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컨텐츠 이야기


국내 Wibro 가입자 현황


Wibro야 말로 전형적인 탁상 행정의 결과물. LTE와의 경쟁에서 밀린 것을 두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표준을 선점하고 리드한다는 것은 이길 수도 질 수도 있는 게임이다.. 다만, ‘인프라는 구축만 하면 끝’이라는 안일한 생각과 시장 환경을 이해하지 못하고 밀어내기식 정책을 펴는 정부가 문제.

에그까지는 나쁘지 않았는데 유통해야 할 콘텐츠는 없었고 지원해주는 단말을 만들기에는 제조사들에게 매력없는 먹거리였다. Voice를 올리겠다는 계획을 되던 안되던 밀고 나갔어야 했다. 99만명의 사용자들을 앞으로 어떻게 할지 궁금하다. 온전히 통신사가 책임을 져야 하는 것일까?


2012/10/08 15:58 2012/10/08 15:58
top

  1. XYZ 2012/10/29 10:15 PERM. MOD/DEL REPLY

    이제는 계륵도 못되는 것 같습니다.

    TD-LTE로의 전환이 그나만 구명줄인거 같은데 그것도 성공 가능성은 낮죠..

 

2011년 국내 이동통신 시장 리뷰


통신사들의 실적발표를 비롯하여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등이 2011년 관련 자료들을 발표하고 있다. 개인적인 기록을 위해 주요 자료들을 중심으로 2011년 국내 이동통신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시장 현황을 이해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49.92%로 떨어진 SKT의 시장점유율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11년 12월 말,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수는 53,306,257명이다. 대한민국 인구수가 48,508,972명(2010년 기준)이니 국내 이동통신 보급율이 109.89% 정도가 되는 셈이다. 통신사별 시장 점유율은 오랫동안 크게 변하지 않고 유지되다가 2011년 4분기에 집계 방식이 바뀌면서 눈에 띄이는 변화가 나타났다. Wibro 가입자를 포함시키면서 50.50% 이상을 유지하던 SKT의 시장점유율이 49.92%로 떨어진 것이다.


Wibro 가입자는 약 80만명

사용자 삽입 이미지

Wibro가 새로운 변수로 작용하여 가입자 시장 점유율을 변화시켰지만 상황이 썩 좋다고 볼수는 없다. Egg를 기반으로 공격적인 투자를 했던 KT는 744,134명의 가입자까지 확보하였다. 하지만, 4G의 시장 선택이 LTE로 명확해지면서 최근의 성장세는 무척 둔화된 상태이다. Wibro 투자에 계속해서 소극적이었던 SKT가 55,330명의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다는 사실이 오히려 의아하다.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이 중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11년 10월 28일, 가입자 2천만을 돌파한 국내 스마트폰 가입자는 12월말 2,258만명을 기록했다. 11월말 대비 5.8%가 증가한 수치이다. 통신사별 점유율은 SKT 49.10%, KT 33.90%, LG U+ 17.01%를 각각 기록하였다. 흥미로운 것은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이 전체 가입자 기반 시장 점유율과 매우 유사하다는 점이다. 최근, KT가 선전을 하는 것은 iPhone을 중심으로 스마트폰 시장의 리더쉽을 초기에 확보한 덕분이다.


명확하지 않은 국내 스마트패드 시장 규모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두가 궁금해하는 스마트패드의 규모는 어느 정도일까? 3G 모델의 경우 2011년 말 기준으로 524,470명으로 파악되었다. 전문가들은 Wi-Fi 모델의 판매량은 3G 모델의 약 2배 정도가 되는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해외 단말 등을 모두 포함할 경우 2011년 국내 스마트패드 규모는 약 200만대 정도로 추산된다.(참고 : 스마트폰과 유사한 이용행태인 스마트패드) 한편, iPad 가입자는 2012년 2월 초에 백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목표 500만명을 넘지못한 IPTV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11년 12월, 서비스 오픈 3년만에 올레 TV가 300만명의 가입자를 확보하였다. 번들상품 가입자가 늘어나면서 다른 경쟁사들의 성장율도 꾸준한 편이다. 하지만, 목표로 했던 500만명을 넘기지 못하고 4,935,803명의 가입자를 확보하면서 2011년을 마무리했다. IPTV의 기술 발전이 Smart TV와 크게 차이가 없어지면서 2012년 시장에는 좀 더 기대해 볼만하다.


기업 중심의 인터넷 전화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 인터넷전화는 LG U+가 공격적인 마케팅을 보여주고 있다. 2011년 10월에 기업 고객만으로 100만 가입자를 돌파하였다. 전체 시장 규모는 10,815,866명이다. 2012년에도 기업고객을 대상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이며 업무용에 맞는 부가 서비스의 기능이 시장 성공여부를 정할 것으로 보인다.


