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컨텐츠 이야기


LTE 삼국지, 이제부터는 컨텐츠 전쟁


4G의 대세는 LTE

사용자 삽입 이미지

Signals and Systems Telecom 보고서에 의하면 2012년 2월을 기준으로 전세계적으로 52개의 상용 LTE 네트워크가 운영 중이며 300개 이상의 LTE 지원 단말이 시장에 나와있다. SA 보고서에서는 2012년 4분기에 LTE 스마트폰이 약 3490만대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한다. 전세계 LTE 시장은 2016년까지 연평균 150%의 가파른 성장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격적인 LTE 전쟁이 시작되는 것이다.


한국은 인프라 구축의 선두주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수도권에 인구가 집중되어 있고 IT 서비스에 대한 흡수력이 빠른 한국은 새로운 인프라 구축에 매우 유리하다. 2012년 4월 16일 기준으로 파악된 국내 LTE 가입자수는 SKT 208만 8천명, LG U+ 171만명, KT 40만명이다. 전체 시장규모는 419만 8천명으로 전세계 LTE 시장의 약 30%를 한국이 차지하고 있다는 보고도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2012년 1400명, 2016년 5300명 정도의 시장 규모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2014년이면 대부분의 Connected Device가 LTE가 되는 시대가 될 전망이다. 인프라 뿐만 아니라 모바일 서비스의 구성과 전략도 LTE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해야 한다.


LTE 삼국지 1막, 인프라 전쟁

사용자 삽입 이미지

통신사들은 망을 판매하는 사업자로서 빠른 속도와 품질이 생명일 수 밖에 없다. 국내 통신 3사는 각자의 차별화된 기술을 특징으로 내세우고 있다. SKT는 PETA 기술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고 LG U+는 세계 최초 LTE 전국망과 Wi-Fi망 'U+ zone'을 결합한 FAST(First All-IP Seamless Total network)를 추진하고 있다. KT는 기존 3G망에 사용해 속도와 통화품질을 입증한 클라우드 커뮤니케이션 센터(CCC)를 가상화해 LTE WARP에 적용했다.

망의 품질만큼 커버리지도 중요하다. 일단은, 3월 29일 세계 최초 전국 84개시 및 전국 고속도로 및 지방국도, 889개 군·읍·면 등 전국 어디나 이용 가능한 전국망을 완성한 LG U+가 앞서나가고 있다. SKT는 LTE에 있어서는 쫓아가고 있는 입장이 되고 있으며 KT는 이제 시작 단계이다. 하지만, 전국망 구축은 어느 통신사나 시간 문제로 언제까지 무기가 될 수 없음을 모두가 잘 알고 있다.


LTE 삼국지 2막, 요금제 전쟁

사용자 삽입 이미지

통화품질만큼 사용자들의 선택에 중요한 요소는 '요금제'이다. 국내 모든 통신사들은 34요금제부터 42, 52, 62, 72, 85, 100, 120 등과 같은 다양한 요금제를 제공하고 있으며 얼마전까지만 해도 LG U+가 상대적으로 많은 혜택을 제공했었다. 하지만, 3월 27일 SKT, 3월 29일 KT가 각각 LTE 제공 용량을 확대하면서 3사의 요금제가 큰 차이는 없는 상태이다.


LTE 삼국지 3막, 컨텐츠 전쟁

플랫폼 전략을 강조하던 SKT와 탈통신을 선언했던 LG U+ 로서는 다시 인프라 전쟁으로 돌아가는 모양새가 되고 있다. 마케팅의 메세지는 전국망 서비스를 강조하거나 경쟁사와 속도를 비교하는 것이 전부이다. 5년전의 3G와 2년전 Wi-Fi를 내세우던 모습에서 한걸음도 진일보하지 못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행히도 통신사들 스스로는 인프라와 요금제만으로 승부를 할 수 없다는 것을 조금은 알고 있는 듯 하다. 최근들어 LTE 마케팅에 컨텐츠를 전면에 내세우기 시작했다. SKT는 최근 'LTE를 LTE 답게'를 신규 광고 캠페인으로 런칭하면서 T Freemium과 멜론 익스트리밍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LG U+도 혜민스님을 모델로 하여 모바일 HDTV는 전면에 등장시켰다.


킬러 컨텐츠를 찾는 이가 승자

3G 때의 '화상통화'와 같은 삽질을 않하는 것은 정말 다행이다. 멜론이나 HDTV와 같은 스트리밍 기반의 서비스가 LTE에서 주요 서비스 모델이 될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이들을 마케팅의 전달 키워드로 내세우기에는 다소 섹시함이 떨어진다. 그 동안 말로만 이야기 했지 내실있는 컨텐츠 전략을 세우지 못한 통신사들의 한계이다.

