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컨텐츠 이야기


전세계 삼성전자 스마트폰 판매 추이


증권가에서는 2012년 2분기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판매량이 5000만대를 넘어설 것으로 보고 있다.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의 압도적인 1위로, 애플은 삼성의 60%에 불과하다고 한다. ASP(Average Selling Price), Revenue, 판매량과 출하량의 차이, 수직 통합 등과 같이 수많은 논쟁거리들이 뒷면에 존재하지만 대단한 것만은 분명하다. 삼성전자는 어디까지나 하드웨어 제조사이며 그 분야에서 독보적인 업체이다. 갤럭시 S3의 출시로 인해 당분간 삼성 독주 체제는 장애물은 없어 보인다.

 

 

2012/06/25 10:00 2012/06/25 10:00
top

 

네비게이션 소프트웨어 Top 10


사용자 삽입 이미지

ABI Research에서 얼마전에 On-board Navigation Software 업체를 대상으로 Top 10 순위를 발표하였다. 항목은 Innovation과 Implementation 의 2개로 하여 각각 X축과 Y축으로 놓고, 종합 점수를 매겼다. 보이는 결과는 위에 보이는 바와 같이 'Nokia'가 가장 높은 점수를 얻어 내었다.

이번 랭킹을 소개하는 것은 단순하게 'Nokia'가 1위를 했다는 소식을 전하고자 함이 아니다. 해당 보고서를 보면 다양한 요소들을 정해놓고 이를 가지고 점수를 주었는데, 이 항목이 꽤나 와닿는 점이 많다. 역으로 말하자면 Navigation S/W 로서 가져야 하는 기본요소들을 정리해 놓은 것이다. 해당 항목은 아래와 같다.

Implementation
  • Market Share - Overall share of installed based and sales market share
  • Carrier agreements - Number and importance of partnerships with carriers
  • Handset and PDA manufacturer agreements - Number and importance of partnerships with handset manufacturers
  • Market positioning - Quality and relevance of communication, branding, and marketing campaigns and programs
  • Mobile platforms and form factor coverage - Number of supported mobile platforms, operating systems, and handset models
  • Organizational health - Financial and overall organizational strength
  • Global coverage - Global presence in North America, Europe, Asia-Pacific, and developing regions
  • Quality and reliability - Consistency of the navigation experience
  • Customization - Quality and timeliness of white label implementation flexibility
Innovation
  • Navigation features - Number and relevance of options, such as routing options, navigation modes, map display modes, etc.
  • Local search - Local search, premium content, and local partnerships
  • Map upgrades - Frequency and ease of use
  • Traffic information - Availability of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at no additional cost
  • Business model/pricing options - Number and relevance of pricing options
  • Open APIs - Flexibility to interface with other applications
  • Sharing- Functionality to share POIs, routes, and landmarks with friends and family

모바일 인터넷이 확장되면서 모바일 지도와 네비게이션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모바일 지도는 단순하게 현재 위치의 지도를 보는 서비스가 아니라 그 위에 다양한 서비스들이 올라갈 수 있는 기본 플랫폼이다. 위에서 언급한 항목과 같이 단순한 네비게이션 기능 외에도 이통사와의 관계, 단말 벤더와의 관계, 조직 구성등도 무척 중요한 요소이다. 다양한 서비스들이 올라가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비즈니스 영역이 넓어야 하기 때문이다.

위의 항목은 지도에 최적화되어 있는 항목이지만, 이를 토대로 모든 서비스들의 유사 항목을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지금 개발하는 서비스가 단순한 어플리케이션인지, 플랫폼인지 곰곰히 생각을 해보도록 하자..
2008/11/07 08:19 2008/11/07 08:19
top

  1. alldaylong 2008/11/13 14:14 PERM. MOD/DEL REPLY

    영어 번역을 하다보니 의미 축약 및 전문 용어 사용이 빈번하여 이 부분에 대해 의역했음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Implementation