통신사들의 수익은 감소 중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금까지 언급한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IPTV, 인터넷 전화 등과 같은 Connected Device가 성장하면서 전체 통신 시장의 가입자 규모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통신사들의 수익구조를 들여다보면 예전만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SMS, WAP, VM Portal 등과 같은 출구전략이 더 이상 효과가 없을 뿐더러 가장 근간이 되는 음성 매출도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2010년의 통신사 무선 부문 전체 수익은 22조 5565억원 규모였다. 2011년은 22조 3253억원 규모로 전년대비 1.02%가 감소하였다. LTE, 신규 사업등으로 투자할 부분이 많은 것을 고려한다면 위기 상황이다. 한편, 통신사별 수익 비중은 전년과 크게 다르지 않다. SKT 53.52%, KT 31.20%, LG U+ 15.28% 등을 각각 차지하였다.


떨어지는 ARPU를 올리는 방법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통신사 ARPU는 사업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척도이다. 2009년 2분기에 39,385원했던 국내 평균 ARPU는 2011년 4분기에 36,098원으로 감소한 상태이다. 4만원대를 유지하던 SKT ARPU는 39,889원이 되었고, KT 32,768원, LG U+ 31,494원을 각각 기록하였다. 지금의 상황에서 떨어지는 ARPU를 올리려는 것보다는 신규 사업에 투자하는 것이 맞는 전략이다. SKT는 SKP를 통해 모바일 서비스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으며 KT는 Cloud를 중심으로 사업 전략을 펴고 있다.


마케팅 비율은 여전히 높아

사용자 삽입 이미지

통신사별 매출 대비 마케팅 비율은 SKT 21.7%, KT 16.5%, LG U+ 18.4% 등을 각각 기록했다. LTE와 주파수 경매 등으로 투자 비용이 높았기 때문에 전체 마케팅비용이 전년도에 비해 8.1%나 감소하였다. 하지만, 무선부문만 놓고 보면 SKT 23.7%, KT 24.4%, LG U+ 22.8%로 정부가 제시한 가이드라인(20%)을 여전히 상회하였다. 방통위의 부족한 시장 제어 능력과 통신사들의 치열한 경쟁상황을 동시에 보여주는 부분이다.
2012/02/19 15:57 2012/02/19 15:57
top

  1. 전동주 2012/02/19 22:38 PERM. MOD/DEL REPLY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도표가 한 눈에 쏙쏙 들어오네요. 트위터에 보니 자료 공개 안한 기업 공개 좀 해주셨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ARPU 보면서 고객의 가치는 무시한 레드오션식 경쟁우위 전략에는 미래가 없어 보인 다는 생각이 듭니다.

  2. 아크몬드 2012/02/20 23:02 PERM. MOD/DEL REPLY

    역시 좋은자료! mobizen님 자료 정말 잘 받아보고 있습니다.

  3. 김형광 2012/02/21 08:38 PERM. MOD/DEL REPLY

    항상 감사히 좋은 정보 읽고 있습니다. 감사감사

  4. 멍구 2012/03/02 14:42 PERM. MOD/DEL REPLY

    좋은 글 감사합니다...한가지 여쭤보고 싶은게 [국내스마트폰 가입자수 추이] 도 출처가 방통위인가요??

  5. Bong. 2012/03/09 09:00 PERM. MOD/DEL REPLY

    좋은글 잘보고 갑니다^^

  6. monrene 2012/03/19 20:13 PERM. MOD/DEL REPLY

    감사합니다. 잘 보고 갑니다...

  7. 청이 2012/04/18 22:47 PERM. MOD/DEL REPLY

    감사합니다. 덕분에 지금 통신업계에 대해 알 수 있었습니다.^^

  8. huhjja 2012/05/06 12:18 PERM. MOD/DEL REPLY

    와. 눈에 쏙쏙 들어오는 정보. 많은 걸 배워갑니다.

 

국내 Wibro 현황 #2


4. 3G와 Wibro의 만남

SKT에 비해서 Wibro에 상대적으로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 KT는 음성미지원과 커버리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3G망과의 결합을 시도하고 있다. KT Wibro의 3G 결합 서비스로는 '3G+와이브로'와 '3G×와이브로'가 있다.

'3G+와이브로'는 음성을 지원하지 않고 있는 Wibro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음성은 KT의 기존 3G망을 사용하고, 데이터 통신은 Wibro망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KT는 새롭게 제시한 결합 서비스를 통해서 컨버전스 환경을 구축하는 시발점이 되는 것을 바라고 있다.

이와 별도로, 지난 6월 1일 통합 KT 출범식에 맞추어 3G와 Wibro간의 핸드오버 기술을 성공적으로 시연을 했다. 이러한 Wibro 핸드오버는 그동안 부족하였던 커버리지를 극복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으로 Wibro를 사용하다가 신호가 약한 곳에서는 3G로 자동으로 연결되는 기술이다. KT는 이번 서비스를 '3G×와이브로'로 명명하고, '3G+와이브로'와 차별화를 부각시켰다.

KT는 이들을 위해 신규 요금제와 전용단말을 출시할 계획도 가지고 있다. 하지만 Wibro의 커버리지가 무척 적다는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는 '3G+와이브로'와 3G에서 Wibro로 자동으로 핸드오버는 되지 않는 '3G×와이브로'가 Wibro를 살릴 수 있으리라고 생각하는 전문가는 그다지 많지 않다.