LTE 시대에는 속도에 따른 제약사항 거의 없다고 보아야 한다. 각종 Connected Device가 증가하고 있는 때에 LTE가 대중화된다면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생활을 구분없이 Streaming할 수 있게 된다. 본격적인 Realtime Web의 시대가 도래하는 것이다.

스마트기기에서 자동으로 생성된 데이터, SNS 포스팅, 사용자 관계 등의 Big Data에 가치를 부여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잘 Mix 하는 서비스가 현실적으로 가능해진다. 장소에 구애받을 필요도 없으며 속도에 대한 고민도 없다. 이러한 환경을 리드할 수 있는 컨텐츠 전략을 세우고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할 줄 하는 통신사가 승자가 될 것이다. 해법을 찾지 못한 통신사는 LTE시대에 Dumb Pipe가 되는 것 말고는 다른 대안은 없다.
2012/04/17 18:49 2012/04/17 18:49
top

  1. Bong. 2012/04/18 08:44 PERM. MOD/DEL REPLY

    좋은글 잘 읽고 갑니다^^

  2. HS.Lee 2012/04/18 09:30 PERM. MOD/DEL REPLY

    늘 올리시는 글들을 보고 업무에 큰 도움을 얻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건승하세요^^

  3. 너나들이 2012/04/18 10:39 PERM. MOD/DEL REPLY

    kt 52 요금제에서 망내 1000분입니다 ; 3천분은 62입니다.

    mobizen 2012/04/18 11:17 PERM MOD/DEL

    네. 확인해보니 말씀대로 1000분이더군요. 본문 수정했습니다. 감사합니다.

  4. roa0407 2012/04/19 15:10 PERM. MOD/DEL REPLY

    좋은 정보... 잘 보고 갑니다..^^

  5. jimi85 2012/04/23 13:46 PERM. MOD/DEL REPLY

    모든 글 들이 업무에 큰 도움을 얻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정말,...

  6. seung 2012/05/14 10:50 PERM. MOD/DEL REPLY

    글을 보고 시야를 넓혀가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7. 권은혜 2012/05/27 14:16 PERM. MOD/DEL REPLY

    안녕하세요?

    통신사 신입 공채를 준비하고있는 학생입니다.
    블로거님 글 덕분에 많은 정보 얻고갑니다.

    블로거님이 생각하시는 Realtime web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블로거님의 선견지명을 함께 나누고싶습니다~^^

 

모바일 서비스의 사용자 기대(User Expectation)


여전히 사용하기 어려운 모바일 서비스

작은 화면, 불편한 입력 방식, 단말 성능 등의 문제로 모바일 컨텐츠 시장은 오랜 기간 동안 '기대주'에만 머물러 있었다. 그리고 최근 몇년사이에 iPhone과 Android를 통해 스마트폰 대중화가 빠르게 이루어졌다. 단말 보급량이 높아지니 각종 웹사이트가 모바일 전용 페이지를 지원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로 무장한 다양한 App들이 앱스토어에 등장하는 선순환이 되고 있다.

예전에 비해 비약적인 발전과 대중화가 되었지만 여전히 모바일 기기를 통한 서비스 이용은 일반인들에게 낯설고 어렵다. 사용자들이 모바일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겪는 불편한 점이 무엇이며 어느 정도의 사용자 경험을 기대하는지 Compuware와 Gomez, Inc의 보고서들을 통해 알아보도록 하자.


느린 속도와 에러가 가장 큰 불편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들이 모바일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겪는 가장 불편한 점은 속도로 조사되었다. Mobile Web을 이용할 때 38%, Mobile App 32%가 '로딩이 느리다'고 답변하였다. '각종 에러'와 '이용 불가능한 경우'도 높은 비중을 차지하여 안정성에 대한 불만도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에 '모바일 단말에서 읽기 어려운 레이아웃 구조'와 '예상과 다르게 동작하는 기능' 등이 높은 순위로 언급되었다.