    - Market Share - 매출 기준 전체 점유율과 단말 탑재된 시장 점유율
    - 이통사 계약들- 이통사들 협력 숫자와 관계의 중요성
    - 단말 제조사 와 PDA 제조업자와의 계약들 - 단말기 제조 업체들과 협력 숫자와 파트너십의 중요성
    - Market positioning - 품질과 커뮤니케이션의 관련성, 브랜딩 및 마케팅 캠페인과 마케팅 프로그램
    - 모바일 플랫폼 및 구성 범위 – 지원하는 모바일 플랫폼, 운영 체계, 핸드폰 모델들의 숫자
    - 조직의 건전성 – 재무 및 전체 조직력
    - Global coverage – 실재 북미, 유럽, 아시아 와 기타 지역들에 대한 Global 적용
    - 품질 과 신뢰성 – 내비게이션 사용 경험의 일관성
    - Customization(맞춤형) – 품질과 시의적절한 저장된 개인 정보(white Label) 활용의 유연성


    Innovation

    - 내비게이션 특징 – 옵션의 수와 옵션의 관련성, 라우팅 옵션등, 네비게이션 모드들, 지도 표시 모드들, 그밖에 기능들
    - 지역 검색 지역 검색, 프리미엄 콘텐츠, 지역 파트너쉽(지역 기반 광고등..)
    - Map 업그레이드 - 업그레이드 제공 주기 및 이용 편의성
    - 교통 정보 - 추가 비용없이 실시간을 교통 정보의 가용성
    - 비즈니스 모델 / 가격 정책 – 가격 옵션의 수와 가격 옵션의 합리적 타당성
    - Open APIs – 다른 Application과 인터페이스의 유연성
    - Sharing(공유) – POIs(Point Of Interesting), 경로탐색, 친구와 가족들이 함께한 랜드마크 기능의 공유

    mobizen 2008/11/14 14:17 PERM MOD/DEL

    게으른 저를 위해 번역까지 해주셨군요. 감사합니다. ^^

 

2012년 모바일 최강국을 향한 이동통신산업 발전전략


지식경제부에서 어제(2008년 7월 8일) 오후 삼성동 코아로직 회의실에서 “이동통신 전략 협의회”를 열고, ’2012년 모바일 최강국을 목표로 하는「이동통신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하였다. 발표 자료는 여기에 있으니 모바일 산업에 관련된 분들은 반드시 읽어보기를 바란다. 이번에 발표한 '1 to 10'이라 불리우는 전략의 개요는 아래와 같다.

< 1 to 10 전략 개요 >
① : 세계 휴대폰 시장 점유율 1위 달성  (21%(’07)→35%(’12))
② : Mobile 2.0 비즈니스 모델의 선도 국가
③ : 한중일 3국간 협조체제 강화를 통한 차세대 국제표준화 선도
④ : 4대 부품군별 육성전략을 통한 휴대폰 부품 경쟁력 강화
⑤ : 5G 이동통신 기술에 대한 선제적 대응
⑥ : 휴대폰 생산량 연간 6억대  (2.5억대(’07)→6억대(’12))
⑦ : 연간 수출액 700억불 달성 (290억불(’07)→700억불(’12))
⑧ : 휴대폰 국산부품 채용율 80%  (69%(’07)→80%(’12))
⑨ : 이통산업의 국내 GDP 내 비중 9% 달성 (6.9%(’07)→9%(’12))
⑩ : 차세대 이동통신 표준 IPR의 10% 이상 확보 (극소(’07)→10%(’12))


비록 그 자리를 가보지는 않았지만 발표 자료와 언론 보도 자료를 보니 참 답답한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 Fact만 전달한 다른 기사에 비해서 제대로 정리를 한 디지털타임스 조성훈 기자의 기사를 아래 링크에 소개하니 참고하기를 바란다.

