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컨텐츠 이야기


2012년 11월, 국내 모바일 인터넷 현황


국내 스마트폰 가입자 3천만 시대이다. 시장의 변화는 빨라졌고 사용자들의 이용 행태는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온전히 이해할 수는 없겠지만 시장(market)이 이야기해주는양한 수치에 귀를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내 모바일 시장에 대한 최신 보고서들을 통해 시장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상이한 보고서를 한꺼번에 모아서 포스팅을 하다보니 다소 산만하기는 하니 양해를 부탁드린다.


스마트폰은 '삼성천하'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12년 10월 4주차 통계를 보면 국내 스마트폰은 삼성전자가 장악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op 10중 2개를 제외하면 모두 삼성전자의 스마트폰이다. 갤럭시노트시리즈와 갤럭시 S3가 신규 판매의 46.1%를 차지하고 있다. 옵티머스 LTE 2와 베가 LTE M만이 LG전자와 SKY의 존재사실을 미약하게 확인시켜 주고 있을 뿐이다.


Android가 대세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단말 판매 현황이 이렇다보니 스마트폰의 리더격인 iOS사용자는 국내에서는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두잇서베이에서 설문을 진행한 결과 Android 사용자가 iOS의 5.14배나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남성은 Android 점유율이 78.8%로 여성보다 훨씬 높았고, 여성은 블랙베리와 윈폰등과 같은 기타 비중이 23.2%나 차지하고 있었다.


모바일웹은 여전히 포탈 종속적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바일웹 Top 10을 살펴보면 naver.com과 daum.net이 나란히 1,2위를 차지하고 있어 여전히 포탈의 장악력이 유효한 것을 알 수 있다. Facebook과  Twitter 등과 같은 SNS를 모바일앱이 아닌 웹사이트를 통해 이용하는 것도 다소 의외이다. 유선에 비해 구글(google.com, google.co.kr)의 방문자가 높은 것은 Android 단말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모바일앱은 카카오와 내장앱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바일앱 Top 10에서 6개가 OS 또는 제조사의 프리로드 앱이 차지하고 있어 '출구 전략'의 중요함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닐슨 코리안클릭의 지표는 Android 사용자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해석할 필요가 있다. 카카오톡과 카카오스토리, 드래곤 플라이트 등의 트래픽 상황을 보면 카카오톡이 플랫폼으로서 성공적인 안착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애니팡'과 '드래곤 플라이트' 등과 같은 카카오톡 게임센터에 들어가는 앱들은 상승세만큼이나 하락의 속도도 매우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바일이 전체 트래픽의 29.87%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바일이 전체 트래픽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큰 편이다. 7월( 30.10% )에서 9월( 29.88%)로 소폭 감소하기는 했지만 분기 전체 29.87%로 매우 빠르게 성장 중에 있다. 스마트폰 서비스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고 유선 트래픽의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당분간 이러한 추이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모바일 트래픽은 저녁시간에도 안정적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간별 트래픽 추이는 과거에 발표된 여러 보고서와 크게 다르지 않다. 유선은 업무 시간 동안 일정한 트래픽을 유지하다가 퇴근 시간 이후에 급격히 낮아지는 모습을 보인다. 모바일은 출근 시간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퇴근 시간 이후에도 크게 줄어들지 않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취침시간 직전에 소폭 상승하는 것도 특징적인 모습이다.


주말에는 모바일이 강세

사용자 삽입 이미지

평일과 주말 사이의 트래픽 변화도 흥미롭다. 유선의 주말 트래픽은 평일의 60.44%에 지나지 않지만 모바일은 90.47%로 거의 변화가 없는 모습이다. 에이스카운터의 자료에 의하면 2012년 9월의 경우 주말 모바일 트래픽이 평일 대비 105%까지 기록한 적도 있어 근무를 하지 않는 주말에 모바일 의존도가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12/11/19 14:31 2012/11/19 14:31
top

  1. 비밀방문자 2012/11/20 15:19 PERM. MOD/DEL REPLY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2. dlwlstka 2013/03/05 14:53 PERM. MOD/DEL REPLY

    국내 휴대폰 판매량 정보 어디서 볼 수 있나요?

 

Feature Phone, Smart Phone 그리고 iPad


IMS Research 보고서에 의하면 현재 Connected Device는 약 50억대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약 10억대 정도로 이야기 되는 컴퓨터(PC, 노트북 등)를 제외하면 Smart Phone, Tablet PC, IPTV, 기타 무선 단말, M2M 등의 다양한 Connected Device가 벌써 40억대를 차지하고 있다는 이야기이다.