사용자들은 PC와 비슷한 속도를 기대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직은 부족한 단말 기술과 불안정한 3G 네트워크를 고려하면 모바일 서비스가 다소 느린 동작을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하지만, 기술적 이해가 없는 일반 사용자들의 생각은 다르다. 71%의 응답자가 PC와 비슷하거나 Mobile이 더 빨라야 한다고 기대하고 있었다. 이는 2009년 동일한 설문에서 조사된 58%보다 증가한 수치이다. Mobile 전용 Web 사이트가 증가하였고 듀얼코어 등이 일반화되면서 단말 성능이 좋아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5초가 넘으면 서비스 이용을 중단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렇다면 사용자들이 기대하는 로딩 속도는 어느 정도일까? Web 서비스를 이용할 때, 5초 이상 기다리지 않는 사용자가 74%나 된다. 페이지 로딩 속도가 1초를 넘으면 종료한다는 사용자도 7%나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Mobile에서 Web 서비스를 이용할 때 속도가 PC만큼 빨라진다면 62%의 사용자가 '더욱 자주 사용할 것'이라고 답변하였다. 이러한 조사들을 통해 속도가 차지하는 사용자 경험의 중요도를 짐작할 수 있다.


기능보다 속도가 중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조금 재미난 것은 속도에 대한 사용자들의 중요도가 서비스 성격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는 점이다. 검색과 이메일 서비스가 74%와 63%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소셜 미디어는 41%로 속도에 대한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서비스 성격과 무관하게 기능의 중요도는 모두 속도보다 낮았다.


화면 크기에 대한 고려가 필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속도만큼이나 사용자들의 불편함을 가중시키는 것은 다양한 에러들이다.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접하는 에러는 '컨텐츠의 화면 크기(51%)'이다. 모바일 단말에서 사용하기에 너무 크거나 또는 너무 작은 컨텐츠들이 Web 페이지를 구성하는 경우를 말한다. 링크가 작동하지 않거나(43%), 페이지 레이아웃이 깨지는 경우(40%)도 많았다. 모바일 전용 사이트가 증가하면서 점차 해결되고 있으나 비표준으로 개발된 PC 사이트를 모바일로 접속할 때는 여전히 다양한 에러를 사용자들이 겪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재시도는 2번까지만

사용자 삽입 이미지

Compuware는 사용자들이 에러를 만나게 될 때 몇번이나 다시 재시도를 하는지 조사하였다. Mobile Web의 경우는 78%, App의 경우 80%가 2번 이하로 답변하였다. 에러가 발생한 후에는 서비스 이용을 곧바로 중지하는 사용자도 Web 9%, App 13%로 조사되어 안정성이 서비스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임을 알 수 있다.


현실적(!)으로 서비스의 기능적인 고도화는 속도와 안정성에 반비례한다.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다보니 속도가 느려지고 서비스도 불안정해지는 것이다. '비만증에 걸린 Mobile Application'에서도 이야기 한 것과 같이 최근 모바일 서비스들이 어느 정도 버전업이 되면서 너무 많은 기능들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려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사용자들이 원하는 것(User Expectation)은 5초 미만의 빠른 서비스 속도와 안정성이라는 것을 서비스 개발자들은 잊지 말아야 한다.
2011/08/12 08:19 2011/08/12 08:19
top

  1. 한민규 2011/08/12 10:12 PERM. MOD/DEL REPLY

    항상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2. 룰루 2011/08/12 12:49 PERM. MOD/DEL REPLY

    빨리 좀 빨라지고 잘열렸으면...

  3. 이원석 2011/08/12 13:22 PERM. MOD/DEL REPLY

    재밌는 자료 감사합니다~ 역시 속도가 중요하군요 ;)

  4. 숲속얘기 2011/08/12 15:33 PERM. MOD/DEL REPLY

    네트워크가 요즘 짜증나게 합니다. 무제한 콸콸콸이 아니라.. 졸졸졸인듯.. 단말은 더 빨라지는데, 네트워크는 더 느려지는 느낌

  5. Thinkingduck 2011/08/16 14:42 PERM. MOD/DEL REPLY

    역시 관건은 속도와 안정성인가요? 개발할 때 그런부분을 더 신경써야겠네요.

  6. 라이플리 제냐 2011/08/18 07:53 PERM. MOD/DEL REPLY

    2012년부터 모바일 춘추전국시대가 열릴듯 .... LTE 전국 구축이후 안정화를 빨리 시키느냐가 관건이 될꺼 같아요 솔직히 스마트폰에서 로딩이랑 인터넷 속도가 개선이 안되면 있는것만도 못하죠 그냥 전화기죠 ㅋㅋ

  7. giguzzang 2011/08/25 16:43 PERM. MOD/DEL REPLY

    정말 감사합니다.