[현장리포트] 과유불급한 이통산업발전전략

회의 내용이 대학생들이 학교에서 과제로 하는 '핸드폰 디바이스 산업의 활성화'도 아니고 정부가 하는 전략에다가 '모바일 최강국'이란 타이틀을 건게 이 정도니 우리나라 모바일 산업은 당분간 계속 암울 할 수 밖에 없다. 디바이스를 많이 생산하고 칩의 국산 비율만 올리면 된다는 발상 자체도 웃기고, 교과서에서나 보는 뻔한 소리를 정책으로 내는 것 조차 능력부재를 스스로 드러내는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정작 논의되어야 할 가격 정책(디바이스던 서비스이던), 내장형 어플리케이션, 컨텐츠, 서비스, 이통사의 지배력 등 현실적인 것은 2012년이 되면 자연스럽게 해결될 것으로 보이나 보다. 초반에 언급되어 있는 해외 대형 벤더들의 플랫폼에 대한 대응책은 후반에 가면 찾아 볼 수가 없고, 국내의 모바일 컨텐츠나 서비스등을 단말과 같이 패키지해서 수출하게끔 하는 건설적인 비전보다는 많이 만들어서 팔면 1위가 된다는 논리만 있으니 답답할 뿐이다.

자라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보고도 놀란다고 문서 곳곳에 남발되어 있는 '표준'이라는 단어 조차 신경쓰인다. 제발, 정책을 위한 표준을 만들지 말고 발전을 위한 표준을 만들어야 할텐데... 어쩌면, 이통사보다 더 먼저 바뀌어야 할 조직은 정부일지도...

2008/07/09 11:03 2008/07/09 11:03
top

  1. 뽐뿌맨 2008/07/09 14:55 PERM. MOD/DEL REPLY

    네엡,저도 올려 놓으신 자료 보았습니다.개인적인 소견으로 말씀대로 안타깝습니다.너무 인프라에만 취중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조언자가 대부분 제조사 임원들이라서 그런것같습니다. 제 생각엔 소프트웨어와 서비스비즈니스 모델이 더 중요한데 말이죠. 사람들이 아이폰만 보는데 아이폰 외에 아이포드나 이번에 나오는 모바일미가 더 멋지고 부가적으로 돈을 더 버는데 말이죠.

    mobizen 2008/07/09 18:52 PERM MOD/DEL

    무선 컨텐츠 시장은 불황인데 비해 단말쪽은 잘 나가고 있으니 이왕 밀어주는거 잘나가고 있는 쪽만 밀어주자는 심보인지, 참 이해가 안됩니다. 뽐뿌맨님의 블로그는 저도 잘 보고 있습니다. 아이디가 '뽐뿌맨'인줄은 오늘 처음 알았네요. 실명이 더 익숙해서 말이죠. 리플 감사합니다.

  2. 거부기아찌 2008/07/10 00:12 PERM. MOD/DEL REPLY

    철저하게 단말 공급자 중심의 전략이란 느낌이 드네요.

    국내 모바일 컨텐츠 시장, 국내 이통 시장은 어떻게 되든 말든
    단말만 해외로 잘 팔면 된다는 그런 관점이 곳곳에 깔려 있는 것 같습니다.

    생태계에 대한 관점도 없고, 단말만 쌈빡하게 만들면 모든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는
    그런 환상에 젖어 있는 것 같습니다.

    위피가 잘 안되는게 단말이 쌈빡하지 않아선가요 ?
    대한민국 모바일 콘텐츠 시장이 성장하지 못하는게 단말이 없어서일까요 ?
    정말 앙꼬 없는 찐빵 같은 계획이란 느낌이 팍팍 드네요.

    mobizen 2008/07/10 00:50 PERM MOD/DEL

    이것도 전략이라고 발표하는 지경부나 이걸보고 2012년에는 한국이 모바일 1위 국가가 된다고 떠드는 언론이나 한심하기 그지 없습니다. 답답하네요...