5. 방통위와 이통사의 엇박자

방송통신위원회는 08년 12월 회의를 통해서 Wibro에 이동전화 통합 번호인 010을 부여하고, 음성통화가 되도록하는 안을 심의 확정하였다. 방통위의 이번 음성통화 지원 정책에는 Wibro 활성화를 위한 '최후의 보루'를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방통위는 Wibro 주파수 재할당기간(2012년)까지 음성통화를 위한 별도의 대가를 부과하지 않기로 하였다.

그리고, KT와 SKT는 방통위의 이러한 제안을 보기좋게 거절하였다. 이석채 KT 회장은 지난 7월 1일, 전자신문과의 인터뷰를 통해 "하반기 출시 예정인 와이브로폰은 3G 이동통신망을 이용해 음성통화를 하고 와이브로는 데이터 서비스 용도으로 활용한다. 당분간 와이브로로 음성 서비스를 할 계획이 없다. 전국에 망을 구축해서 끊김 없이 음성통화를 하기 위해 엄청난 추가 투자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러한 KT의 입장을 해석해 보면 Wibro 음성지원은 물론, 전국망 구축 또한 의지가 없는 것으로 풀이된다.

SKT 역시 4월에 있었던 기자 간담회에서 SKT 정만원 대표가 '와이브로 음성탑재에 관심이 없다.'는 의사를 명확히 밝혔다. 음성통화를 통해 Wibro 대중화를 노렸던 방통위의 전략이 이통사와 사전 조율없이 일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6. 4G 표준의 승자는?

통신 관련 국제표준을 제정하는 ITU-R(국제전기통신연합 전파통신부문)은 09년 10월, 4G 최종 후보를 받는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LTE 기술을 뿌리에 둔 LTE-Advanced와 Mobile WiMAX 기술을 뿌리에 둔 WiMAX Evolution이 가장 유력한 후보이다. LTE와 WiMAX의 비교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보고서에서 다루고 있지만, 애널리스트의 지역이나 칩셋이나 네트워크 장비 사업자의 이해 관계에 따라 상이함으로 보고서들의 내용을 신뢰하기 힘들다.

실제 2G에서 GSM와 CDMA의 관계가 그러했듯이 최종 승자가 혼자 살아남기보다는 서로 공존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어느 쪽이 더 큰 시장을 차지할 것인지는 예측이 다소 필요하다. 4G의 미래에 대한 예측의 요소로는 성능, 호환성, 사업자 등을 들 수 있다.

먼저 성능을 비교한 것 중에서 09년 1월에 CED Magazine에 실린 아래 표를 참고하면 이해가 될 듯 하다. Mobile Speed는 양쪽이 비슷하지만, Download Speed에서 엄청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Upload Speed도 근소한 차이로 LTE쪽이 월등하다. 같은 값이면 WiMAX를 선택할 이유가 없을 정도이다.


또한, 기존 장비 호환성적인 측면에서 GSM에서 발전된 LTE와 CDMA 기반인 WiMAX 또한 현재 시장점유율 역시 중요한 요소이다. 이미 알고 있다시피 국내가 앞서 있는 CDMA는 전세계의 11.6% 밖에 차지하지 않는다. 유럽을 중심으로 한 GSM 시장이 86%를 차지하니, 장비투자면에서 LTE가 유리할 수 밖에 없다.


네트워크 기술을 채택하는 이통사들의 수 또한 중요한데, LTE를 선택한 통신사는 AT&T, T-Mobile, Verizon 등 20여 개나 되고 있다. CDMA 기술의 텃밭이었던 미국,일본,중국의 유력 통신사 대부분이 LTE를 선택한 것 또한 WiMAX의 전망을 어둡게 하는 요소이다. WiMAX를 선택한 사업자들은 Sprint, Imagine, Google, Intel, Comcast 정도이다.


7. 국내 Wibro 사업의 미래는

09년 7월 3일, Wibro 사업의 큰 축을 담당했던 포스데이타는 이사회를 통해서 Wibro 사업을 중단하고, 미국 사무소도 폐지하기로 결정하였다. 사업 중단은 해외 모바일 와이맥스 시장 활성화 지연 및 글로벌 경쟁 역량 부족에 따른 수익성 악화라고 밝혔다. 지난해 매출액 3776억원 중 와이브로 관련 사업 매출은 0.6% 수준인 23억원이다.

2G 시대에 CDMA를 선택하여 기술력에서는 앞서갔었지만 GSM에 밀려 세계 시장의 벽을 넘지 못했던 국내 통신기술은 Wibro 에도 똑같은 상황이 재현되고 있다. 방통위와 이통사는 서로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고, 장비와 단말에 투자를 했던 업체는 발을 빼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통신기술을 단순히 Network Infra로만 생각하기 때문이다.