 

The Speed of Mobile


오늘 사내에서 모바일 관련 세미나가 진행되었다. 모바일 관련 종사자들이 아닌 일반 서비스 기획자나 개발자들에게 모바일에 대한 관심과 의문을 채워주자는 취지로 시작되었다. 첫번째 세미나에 첫번째 세션으로 발표를 하게 되었는데, 발표 미션은 빠르게 변화하는 모바일 산업에 대한 동향을 정리해 주는 것이다.

제목은 'The Speed of Mobile'로 정했으며 내용보다는 이미지에 중점을 두어 발표 자료를 구성했다. 혹시나 궁금하신 분을 위해 자료 공개를 한다. 이 블로그에 정기적으로 온 분들께는 약간은 식상한 내용이 될테고, 모바일에 관심은 많으나 경험이 부족한 분들께 조그만 도움이 될 듯 하다. 이미지가 주가 되는 자료임으로 'Full Screen' Mode로 해서 보기를 바란다.

2009/01/23 18:28 2009/01/23 18:28
top

  1. 임준섭 2009/01/26 00:05 PERM. MOD/DEL REPLY

    자료 비쥬얼을 강조해서 재미있게 작성하셨네요
    좋은 자료 보면서 한수 배워갑니다..

    mobizen 2009/01/27 13:49 PERM MOD/DEL

    ^^ 재미있게 보셨다니 다행입니다.

  2. DewPoint 2009/01/27 20:20 PERM. MOD/DEL REPLY

    'Immediacy is more important than satisfaction in mobile.'
    항상 좋은 지적에 감사드리고 있습니다.

    mobizen 2009/01/28 10:45 PERM MOD/DEL

    재미있게 보셨다니 다행입니다. ^^ DewPoint님이 언급하셨던 내용이 제가 요즘 가장 고민하는 내용이랍니다.

  3. 浮雲 2009/01/28 10:05 PERM. MOD/DEL REPLY

    평소에 www.slideshare.net 을 자주 가는데. 조금씩 국내분들의 작업내용이 보이더군요. 좋은 자료 공유 감사드립니다.

    잘 정리된 자료네요..

    mobizen 2009/01/28 10:48 PERM MOD/DEL

    slideshare는 저도 정말 좋아하는 서비스입니다. 폰트 문제때문에 컨버팅되면서 약간 깨지는 부분이 있지만 아주 만족하면서 사용하고 있답니다. 종종 자료를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4. right 2009/01/28 11:38 PERM. MOD/DEL REPLY

    안녕하세요. 프리젠테이션 발표자료 잘보았습니다.^^

    평소 모바일 컨텐츠와 플렛폼에 관심 많은데

    앞으로 이 블로그를 닳도록 들락거릴거 같습니다.

    잘보고 갑니다.~~

    mobizen 2009/01/28 13:10 PERM MOD/DEL

    자주 오신다고 하니 저야 고마울 따름입니다. ^^

  5. 2009/01/28 15:46 PERM. MOD/DEL REPLY

    재밌네요...^^

  6. 마음으로 찍는 사진 2009/01/29 19:26 PERM. MOD/DEL REPLY

    언제나 좋은 정보를 제공해 주셔서 잘 보고 있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mobizen 2009/01/29 23:04 PERM MOD/DEL

    별말씀을요.. ㅎㅎㅎ 마음으로 찍는 사진님도 잘 계시죠? 언제 한번 또 뵈야하는데... 새해 복 많이 받으시구요~

  7. 2009/05/23 10:45 PERM. MOD/DEL REPLY

    다른분들보단 좀 늦게 봤네요~ 블로그에 출입한지 얼마 안되서요^^;ㅋ 재미있게 잘 보았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해요~

 

모바일 인터넷 활성화 요건 설문 결과


IT관련 미디어 중에 그나마 다양한 시도를 하는 전자신문에서 최근 '新 인터넷' 이라는 제목으로 무선 망 개방에 대한 시리즈 기획물을 연재를 했었다. 순서는 아래와 같았으며, 자세한 기사를 보고 싶은 분은 전자신문 검색 페이지로 들어가서  '新 인터넷' 이라는 키워드 검색을 하면 볼 수가 있다.

