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컨텐츠 이야기


버전별 iOS 사용 비중


단편화 문제가 심각한 Android에서는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데이터지만 iOS에서는 구하기 힘든 자료를 Chitika에서 발표했다. iOS 5.1.1이 70.67%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하위 버전을 사용하는 경우도 결코 작지 않다. 동일한 조사에서 Android는 Ginger Bread가 71.10%를 차지하는 것으로 발표되었다.

 

2012/07/27 14:00 2012/07/27 14:00
top

 

Android 버전별 비중


이제는 고전이라고 말할 수 있는 Android의 단편화 이슈. Google마저 해결할 의지를 놓아버린 것 같은 느낌이다. 단편화는 Android버전에서부터 시작된다. 최근 자료를 보니 ICS의 비중이 아직도 10.9%에 지나지 않는다. 4.0.X 버전이 나온 상황에서 2.3.X대의 마늘빵 사용자가 가장 많은 Android의 상황은 여러모로 불편한 진실(?)을 내포하고 있다. 스크린 크기, 단말의 스팩, 동일한 버전임에도 구현에 따라 다르게 동작하는 Android 단편화는 개발자들의 골치거리이다.

 

2012/07/04 10:00 2012/07/04 10:00
top

 

상반된 Android와 iOS의 단편화 방향


해결되지 않은 Android 단편화

사용자 삽입 이미지

Android의 버전별 시장 비중을 같이 보도록 하자. 2.3.X가 가장 많지만 58.6%밖에 되지 않는다. 2.2는 27.8%나 되어 무시할 수 없는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4.0.X는 1.0%에 불과하다. 갤럭시 시리즈를 비롯한 인기 Android 단말들이 조만간 ICS로 업데이트되면 Android의 버전별 비중은 한번 더 요동칠 것으로 보인다.

Android의 단편화를 OS버전, 해상도, LCD 크기와 같은 단순한 시각으로 볼 수는 없다. 단말 포팅에 따라 API 동작이 달라지거나 특정 하드웨어가 없는 경우는 물론이고 단말 성능의 문제도 단편화를 야기시킨다. 다양한 App 배포 마켓 관리 또한 예상보다 관리 비용이 많이 드는 부분이다. Android의 단편화는 태생적인 문제로 해결될 수 있는 성격이 아니며 '안드로이드 진영의 탈 구글 현상'에서 언급한 현상등으로 인해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단편화를 바라보는 개발자들의 시선

어떤 제품을 개발하는지에 따라 Android의 단편화를 바라보는 개발자들의 시선은 상이하다. 단말 개발을 하거나 생산성, 유틸리티 App을 만드는 개발자들은 대체로 단편화에 관대한 편이다. 반면에 카메라, 동영상 플레이어, 음성 등과 같이 단말 포팅과 제원에 따라 민감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품의 경우 단편화에 따른 개발 비용 상승에 민감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체 개발자들이 느끼는 Android 단편화의 심각성은 어느 정도일까? Baird Research의 William Powers가 공개한 보고서에 의하면 개발자의 86%는 'Android 단편화가 문제'라고 생각하고 있다. 특히, 응답자의 24%는 '매우 심각하다'고 답변하여 무능력한 개발자들의 엄살로 치부할 수는 없게 보인다.


iOS의 단편화도 무시할 수 없는 수준

Android에 비해 단편화에 대한 공격을 상대적으로 덜 받고 있는 iOS도 자세히 들여다보면 점차 심각해지고 있다. iPhone, iPad, iPod 와 같이 성격과 성능이 다른 3 종류의 단말이 있으며 각 단말마다 다양한 모델이 존재한다. iPad3와 iPhone5가 발표된다면 Device 단편화는 더욱 심화될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Android만큼 iOS 버전 단편화도 심화되고 있다. 약간 오래된 자료이기는 하지만 Thomas Hajcak 자료를 보면 5.X를 사용하는 Device는 전체의 48.48%로 과반수가 되지 않는다. 4.3.X 29.82%, 4.2.X 15.62% 등이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40%의 Device가 여전히 3.X를 사용한다는 것도 이채롭다.


예상보다 낮은 iOS5 사용 비율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11년 10월, Siri, iCloud, iMessage 등으로 무장한 iOS5가 출시되었다. iOS 사용자들은 Android에 비해 좀 더 능동적이고 새로운 제품에 대한 흡수가 빨라 대부분 최신 OS 버전을 쓸 것이라는 예상을 하기 쉽다. 하지만, 위의 Thomas Hajcak 보고서에서 소개한 것처럼 iOS5의 전체 비중은 48.48%에 불과하다. 또한, 2011년 10월 기준으로 iPad 2 사용자 36%, iPhone 4 사용자 35%만이 iOS5를 사용하고 있었다. 여러 성능상의 이유로 4.X를 선호하는 사용자들도 생기면서 iOS 버전 단편화도 Android 못지 않은 상황이다.