네트워크에 올라갈 플랫폼과 서비스, 컨텐츠들이 해당 Infra와 궁합이 맞고, Killer가 되는지를 함께 고민해야 하는데, 현재 Wibro 사업에는 그 부분이 완전히 배재되어 있다. 이통사들의 태도 역시, 과거 무선 Walled Garden의 사업 행태를 Wibro로 그대로 옮겨가려는 폐쇄성을 가지고 있다. 지금은 많이 바뀌어 있지만 최초 Wibro 사업을 시작했을 때에 전용단말에서는 무선 포탈내에 사용자를 묶어두려는 시도를 했었다.

Wibro 사업은 이래저래 총체적인 문제이고, 현재는 답이 없는게 현실이다. Egg는 아이디어일 뿐, 원론적인 해답은 아니니깐...
2009/07/10 08:33 2009/07/10 08:33
top

  1. 우기태 2009/07/10 20:33 PERM. MOD/DEL REPLY

    며칠동안 블로그가 열리지 않아… 제맘도 불안했다는… ㅎㅎ
    암턴 임시라도 컴백 축하드립니다.

    이부분도 예전에 참 관심 많은 주제 였는데…

    와이브로라…
    정말 잘 추진했지만.. 뒷심없는 과제라고 해야할 것 같네요.
    국내의 활성화 방법도 잘 보이지 않고…


    3G와 와이브로의 만남…
    몇 년전의 예상이라면 분명히 와이브로 + VoIP인데
    지금의 기대라면 와이맥스 + 스카이프 정도?

    이 마켓이 대책 없이 활성화 되면 세상 이통사들이 정말 힘들어 질 것 같네요. 음성요금 자체의 파이가 엄청나게 줄어들면 이걸 감당할 수 있는 이통사가 몇이나 될지. 기술과 마켓이 정반대의 가고 있으며… 그래서 절대 활성화가 어려운 시장 같습니다.
    지금 상황으로 볼 때 가장 가능성이 보이는 곳이라면
    Clearwire(이통사) + 안드로이드(구글) + 스카이프(인터넷 전화) + 인텔(MID AP 제조) +단말사를 꼽겠습니다.

    4G 표준의 승자는…
    핸드폰 마켓에서는 LTE가 될 것이고, 컨슈머 마켓에서는 Wimax가 될지 싶습니다. LTE는 스마트폰과 피쳐폰의 주요 네트워크가 될테고 그리고 일부 MID에서 사용될 것이라 예측합니다. 그리고 Wimax는 MID에서 주로 사용되며 일부 스마트폰에서도 이용될 거라 봅니다. 변수라면 넷북인데 넷북은 친 WIMAX입니다. 이것이 인텔이 WIMAX에 포진된 이유가 아닐까 합니다.

    4G의 스피드
    LTE와 WIMAX의 성능 비교가 있네요… 전 좀 의미없는 속도로 보이네요…
    어차피 진정한 4G인 LTE ADVANED(3GPP Release 10)와 WIMAX Evolution? (802.16m)의 경우 속도는 동일합니다. 둘다 스펙상으로는 Download 1G를 제공합니다. 이 둘의 비교라면 의미가 있겠지만.. 이 둘의 비교 그래프는 아닌듯합니다.
    그래프상에 LTE가 높아보이는 이유는 2008년 12월달에서야 릴리즈된 3GPP Release 8 을 다음달인 2009년 1월에 보고서에 넣기 때문이라 보이네요. 그것도 측정치가 아닌 spec상의 스피드로 말이죠. 3GPP Release 8에서 Max Speed 그것도 안테나가 4*4일 때 겨우 326.4 Mbit(Downlink), 86.4 Mbit(uplink)가 나옵니다.
    GSM기반의 LTE와 CDMA기반의 WIMAX도 조금 늬앙스가 이상합니다. 표준을 지원하는 업체간의 연속성은 있을지언정 기술간의 연속성은 아닌 것 같습니다. 차라리 LTE와 WIMAX가 MIMO-OFDM과 ALL-IP를 쓴다는 유사성이 있어 보이네요.
    LTE 진영에서는 2G와 3G의 BACKWARD COMPATABILITY를 얼마나 지원할지 각 업체의 의견이 다릅니다. 2G와 3G의 레거시 지원하려면 1+알파가 아닌 2 또는 3을지원해야 하기 때문 아닐런지. 그래서 이문제도 기술상의 문제보다는 마켓상의 문제로 보입니다.

    컨텐츠에 대한 이야기는 없고 .. 네트워크 언급만 됬네요. 컨텐츠는 아는게 없어서 …

    mobizen 2009/07/17 22:57 PERM MOD/DEL

    블로그는 오늘 정상 동작합니다. 우기태님의 변함없는 긴댓글 감사드립니다.

    성능비교.. 의미가 없을 수도 있을 수도 있겠죠. 속도가 동일하다고 하시는 것은 정말 스팩일 뿐이라서 전 생각이 좀 다릅니다. 실제 필드 테스트 결과의 평균치라면 조금 의미가 있지 않을까요? 그리고, 말씀하신 LTE-Advanced나 WiMAX Evolution는 제가 보기엔 갈길이 이래저래 멀어보입니다.

