독립될 수 있겠지만…

    와이브로를 무상으로 이용가능 한 건지도 여쭤보고 싶네요….
    구글에서 clearwire를 통해 mobile wimax를 무상으로 배포한다는 건 아닐텐데…

    mobizen 2009/02/18 11:37 PERM MOD/DEL

    절대 동감합니다. 무엇이 전망이 좋다라기 보다는 서로 보완재가 아닐까 합니다. Wibro 산업을 이끌고 있는 기업체들이 기존 이통사라는 것도 무시할 수 없는 포인트죠.

  4. 비밀방문자 2009/02/18 10:34 PERM. MOD/DEL REPLY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mobizen 2009/02/18 11:38 PERM MOD/DEL

    네. 정보 감사합니다. ^^

  5. 어나니머스 2009/02/18 11:23 PERM. MOD/DEL REPLY

    wifi에 BM 붙이기가 x같으니 wibro가 대세라는 거 아닐까요...
    네..전 wibro에 기생하며 밥 빌어먹습니다..-_-
    공부좀 해야하는데..

  6. 어나니머스 2009/02/18 11:24 PERM. MOD/DEL REPLY

    비젠님 아이디어점 -_-ㅋ 이러고있다 ;;;

    mobizen 2009/02/18 11:38 PERM MOD/DEL

    ^^

  7. David 2009/02/18 21:23 PERM. MOD/DEL REPLY

    서막(?)이 이상해서 개인적인 이야기인 줄 알았는데 비유였군요. 좋은 정보 얻고 갑니다.^^

    mobizen 2009/02/19 02:11 PERM MOD/DEL

    비유를 해보았는데 재미있으셨나 모르겠습니다 ㅎㅎ

  8. wizArD 2009/02/18 23:42 PERM. MOD/DEL REPLY

    WiFi는 wireless지만 fixed이고, Wimax/Wibro는 wireless & mobile이라서 상호보완적인 성격이 강하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그래봤자 어차피 그 한정된 range로는 한계가 있으니, 막강한 coverage를 확보한 이통사들의 메뉴판 장사는 당분간 계속 되겠죠;;;

    mobizen 2009/02/19 02:11 PERM MOD/DEL

    맞습니다. 관건은 커버리지요. WiFi던 WiMax이건 커버리지 확장을 하려하면 정작 시행주체자는 지금의 이통사가 되는 현실이 조금 답답하긴 합니다. ^^

  9. 개발자A 2009/02/19 18:51 PERM. MOD/DEL REPLY

    매번 글 잘 읽고 갑니다. Wifi 와 무선이 핸드 오버가 된다는 건 정말 최고네요.
    저는 두번째로 큰 식당을 이용합니다. ㅎㅎ

    mobizen 2009/02/20 13:20 PERM MOD/DEL

    기술의 발전은 빠르니깐요. 대체제만 나오면 시장의 변화가 클 것이라고 봅니다.

  10. 라이츠 2009/02/23 15:19 PERM. MOD/DEL REPLY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포털쪽에 있다보니 포털만 바라보다, 최근 아이팟터치를 이용하면서 부쩍 무선에대한 관심이 높아졌는데,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mobizen 2009/02/24 00:47 PERM MOD/DEL

    재미있게 보셨다니 다행입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모바일 네트워크 진화도



모바일 네트워크 진화도를 2003년 ATLAS 자료를 기준으로 해서 약간 수정해서 만들어 보았다.
이런 자료... 누구나 다 알고 있고 흔한 것 같지만 막상 구할려면 없다. HSDPA 까지 포함된 자료는 정말 구하기 힘들다.

네트워크 장비 개발자가 아닌 바에야 사실 위의 정보를 그다지 사용할일이 없다.
그래서 이런건 뭐 먹고 사는데 필요없자나.. 라고 가볍게들 넘어가는데..
개발이던, 기획이던, 사업이던..
가장 중요한 것은 "기본"과 "마인드"이다.
하단부에 어떤 메카니즘이 있고, 어떤 대역폭과 어떤 구성에 따라 어떤 킬러 컨텐츠나 어떤서비스가 차세대 주자가 될지 예측하는 것은 무척이나 중요하다.
우리는 너무 바쁘게만 달려서 알면서도 이런걸 간과하기가 쉽다.

다들 알겠지만 잠깐 설명을 좀 하자면..
좌측 부분이 이동통신에 대한 내용이다.
중간 부분의 '802.11'의 무선랜 규약이 흔히 말하는 와이파이(Wi-Fi)이다.
그 오른쪽에 위치하는 '802.16'은 와이맥스(Wimax)를 말한다.
그 상단부에 있는 '802.11e'가 요즘 회자되고 있는 와이브로이다.
와이브로가 고정형 와이맥스인 '802.11d'와 '802.11e'사이에서 참 탈이 많았는데 그 이야기를 하려는 포스트는 아니므로 담에 기회가 있을 때 설명하겠다.
우측끝에 있는 DMB가 지상파와 위성파로 나누어 졌다는 것은 다 알고 있을테고..

가장 우측에 있는 DNLA를 보자.
다들 용어가 생소할 것이다. 최근에 중요한 이슈로 되는 홈네트워크를 기반으로한 진정한 유비쿼터스를 위한 기술이다.
불과 일주일전까지 몰랐던 이 단어가 이젠 중요해져버렸다.
적어도 나에게는..................
2006/08/25 17:18 2006/08/25 17:18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