상반된 단편화의 방향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근 Jumptap 보고서에서 OS 버전별 CTR를 비교했는데 그 결과가 흥미롭다. iOS의 경우 3.X 0.61%, 5.X 0.91%로 최신 버전의 Device일 수록 높은 CTR을 보여주었다. 반면, Android의 경우 1.X 0.75%, 3.X 0.59%로 최신 버전일수록 낮은 CTR을 나타냈다. 광고 반응면에서 iOS와 Android의 버전 단편화는 완전히 상반된 내용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단편화에 대한 전략적 판단이 중요

빠르게 진화하고 있는 Mobile OS들과 다양한 제품 경쟁 상황 속에서 단편화가 생기는 것은 어쩔 수가 없다. 호불호를 논하기 전에 받아드릴 수 밖에 없는 시장의 요소인 것이다. 서비스 사업자에게는 단편화에 따른 이용 행태에 어떤 차이가 있으며 이를 이용하는 전략적 판단을 내리는 것이 중요할 뿐이다.

CTR는 서비스 트래픽과 충성도에 비례하게 되므로 전반적인 온라인 활동율로 해석해도 무방하다. iOS와 Android 모두 최신 버전으로 직접 업그레이드 비율이 그다지 높지 않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면 iOS는 최근에 단말을 구입한 사용자일수록 온라인 활동의 충성도가 높은 반면 Android 최신 단말 사용자들은 낮은 충성도를 갖는 것으로 추론이 가능하다. 물론, 단 하나의 보고서로 모든 것을 판단할 수는 없지만 iOS는 Traffic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서비스나 Open Market에 적절한 플랫폼이고 Android는 특정 단말에 최적화된 '제조사 친화적'인 비즈니스 구조에 유리하다.
2012/02/13 08:24 2012/02/13 08:24
top

  1. J 2012/02/13 12:02 PERM. MOD/DEL REPLY

    좋은 글 감사합니다.
    제 생각에 단편화문제는 실제로 더 심각할 것 같습니다.
    단편화에 대한 통계가 사실 전수조사 혹은 정확한 오차범위를 추정할 수 있는 조사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안드로이드 단편화 통계는 일정기간내 안드로이드마켓에 접속한 기기에 대한 통계로 알고 있습니다. (정확한 조사방법은 모르겠지만, ios도 애플이 발표하지 않는이상 통계에 대한 신뢰도는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이 경우, 스마트폰을 사고 안드로이드마켓에 접속조차 하지 않는 폰들은 통계에서 아예 제외됩니다, 일반적으로 최신폰들이, 그리고 폰을 새로 구입한 경우 마켓에 좀 더 접속하는 경향이 있고, 단편화는 실제보다 훨씬 양호하게 보일 가능성이 큽니다.
    물론 개발자 입장에서 마켓고객이 중요하니 의미있는 데이타일 수 있으나, 실제 단편화 문제, 그리고 특정버전을 대상으로 시장크기를 계산할 때, 큰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많습니다.

  2. Wisedog 2012/02/13 12:15 PERM. MOD/DEL REPLY

    안드로이드 OS단편화는 심각한 문제가 아닙니다. 각 기기간 상이한 하드웨어 단편화가 심각한 문제지요.(이건 안드로이드OS와는 다른 문제입니다) 제가 카메라 관련 SW를 개발했을때에는 각 제조사별로 동작법이 달라서 엄청 애먹었습니다. 게다가 모든 기종을 다 지원 못하고 있구요.

    iOS를 개발해보면 안드로이드보다는 나아요. 기기 몇 대에서 테스트를 하면 모든 기기에서 동작한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거든요. 안드로이드는 하면 할수록 다른 기기에서 잘 돌아갈까 하는 의문감이 들지요. 모든 기기를 다 살수도 없는 노릇이고.

 