 

착신서비스에서 알 수 있는 1위와 2위의 차이


얼마전에 핸드폰을 분실했다. 퇴근하는 길에 버스에서 노트북을 켜놓고 인터넷 하다가 내릴때가 되자 급하게 짐을 싸다가 옆으로 떨어뜨린 듯 하다. 뭐하나 맘에 드는게 있으면 바로 샀을텐데 하필이면 보조금 규제가 없어지는 시기와 맞물려서 마음에 드는 가격을 찾을 수가 없다. 다행히 가지고 다니는 블랙잭이 있기 때문에 착신을 해 놓았더니 크게 불편함은 없는 중이다. 원래 전화가 자주 오는 스타일도 아니고...

SKT의 경우 일단 착신은 음성 통화와 문자 모두 다 지원한다. 문자까지 모두 착신 받는 것을 '착신전환 플러스'라고 한다. 본인이 본인의 휴대폰을 소지하고 있을 때는 "* + 71 + <착신할 대상 번호> + <통화버튼>"을 누르면 착신이 설정이 되고, "* + 73 + <통화버튼>"을 누르면 착신 해제가 된다.
만약에 핸드폰을 분실하거나 집에 놓고 왔을 때에는 무료 서비스인 "리모콘"을 신청한 후 일반전화를 이용해 "011-200-8282"로 전화를 걸면 착신 번호를 설정할 수가 있다.

같이 일하는 동료가 KTF를 사용하는데 착신 방법을 물어본다. 난 당연히 KTF도 문자 착신이 되는 줄 알고 설정은  "* + 71 + <착신할 대상 번호> + <통화버튼>", 해제는 "* + 710 + <통화버튼>" 이라고 알려주었는데 문자 착신은 KTF가 안된다고 옆에서 투덜댄다. 다행이도 원격으로 설정하는 방법은 "016-200-6016"으로 전화를 걸면 착신 번호를 설정할 수 있는 듯 하지만 문자를 받지 못하다는 것은 치명적이다.

더 재미난 것은 업계 3위인 LGT도 2008년 1월 15일부터 "착신전환 플러스"가 실행되어 문자까지 받을 수 있다라는 것이다. 결국 "SHOW" 가입자 모으기에만 신경쓰는 KTF는 정작해야할 소소한 서비스들은 소홀히 하고 있다라는 것이다. 이러한 것이 바로 1위와 2위의 차이인 것이다.
2008/03/31 15:47 2008/03/31 15:47
top

  1. 2010/05/20 10:43 PERM. MOD/DEL REPLY

    ktf도 문자 되는데

  2. 김유미 2010/06/04 14:44 PERM. MOD/DEL REPLY

    skt 는 착신전환일반 900원/ 착신전환플러스 1500원 으로 이용됩니다.
    (금액이 정확한지는 모르겠네요)
    일반은 전화만, 플러스는 문자까지 착신이 되구요.

    lgt 같은경우에는 캐치콜서비스 가입되어있으면 500원만 내면 착신전환을 신청할 수 있네요.
    (문자,전화 다 착신되는것 같습니다.)

    lgt 쓰다가 전화기 분실하고 skt 쓰는데, 역시 skt 아니랄까봐 좀 비싸네요.. ㅎㄷㄷ

    착신방법 보다가 적어놓고갑니다. ^^

 

매출은 증가, 순이익은 감소한 KTF의 2007년 4분기 실적 발표


국내 대기업의 고질적인 문제점 중에 하나는 매출은 증가하지만 순이익은 점점 감소하고 있다라는 것이다. 위와 같은 현상이 기업간 시너지를 올리기 위한 긍정적인 M&A 나 R&D 투자에 의한 순이익의 증가가 아니라 불필요한 마케팅비용 증가가 대부분이며, 이러한 기업내의 손실을 소비자에게 떠넘기기로 메꾸려고 하는 행태이다.

2008년 1월 23일 KTF가 2007년 4분기 실적 발표와 컨퍼런스콜을 진행하였다. 금번 KTF의 실적 발표 내용을 보고 있노라면, 앞서 언급하였던 문제점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반적인 경기의 침체에도 불구하고 매출액 1.47조억이라는 수치는 당초 예측과 목표치에 8% 정도 초과한 수치이다. 게다가 창사 이래 처음으로 매출 7조원을 돌파하는 기염을 보이기도 하였다.