    GSM 기반 LTE와 CDMA기반의 WiMAX라는 표현 또한 전 이상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기술의 디테일은 틀리지만 사업자와의 연속성과 망과 망사이의 각종 기기들의 호환성면에서 분명히 의미가 있는 것이라고 여겨지네요

  2. 나그네 2009/07/12 21:29 PERM. MOD/DEL REPLY

    와이브로... 관심있었는 데 결과를 보니 아쉽군요..

    글쓴이와 댓글 다신분 덕에 좋은 정보 얻어갑니다~

  3. shinlucky 2009/09/19 16:40 PERM. MOD/DEL REPLY

    정말 좋은 글 잘 보고 갑니다.
    Wibro와 VoIP결합부분을 검색해서 들어왔는데,
    좋은 글을 찾았군요
    감사합니다. ^_^

 

국내 Wibro 현황 #1


1. 들어가는 글

Wibro는 2002년 ETRI가 중심이 되어 개발하고, 2006년 6월 KT와 SKT가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한 초고속 휴대인터넷 서비스이다. Wibro는 휴대 인터넷 4G 중의 하나인 WiMax와 뿌리가 같으며, 시속 60Km로 달리는 차안에서도 끊김없이 무선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다. 국내에서는 Wibro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직접 나서고 있으며, 이동성, 속도, 가격면에서 앞선 기술로 평가 받고 있다.

하지만, 주요 사업자인 SKT의 사업 의지가 부족하며 KT 역시 아직까지는 적극적인 시장 진입을 위한 노력은 하지 않고 있다. 이 와중에 정부의 무리한 사업 추진이 이통사와 엇박자를 내면서 잡음이 나고 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러한 국내 Wibro의 현황에 대해서 리뷰를 해보도록 하겠다.


2. 가입자 추이

사용자 삽입 이미지

SKT의 Wibro 사업 투자는 항상 말 뿐이고, 그나마 KT가 다양한 시도는 하고 있다. 09년 6월 현재, KT의 Wibro 누적투자액은 약 2조 6천억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입자는 늘어날 생각을 하지 않는다. 09년 5월 현재 KT의 Wibro 가입자는 21만명, SKT는 2만명 수준에서 계속 머물러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수치를 대략적으로 계산해보면 KT는 Wibro 가입자당 현재까지 약 1200만원 정도를 투자한 셈이다. 이러한 투자액에 비해서 매출규모는 초라하다. 08년 와이브로 관련 매출액은 KT 250억원, SKT 2억원 정도로 알려져 있다.


3. 국내 Wibro서비스의 문제점

3.1. 좁은 서비스 커버리지

통신서비스에서 커버리지는 생명과도 같으며, 이는 장비투자비용을 의미한다. 사업의 확신이 없다면 힘든 부분이다. 현재 KT Wibro는 서울 전역 및 수도권 19개 시 등에서만 이용이 가능하다. 앞으로도 사업자당 2조 정도를 더 투자해야 가장 큰 문제점인 커버리지가 어느정도 해소될 전망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3.2. 상이한 주파수, 대역폭

글로벌 업체 연합인 Wimax Forum에서는 최근 Wimax 단말을 표준화해서 상호 호환이 되어, 로밍 서비스가 되는 것을 09년말까지 실현이 옮기기로 했다. 이번 글로벌 로밍 사업에서 KT와 SKT는 제외되어 있다. 이렇게 글로벌 로밍이 되지 않는 것은 해외 선진국들과 상이한 주파수와 대역폭 때문이다.

국내 Wibro 서비스 대역폭은 8.75㎒으로 외국 대역폭인 10㎒보다 작다. 주파수도 국내의 경우는 2.3㎒이지만 해외 선진국에서는 2.5㎒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때문에 최근 방통위가 주파수와 대역폭을 조정하는 것을 고민하고 있지만, 이는 비용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에 뾰족한 수가 없는 형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3.3. 킬러 서비스의 부재

정부는 계속해서 Wibro 활성화를 외치고 있다. 불행히도, 자본만 투자한다고 해서 자연스러운 활성화가 되는 것이 아니다. 커버리지와 더불어 가장 중요한 킬러 서비스가 없는 형편에서, 유선과 동일한 네트워크 회선을 굳이 가질 필요가 없다.

유선 인프라가 대중화되었고, 어느 골목에나 있는 PC방, 그리고 이동통신(2G, 3G)등으로도 충분한 현재에서 다른 가치를 주지 못하는 Wibro가 활성화되지 못하는 이유는 이상한게 아니다. 현재 이동통신처럼 위치 정보를 활용하는 서비스나 USIM을 통한 사용자 인증 조차도 없으니, Wibro의 미래는 어두울 수 밖에 없다. 그렇다면, 정부와 이통사가 접근하는 Wibro의 서비스 발전은 어떠한 방향일까?
2009/07/03 09:03 2009/07/03 09:03
top

  1. 떵꺼리 2009/07/03 10:15 PERM. MOD/DEL REPLY

    예전에 회사에서 무료 3개월 이벤트 가입 시켜주길래 사용했는데
    하필 커버리지에 남양주 일부 지역만 되서...실망...나름 이마트도 있는 곳인데 ㅡㅜ

    3개월간 가지고 다니면서
    출근길에는 버스라 멀미 증상이 생겨서 못쓰고 회사에서는 PC있으니 안쓰고
    퇴근길도 버스라 못쓰고
    가끔가는 세미나나 컨퍼런스에서는 무선인터넷 제공하니 안쓰고
    Wibro의 갈길이 험난해보입니다.