1회:모바일 인터넷 잃어버린 7년-한국
2회:사업자 자율 경쟁이 시장 키웠다-일본
3회:다양한 요금제, 자유로운 접속-영국
4회:망개방도 예술적으로-프랑스
5회:일촉즉발! 모바일 인터넷 빅뱅-미국

이 시리즈 기획물의 일환으로 무선 인터넷 종사자 또는 전문가들에게 '모바일 인터넷 활성화 요건' 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를 기사화 하였다. 기사의 전문은 이것을 클릭하면 볼 수가 있고, 주요 내용을 아래와 같이 재구성해 보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의 조사는 저번에 언급했던 'K 리서치'에서 한 듯 한데 이 대상이 조금 웃기다. 망개방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여 이통사, 포털, 콘텐츠 제공업체(CP) 등에서 선별해서 했다고 하는데 응답자의 총 수가 고작(!) 11명이다. 전문가들의 견해라고 하니 11명이란 숫자에도 의미를 부여할 수는 있다지만 11명이 내놓는 응답으로 모바일 인터넷 활성화의 키가 요금제 개선이라는 것은 조금 심했다.

오히려 11명이라고 해도 이통사가 개방해야 할 API, 단말기 스펙, 현재 에코시스템의 문제점같이 민감하거나 일반 사용자들에게 하는 설문 보다는 다소 직접적이고 심도깊은 항목이었으면 모를까... 또한 저런 문제 나열식의 질문보다는 그에 대한 해결책에 대한 의견을 묻고 정리해야 의미가 있을 것 같은데.. 저번에 'K 리서치', 본인들이 실시한 일반인들의 응답과 도대체 무슨 차이가 있는건지.. 결국 요금이 제일 문제라는 뻔한 결론만 내놓고 있는거자나.. 정말 요금이 문제인지, 비싸다고 느끼는 학습화된 유저가 문제인지, 요금이 만약에 아예 없어지면 정말로 무선 인터넷이 활성화가 될려는지 의문이다. 왜 같은 무선 인터넷인데 와이브로 요금에 대한 것은 그리 이슈가 되지 않는걸까?

위의 설문 결과가 우리들보다 더 전문적인 지식이 있는 11분을 대상으로 해서 전문성 있는 객관적자료라고 하는 전제라고 하더라도 Overcome 요소는 제시해야 하는 것 아닌가? 아래는 생각나는데로 심플하게 정리해 본 것이다. 다른 분들의 의견이나 지적이 있으면 참고해서 업데이트 했으면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8/07/16 18:10 2008/07/16 18:10
top

  1. moonhawk 2008/07/16 19:07 PERM. MOD/DEL REPLY

    위 설문은 망개방 전문가(?)의 주관적인 견해보다는 K리서치의 설문방법에 문제가 있었던 것 아닐까요? ^^ 항상 좋은 글 잘 보고 있습니다.

    mobizen 2008/07/16 19:09 PERM MOD/DEL

    흐음... 포스팅안에서 제가 한 이야기가 그 이야기였는데 전달이 잘 안됐군요. ㅠ.ㅠ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불만족 요인


ETRI 통신경제연구팀에서 서울과 수도권, 6대 광역시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15세 이상 49세이하의 일반인 총 800며을 대상으로 전문 리서치 기관에 의뢰하여 유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불만족을 설문하였다. 무선 인터넷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다.

전체 설문조사 응답자 가운데 73.0%가 이동전화 무선 인터넷에 전반적인 불만족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용률로 보면 46.3%가 무선인터넷을 사용한 경험이 있으며 여성보다는 남성이, 고연령보다는 저연령층이, 다른 직업에 비해 학생과 화이트 컬러가, 고학력층이, 기혼보다는 미혼이, 월평균 소득 수준이 300만원대의 중산층이 상대적으로 무선인터넷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기존의 데이타와 큰 차이 없게 발표되었다.

발표된 데이타는 아래와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속도와 요금에 대한 불만이 가장 큰것으로 예전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속도 부분은 WCDMA 도입과 Arm9 또는 Arm11 폰의 증가로 인해 점차 개선이 될 듯 하고, 가격 부분은 올해 이통 3사가 모두 무선 인터넷 접속 요금을 인하했는데도 불구하고 소비자가 느끼는 체감이 없는 듯 하다.
무선 인터넷의 접속방식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온데에는 이통사 무선 포탈 안에서만 오가는 사용자가 그만큼 많다라는 것을 의미한다. 망개방에 의한 직접 접속 방식등이 좀더 활성화되면 저 수치는 올라가야할 수치이다. 또한 CP들이 생산해내는 컨텐츠의 품질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도 재미난 점이다.

몇년째 비슷한 조사에 동일한 결과를 내는 것을 보면 이제는 무선 인터넷 시장의 특성으로 봐야 하는 것인지 구조적인 문제로 인한 매너리즘인지 알 수가 없다.
2007/12/05 20:13 2007/12/05 20:13
top

  1. 떵꺼리 2007/12/06 09:24 PERM. MOD/DEL REPLY

    매너리즘에 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