하지만, 문제는 분기 실적 발표 때마다 언급되는 마케팅 비용과 데이타 ARPU이다. WCDMA 시장에 무리한 승부수를 던져가면서 SHOW 브랜드를 시장에 밀어 내 놓고 있는 KTF의 마케팅 비용은 전년대비 무려 40.9%나 증가하였다. 일반인의 시각으로 많은 부분을 차지할 것같은 광고선전비는 전년 대비 7.7%, 가입자 유지 비용은 직전분기 대비 19.8% 각각 증가하였다. 가입자 확보 비용으로 곱게 포장되어 발표되는 불법 보조금의 경우는 전년 대비 97.4% 증가하였다. 과연 이러한 마케팅 비용의 증가를 보고 3G 시장의 진정한 승리자인지 궁금증이 생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러한 마케팅 비용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ARPU 증가가 필수적이다. 일반적인 언론 보도를 보면 KTF가 설명하였던 4분기에 ARPU에 증가가 가시적으로 보였다는 것만을 보고했지만 실제 애널리스트의 지적사항도 그러했고 보이는 수치의 증가는 극히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물론 KTF에서는 이렇게 수치상으로 보이는 미미한 증가의 원인에 대해서 설명을 하기는 했지만 단기적인 수익개선은 쉽지 않음을 수차례 언급을 했다. 실제 가시적인 수익성 향상은 2009년 정도가 되어야 하는 것으로 발표를 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러한 무분별한 마케팅 비용의 집행과 낮은 ARPU로 인하여 전년대비 영업이익은 28.7% 감소하였다. 순이익은 50.7%라는 어마어마한 수치가 감소되었다.

2008년도의 계획에 대해서는 상세한 전략은 아직 세워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거시적인 계획으로는 1조원의 시설 투자를 해서 WCDMA의 순증 가입자를 450만명을 확보한다는 것이다.

얼마간 나의 메신저 대화명이 "성공은 목표가 아니라 결과일 뿐이다"로 설정된 적이 있었다. 알맹이 없는 1위라는 대명제보다는 알차고 서비스와 고객 만족에 목표를 맞추는게 옳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사실은 본인이 근무하는 회사에서 새롭게 발표한 Vision에 대한 반감때문이었다.)

WCDMA 시장의 가입자 유치 1위 밖에 없는 KTF의 목표는 항상 아쉬움이 남는다. 좀더 건설적인 목표와 도전적인 정신이 부족한 느낌이다. KTF가 2008년 시장에서 성장하기 위한 이슈는 역시 KT와의 성공적인 합병이다. 모기업과의 연계 강화로 인해 번들링 강화 결합상품, 가입자 기반 강화 등을 노려야 한다. SKT의 하나로 합병보다는 좀더 유리한 고지에 있으므로 이를 잘 살려야 한다. WCDMA 가입자 유치를 한 후에 어떤한 Value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것인지에 대한 목표가 있어야 한다. WCDMA 가입해서 음성 통화만 사용한다면 쏟아 붓는 마케팅 비용을 감당하기가 힘들 듯 하다.

KTF를 비롯한 국내 기업들이 단순한 매출 증대와 알맹이 없는 1위라는 타이틀에 연연하지 않고 알맹이 있고 가입자들에게 새로운 가치를 주는 기업으로 발전하기를 기대한다.
2008/01/25 19:11 2008/01/25 19:11
top

 

미디어 플랫폼으로 도약하려는 노키아 #3


5. 기타

S60 시리즈가 멀티미디어를 내세우는 일반 사용자 타겟이라면 기업을 타겟으로한 E시리즈가 있다. 현재 발표된 E 시리즈는 3종이 있는데 비즈니스맨들을 위한 슬림라인 ‘노키아 E61i’ 이메일 디바이스, 스타일리쉬한 슬라이드폰 ‘노키아 E65’, 그리고 HSDPA를 지원하고 GPS를 내장한 ‘노키아 E90’ 등이 바로 그들이다.