  2. wryyyy 2009/07/03 13:53 PERM. MOD/DEL REPLY

    4G로 가는 밑밥을 미리 뿌려둔걸까요..?

    ..라고 생각하기엔 투자한돈이 어마어마하군요;;;

 

전화로 와이브로 해지하기


와이브로를 2007년 7월 2일부터 사용하기 시작했으니 17개월 가량을 잘 사용한 셈이다. 지하철에서 노트북으로 블로깅과 자료수집용으로 주로 사용하고 집에서 공유해보기 위한 시도도 해보는 등, 사용상에 불만은 거의 없었다. 그런 와이브로를 오늘 해지 신청을 하였다.

해지를 한 이유는 출퇴근 교통편이 '버스'로 바뀐 후부터는 시력이 떨어지는 느낌을 강하게 받았기 때문이다. 서브 노트북도 있고, 아이팟이나 다양한 무선 단말로 인터넷을 사용하지만 '버스'라는 플랫폼은 인터넷 사용하기에 좋은 곳은 아닌 듯 하다. 아무리 시간이 소중하다고는 하나 시력만큼 중요한 것 같지는 않아서 해지를 결심했다.

와이브로 해지는 대부분이 KT에 직접 방문을 해야만 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얼마전부터 팩스를 통해서 해지처리를 해주고 있다. 전화로 와이브로 해지를 하기 원하는 분은 참고하기 바란다.

1. 080-000-1472 으로 전화를 건다.
2. KTF 번호를 입력하라고 안내 음성이 나오지만 모든 것을 무시하고 우물정자(#)를 누른다.
3. 안내 멘트에 따라서 와이브로 메뉴(4번, 3번, 1번)로 들어가서 상담원과 연결을 한다.
4. 해지를 하겠다고 하면 몇가지 기본적인 사항을 물어본 후 안내를 해준다. 이 중에 팩스를 통해서 해지하겠다고 이야기를 한다. 물론 팩스 번호를 알려주어야 한다.
5. 팩스를 통해 해지신청서를 받는다.
6. 수기를 통해 신청서를 작성하고 신분증 앞면과 함께 기안내받은 팩스번호로 보낸다.(본인의 경우 02-337-4097)
7. 잠시 후, 상담원에게 전화가 오면 본인 확인을 한 후에 바로 해지처리가 된다.

교통 수단이 다시 지하철로 바뀌면 사용할 생각이다. 그래도 출퇴근시에 답답하지 않아서 좋았는데, 조금은 아쉽다. 금방 또 익숙해지겠지..
2008/12/17 19:25 2008/12/17 19:25
top

  1. 임준섭 2008/12/17 20:41 PERM. MOD/DEL REPLY

    버스는 덜컹 거려서 그런건가요? ㅎ

    mobizen 2008/12/18 01:50 PERM MOD/DEL

    그렇죠. ^^ 예전엔 조그만 Palm 으로 봐도 아무렇지도 않았는데, 요즘은 눈이 좀 많이 아프더라구요. ㅎㅎ

  2. 그만 2009/01/13 12:29 PERM. MOD/DEL REPLY

    왜 제겐 직접 찾아가라고 했을까요.. 나쁜 상담원.. --;

    mobizen 2009/01/13 17:00 PERM MOD/DEL

    아무래도 해지를 불편하게 해야 해지율이 조금이라도 떨어지니깐 그러지 않았을까요? ㅎㅎ

  3. 임기영 2009/02/26 11:11 PERM. MOD/DEL REPLY

    아직 위 방법으로 통화가 가능하더군요. 하지만, 1년이나 썼는데도 단말기 가격보다 요금이 적으니 위약금이 있니 없니 하면서, 결국 가입점으로 다시 전화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건 제 경우이고, 좋은 내용 알려주셔서 감사드립니다^^

    mobizen 2009/02/26 20:38 PERM MOD/DEL

    ㅎㅎㅎ 그러셨군요.

 

19층은 버린 하나로텔레콤, 아쉬운 서비스 정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에 사용하던 인터넷 회선이 끊겨서 초고속 인터넷을 새로 신청하려고 하던 중이다. 가장 저렴한 하나로텔레콤광랜이 들어온다는 것을 확인하고 얼마전에 개통 신청을 했다. 그리고 예정대로라면 100M 광랜이 현재 집에 설치가 되어 있어야 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설치가 되지 않고 있다. 설치기사가 집으로 왔다가 그냥 돌아가버렸다.