비만증에 걸린 Mobile Application


사용자 삽입 이미지

"Less is more!"는 현대 건축의 3대 거장 가운데 한 사람인 미스 반 데어 로에가 해서 유명해진 말이다. 이는 단순히 건축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서비스 설계에서 잊지 말아야 할 중요한 이야기이다. 서비스의 기능, 사용성, 설명 등의 친절함은 지나치게 과하지 않아야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Web의 기존 PC Application 대비 경쟁력은 Hyper Link를 통한 정보의 확장이었다. Context 또는 Category를 중심으로 유사한 Contents와 기능을 노출시키고 사용자들이 다양한 정보를 흡수하고 즐길 수 있게 한 것이다. Web이 선사한 Hyper Link는 PC Application에게는 없는 새로운 사용자 경험이었다. 사용자들은 끝없는 정보의 바다를 Browser라는 단 하나의 Application를 통해 즐길 수 있게 된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mobizen은 i-Mode와 Kitty Hawk 기반에서 Mobile Application 개발을 시작했었다. i-Mode는 Application 용량이 10KB를 넘지 않도록 개발해야 했고, Kitty Hawk는 25~27KB가 제한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 이후 개인적으로 많은 모바일 플랫폼을 경험해왔는데 'Mobile Application은 가장 핵심적인 기능을 가장 간결하고 빠른 접근성으로 사용자들에게 전달해야 한다는 것'은 공통된 교훈이었다. 이는 플랫폼, 단말 하드웨어, 네트워크의 성능과 무관한 Mobile의 고유한 특징이다.

모바일과 유선의 구분이 모호한 지금은 다양한 사업자들이 Mobile Application을 개발하고 있다. 그들이 만들어낸 일부 Application은 아이디어, 안정성, 사업성 등에서 훌륭했다. 특히, 대형 웹포탈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웹컨텐츠가 모바일로 유입되는 것은 모바일 에코시스템을 풍성하게 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신규 모바일 사업자들은 개발 방법과 Contents의 전달하는 방식이 가끔 모바일스럽지 않다는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 특히, 대형 웹포탈에서 만들어 내는 Mobile Appplication을 보면 국내 포탈의 초기 화면을 보는 듯하다. 사용자에게 필요한 것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보여주고 싶은 내용을 배치할 뿐이다.

시간이 흐르고 차별성이 강조되면서 Mobile Application이 가져야 할 간결함이 사라지고 있다. 버전업이 되면서 비대해지고 있는 것이다. 지방을 주체하지 못한 비만증 환자의 모습이다. 과한 친절함은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불편함으로 다가선다.

Mobile은 PC Web과는 다른 Media인 것을 망각한 것일까? 개인적으로 최근 Mobile Application들의 지방덩어리들이 참 거슬린다. 서비스 확장이 필요하다면 그 시간에 3rd Party들이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 개발과 개방을 고민하는 것이 맞다. 다시 한번 자신이 개발하고 있는 Application Feature List의 양을 살펴보기 바란다.

"Less is more!"
2011/01/29 12:06 2011/01/29 12:06
top

  1. 날자고도 2011/01/30 16:00 PERM. MOD/DEL REPLY

    심플이즈 베스트와 비슷한 의미이군요

  2. 광식이 2011/01/31 10:54 PERM. MOD/DEL REPLY

    조작하기 쉽고, 간편한 App겜이 다운로드 탑순위에 드는 것처럼, 다른 어플들도 결국 시장에서 판단해주겠죠.

  3. charlie shin 2011/01/31 11:02 PERM. MOD/DEL REPLY

    제가 보기에는 매우 너그럽게(?) 써주셨네요 ㅎㅎㅎ
    단지, 심플한게 좋은거다 라는 일반화의 문제 이상으로 저는 좀 심각하게 봅니다.
    요즘 업데이트 되는 주요 앱들의 문제점에 대해서 200% 공감합니다. 그리고, 앱 사업자들의 조급함을 보게 됩니다. 물론, 앱 사업자들은 매출이 나야하는거고, 땅파먹고 사는거 아니다 - 그래서 서비스 확대와 매출 확대기반을 만들어야 한다 -라고 주장할 지 모르겠지만~
    그건 매체(앱)의 기본 속성을 유지한 기반위에서 서비스 확장과 매출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할 얘기인데, 벌써부터 주객이 전도되어 간다는 느낌 !

    사업 확대의 의미라고 얘기할지 모르겠지만, 과도한 욕심보다는 간결한 사용성 기반한 사업성을 고민하는 관점의 견지는 정말 쉽지 않은 문제인가? 라는 고민을 다시 합니다. 기업내의 관점의 통일이 얼마나 힘들런지, 현업에 있는 사람으로써 이해가 되지 않는것은 아니나, 결국 앱 사업자의 욕심이 지나치면, 자업자득의 결과를 드러낼 수 있음을 간과하면 안되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함다 !

  4. NeoZest 2011/01/31 14:23 PERM. MOD/DEL REPLY

    Simple is not easy라는 말도 있지요.

    국내 많은 모바일 앱 개발사들이 아직 simple 허들을 넘을 만큼 공력들이 부족하다는 생각도 듭니다.

    서민당총재 2011/01/31 18:13 PERM MOD/DEL

    와!! 정말 와닫는 말입니다.

    Simple is not easy

    개발자들의 경우 정말 힘들것 같고, 저같은 사용자도 가끔 너무 심플하면 적응을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직 트위터에 적응을 못했거든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