E 시리즈에서만 되는 것은 아니지만 모바일 이메일과 데이터 동기화를 지원하며 새로운 유저 인터페이스와 강화된 다국어 지원 모드 및 접속 모드를 특징으로 하는 '노키아 인텔리싱크 모바일 수트(Nokia Intellisync Mobile Suite) 8.0’이 이러한 기업형 시장의 핵심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노키아가 가장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는 폰 네비게이션의 첫작품은 "노키아 6110"이다. GPS를 내장해 소비자들은 자신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원하는 위치로 가는 길을 안내받을 수 있으며 레스토랑이나 호텔, 상점 등 근처의 지역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노키아 비디오센터(Nokia Video Center)’라는 어플리케이션은 글로벌동영상 공유 서비스 유튜브(YouTube)와 글로벌 통신사 로이터가 콘텐츠 파트너로 참여한다. 노키아 N 시리즈가 판매되는 국가에서는 N 시리즈를 통해 다운로드해 사용 가능하며 N95모델에는 사전 탑재돼 있다.

'Mapping and Navigation'은 마치 '구글 어스(google earth)'처럼 지구를 회전시켜 원하는 지역을 찾으며, Zoom in/Out 기능을 지원하여 지도를 확대 또는 축소하면서 볼 수 있다. 또한 'Search' 기능을 사용하면 웹 페이지 검색, 야후 이미지 검색, 지역정보 검색, 휴대폰에 저장된 My Content 검색이 가능하다.


6. 결론

노키아는 1980년대의 위기를 선택과 집중이라는 대명제 하에서 적극적인 사업 추진과 능력을 위주로한 조직분위기로 개편하면서 도약의 발판으로 삼았다. 지금의 세계 1위라는 간판에 만족하지 않고 컨텐츠와 플랫폼으로 다음 비전을 생각하는 회사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자사가 보유하고 있는 단말 사업에 대한 브랜드 파워와 글로벌 세일즈 능력을 바탕으로 하여 좀 더 나은 비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노키아는 컨텐츠 업체와 M&A, MOU를 컨텐츠를 확보를 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
튼튼한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하여 Symbian, Maemo OS,Nokia Research Center, Open Source Community 등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이들을 통하여 노키아는 Device-Platform-Contents 라는 모바일 사업내의 모든 영역에서의 영향력을 가지고 갈려고 꿈꾸고 오늘도 노력하고 있다. 비록 플랫폼 정책의 표류와 구조조정으로 인한 잡음에 휩싸이기도 하지만 세계 1위라는 타이틀은 그들로 하여금 변함없는 신뢰와 기대를 하게끔 한다.

핀란드 헬싱키에 있는 노키아의 본사 ‘Nokia House’는 2만 6000장의 유리로 둘러싸인 투명한 빌딩이라고 한다. 심지어 건물과 건물을 잇는 다리까지도 유리로 만들어져 있다. 누구나 들여다볼 수 있도록 만든 이 건물은 노키아와 소비자 사이에는 어떤 장벽도 없다는 것을 상징한다. 100년이 넘도록 탄탄하게 성장해 마침내 세계 1위 기업으로 올라선 노키아의 기업정신을 잘 상징해 주는 부분이다. 실제로 이러한 기업 마인드가 핀란드인을 감동하게 하고 많은 수의 핀란드인들이 죽을 때 유산을 전부 노키아에 투자한다고 한다. 우리나라 기업은 그러한 준비가 되어 있는가? 그러한 비전을 자국민들과 함께 나누며 뛰어가고 있는가?
1위가 1위를 하는데에는 반드시 이유가 있는 법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관련 포스트]
미디어 플랫폼으로 도약하려는 노키아 #1
미디어 플랫폼으로 도약하려는 노키아 #2
2007/04/30 13:55 2007/04/30 13:55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