이유는 우리집이 19층이기 때문이란다. 하나로에서 설치한 광랜은 한 라인을 가지고 3개의 층을 커버한다고 한다. 그래서 2층에 들어오는 라인을 1층,2층,3층이 사용하고.. 5층에 들어오는 라인을 4층,5층,6층이 사용한다. 그래서 18층까지는 문제가 없는데, 우리 아파트는 19층이다. 19층 하나를 위해서 라인을 설치하기는 아까웠나보다. 만약에 아파트 건물이 21층이면 문제가 없었을테고, 20층이면 약간 고민을 했을텐데.. 1개 층에 서비스를 하기에는 설치비용이 아까웠는지 라인 설치를 하지 않아 버린 것이다.

LG 파워콤 광랜은 3월쯤에나 설치가 된다고 하니 지금으로선 구리선으로 들어오는 회선을 사용할 수 밖에 없게 되버렸다. 고민을 하던 중 당분간 와이브로를 집에서 사용하기로 했고, LG 파워콤 광랜을 기다려보기로 했다.

설치기사는 돌아가면서 이곳은 설치가 불가능한 곳이니 개통취소 처리하겠다는 말을 했다. 그 다음날 오후 하나로텔레콤 고객 센터에서 전화가 왔다. 가입신청서가 접수되었는데 온라인 개통 신청을 했기 때문에 사인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회의 중에 전화를 받았지만 자초지종을 설명하고 끊어야 했다.
그런데 그 다음 날은 "E-Mail 청구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라는 E-mail을 받아야 했다. CRM 시스템이 대부분 메일러 발송을 스케줄링을 통해서 하며, 다수의 사람에게 순차 전송을 하기 때문에 지체 시간이 있다라는 것은 알고 있지만 2일 후에 메일이 오는 것은 이해할 수가 없었다. 결국 고객센터에 직접 전화를 걸어서 개통 취소를 확인해야 했다. 서비스와는 본질적으로 상관없겠지만 아파트 문틈에 끼어있는 "하나로 광랜 개통 축하 가입 이벤트" 팜플렛을 퇴근길에 보면서 실소를 할 수 밖에 없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서비스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하는 나로서는 하나로 텔레콤의 서비스 마인드에 아쉬움을 많이 느꼈다. 어찌보면 고객센터에 전화걸어서 이런법이 어디 있냐고 고래고래 소리지르면 해줄 것도 같지만 그런식의 서비스 마인드를 가지고 있는 회사를 상대로 시간을 허비하고 싶지 않았다. 국내 서비스 마인드가 다 그만그만한 것도 사실이지만 하나로의 이러한 서비스 마인드와 엉성한 처리 프로세스때문에 민원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통신위원회에서 금번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07년 초고속인터넷 민원건수가 2006년대비 62.3% 증가했으며 하나로텔레콤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하나로텔레콤의 2007년도 민원건수는 5681건이다. 이는 전체 민원의 32%에 해당하며 지역 케이블 업체를 뺀 3대업체를 기준으로 하면 44%에 해당한다. 이러한 현상은 하나로텔레콤 IPTV에 집중을 하면서 해지 절차를 어렵게 한게 크게 작용을 하였다. 결론은 매출 달성에만 급급한 서비스 마인드의 부재라고 할 수밖에 없다.

국내 인터넷 포탈은 사실 하이텔, 천리안 등의 접속 사이트를 통해 시작되었다. 접속 기술은 있었지만 서비스 마인드가 부족하여 몰락하고 말았으며 650만명에 이르는 메가패스 사용자들도 메가패스 사이트에 접속하지를 않는다. 최근에 IPTV를 필두로 하여 멤버십강화, 서비스 기획 등을 뒤늦게 하고 있는 모습이 보이는데 현재와 같은 서비스 마인드와 업무 프로세스 처리로는 기존 서비스를 이기지 못할 듯 하다. 핸드폰이라는 Device를 만드는 공장에 머물지 않고 더 큰 도약을 꿈꾸며 활발하게 활동하는 노키아를 보고 뭔가를 좀 느끼기를...
2008/02/01 11:30 2008/02/01 11:30
top

  1. Nights 2008/02/01 16:16 PERM. MOD/DEL REPLY

    저도 불편함을 느껴서 이번에 명의를 제껄로 바꾸고, 파워콤이나 KT 로 갈아탈려고 합니다. 에휴

    mobizen 2008/02/01 21:29 PERM MOD/DEL

    KT던 파워콤이던 사실 서비스 마인드가 고만고만해서 문제긴 하지만 한번씩 바꿔줘야 정신을 좀 차리기는 할 듯 합니다. ^^

 

지하철에서 인터넷을 하다 보면..


아직까지 지하철에서 인터넷을 하는 것은 주위 사람의 시선을 받는 것을 피할 수는 없는 듯 하다.
요즘 가지고 다니는 후지쯔 미니 노트북에다가 Wibro를 연결해서 인터넷을 하면 옆의 사람이 모니터를 보는 시선을 느끼게 된다. 대부분은 그냥 호기심에서 보는 것이기 때문에 의식적으로 보는 것은 아니고 눈길이 가는 것이지만 한국에서 가장 무서운 집단인 아줌마 그룹에 소속된 분들은 정말 뚫어지게 쳐다보는 통에 뭘 제대로 할 수가 없다.