전세계 Connected Device의 제왕으로 홀로 군림했던 PC의 경우와는 다르게 Post PC 시대는 Smart Phone을 비롯한 다양한 Connected Device가 각자의 영역에서 고유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보인다. 서비스 사업자들은 다양한 Connected Device들의 특징과 이를 소비하는 사용자 행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iPad(Tablet PC)를 중심으로 하여 여러 Connected Device를 서로 비교해 가면서 특징을 이해해 보도록 하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먼저, 기기별 이용률(보급율)을 비교를 해보면 Smartphone이 25%로 가장 높고, iPad를 비롯한 Tablet PC는 4%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iPad의 탄생 이후 생명이 끝났다고 치부되는 eBook Reader의 이용률은 6%로 아직까지는 Tablet PC보다 높은 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근 일본 D.A. Consortium의 보고서에서는 Feature Phone, Smart Phone, iPad 사용자들의 주요 특성을 비교하여 발표하였다. 해당 보고서에 의하면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의 손 안에 있는 Smart Phone의 무선인터넷 사용률 77.2%로 가장 높았다. iPad의 경우 60%에 불과하여 예상보다 저조하였다. 해당 항목은 1일 1회 이상 무선인터넷을 사용하는 경우를 조사한 것이다.

Feature Phone은 이미 대중화가 된지 오래된 기기로 특정 사용자 계층을 구분하는게 의미가 없는 반면 Smart Phone과 iPad는 30~40대 남성 사용자가 많았다. 특히, iPad의 경우 '얼리 어댑터'적인 성향이 높은 사용자가 주요 사용자로 조사되었다. Smart Phone으로는 게임과 뉴스 컨텐츠를 선호했으며, iPad는 전자책이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Nielsen 보고서에서는 특정 기기를 사용함으로 스스로 '얼리 어댑터'라고 느껴지는 비율을 조사했는데 Tablet PC가 48%로 가장 높았다. Portable Game Player은 37%로 그 뒤를 기록하였다. 이미 일반화된 Netbook의 경우는 26%에 불과하였고, Smartphone도 빠르게 보급율이 증가함에 따라 30%밖에 되지 않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Kindle, iPad, iPhone, iPod Touch 등과 같은 '얼리 어댑터'의 성향이 강한 Device들은 모두 25~34세의 사용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iPad의 경우에는 18~24세의 사용자도 21%로 매우 높은 특징을 보였다. Kindle의 경우에는 연령대별 편차가 심하지 않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iPad 이용자들의 성별 비율은 남성 65%, 여성 35%로 남성 중심의 Device로 조사되었다. 이를 제외한 Portable Device들은 모두 남성 52%, 여성 48%로 비슷한 비율과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eBook Reader와 Smart Phone은 본인만 사용하는 개인용 기기의 성격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Media Player와 콘솔 게임들은 타인과 공유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t PC는 공유 46%, 본인만 사용 54%로 조사되어 Home Device(또는 Family Device)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각 기기별 컨텐츠 이용률을 비교하면 Smart Phone이 모든 분야에서 월등하게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단 한가지, 54.3%를 기록한 전자 서적의 경우 iPad가 Smart Phone보다 높은 이용률을 보였다. 이러한 조사 결과가 모두가 기대하는 iPad 효과 때문인지, 일본 시장이라는 독특한 특징 때문인지를 판단하는 것은 각자의 몫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iPad 사용자들은 Book, TV Show, Movie, Magazines 과 같은 컨텐츠의 이용에서는 iPhone 사용자들보다는 높은 활용도를 보였다. 반면, News, Music 등에서는 iPhone 사용자들보다는 적게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iPad에서는 Media 적인 성향을 가진 컨텐츠를 소비하는 경우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각 기기들의 시간대별 무선인터넷 이용률을 비교를 해보면 전반적으로 Smart Phone 이용자들이 높은 무선 인터넷 이용을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18시부터 iPad의 이용률이 급격히 올라가서 Smart Phone과 비슷한 수준을 보여주고, 21시부터는 Smart Phone을 넘어서는 모습을 보이는 것도 특징적이다. 'Desktop, Smart Phone 그리고 Tablet PC'에서도 이미 공유한 바와 같이 저녁식사 이후에 iPad의 이용률이 증가하다가 잠자기 직전이 가장 Peak인 것이다. 주말은 평일과 유사한 패턴을 보이지만 전반적으로 높은 사용을 하고 있었다.

다양한 자료를 통해 iPad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Segment와 선호하는 컨텐츠 유형과 시간대별 사용을 알아보았다. 사실 iPad와 같이 아직까지 대중화되지 않는 Device의 User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성별, 연령대별 구분보다는 성향과 목적별 구분이 좀 더 의미가 있다. 위의 자료를 통해 Connected Device별 사용자 성향과 이용 목적을 이해하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2010/11/02 08:39 2010/11/02 08:39
top

  1. 에스텔 2010/11/02 09:30 PERM. MOD/DEL REPLY

    역시 일본이라그런지 모바일 인터넷 이용률이 굉장하네요 하긴 스마트폰때문에 기가 죽었을뿐이지 한때 미국보다 3G시장이 더 컸던 나라이니 그렇지만요.

  2. 비밀방문자 2011/01/03 20:04 PERM. MOD/DEL REPLY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