지하철에서 주로 하는 것은 웹서핑을 통한 자료 수집이나 블로그를 돌아다니면서 포스트를 읽는 것인데 관심사가 모바일이다 보니 주로 관계된 사이트만 가게 된다. 그러면 간혹가다 이것저것 물어보는 사람도 있고 명함을 주는 이들도 있다. 명함을 주는 이들은 일어서면서 연락한번 주세요.. 라고 이야기 하고 어떤 이들은 내 연락처를 물어보는 이들도 있다. 물론 나는 연락할 의사도 없었고, 내 연락처를 물어봤던 이들 중에서도 나에게 연락을 해 온 이들도 한명도 없다.

지하철에서 남의 노트북 모니터를 보면서 연락처를 물어보는 이들에 대한 나의 감정이 그다지 좋을리는 없지만 지하철에서 처음 보는 이에게 이것저것 물어보는 이들의 일에 대한 열정에 대해서는 박수를 보낸다.
근데... 박수는 박수고... 내 시간 뺏지 말라고....

2007/10/02 09:08 2007/10/02 09:08
top

  1. mobizen 2007/10/02 09:10 PERM. MOD/DEL REPLY

    긴긴 추석 연휴에서 어제 돌아왔습니다. 간만에 출근했더니 업무가 마구 쌓여있군요.. 추석이라고 쉬는 곳은 한국뿐이고 중국은 이번주가 추석 연휴 기간이라서요..
    일본은 아예 안 쉬구요.. 바쁘지만 간간히 포스팅 할려고 노력해보겠습니다.

  2. lesmin 2007/10/02 14:52 PERM. MOD/DEL REPLY

    제가 아는 분 중에는, 같은 이유로 LCD 모니터용 편광필터를 쓰시는 분이 계시더군요. 가격은 좀 비싸지만 쓸만하다고 하더군요. 아래 포스팅도 참조하시고..
    http://bikblog.egloos.com/1072832

    mobizen 2007/10/02 23:56 PERM MOD/DEL

    ㅎㅎㅎ
    투자 비용이 좀 쎄군요.

  3. 비밀방문자 2007/10/09 15:07 PERM. MOD/DEL REPLY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분당선의 와이브로 속도 테스트


분당선에서 와이브로가 잘 된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생각보다 훨씬 쓸만하고 안정된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었다.
공식적으로는 선릉에서 오리까지만 지원되지만 보정까지도 약하게나마 신호가 잡혀 인터넷 사용에 큰 어려움이 없을 만큼 나름 만족할만한 결과를 보여준다.
다만, 무식하게 큰 나의 노트북이 흠이다. U1010이 자꾸 눈앞에 어른거리네... 역시 알바가 필요해..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7/07/02 23:10 2007/07/02 23:10
top

 

와이브로 설치


지난주에 신청한 와이브로가 오늘 아침에 도착했다.
주말에 도착해서 경비실에 맡기고 간 모양이다. 요 근래 여지저기서 거의 공짜로 주는 듯한 와이브로는 이제는 싸다고 자랑할만한 것은 없지만 무선이 어디서든 된다는 점에서는 만족스럽다.
같이 신청한 회사 동료들 중에서는 서울인데도 불구 집에서는 수신이 안된다고는 하나..
나야 어차피 집은 서울이 아닌지라 애초부터 기대를 하지 않았고, 지하철에서 쓸 수 있으면 그걸로 만족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와이브로 기기와 서비스로 온 물품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박스 개봉하면 보이는 와이브로 모뎀과 UICC카드
사용자 삽입 이미지
까만게 예전에 초코렛폰을 처음 받았을 때의 느낌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뎀과 천으로 만들어진 백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내 노트북에 장착한 모습
사용자 삽입 이미지
와이브로 모뎀을 장착해본 후 테스트한 인터넷 속도. 강남이어서 인지 예상보다 높게 나온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서비스로 온 상품들~
2007/07/02 13:26 2007/07/02 13:26
top

 

모바일 네트워크 진화도



모바일 네트워크 진화도를 2003년 ATLAS 자료를 기준으로 해서 약간 수정해서 만들어 보았다.
이런 자료... 누구나 다 알고 있고 흔한 것 같지만 막상 구할려면 없다. HSDPA 까지 포함된 자료는 정말 구하기 힘들다.

네트워크 장비 개발자가 아닌 바에야 사실 위의 정보를 그다지 사용할일이 없다.
그래서 이런건 뭐 먹고 사는데 필요없자나.. 라고 가볍게들 넘어가는데..
개발이던, 기획이던, 사업이던..
가장 중요한 것은 "기본"과 "마인드"이다.
하단부에 어떤 메카니즘이 있고, 어떤 대역폭과 어떤 구성에 따라 어떤 킬러 컨텐츠나 어떤서비스가 차세대 주자가 될지 예측하는 것은 무척이나 중요하다.
우리는 너무 바쁘게만 달려서 알면서도 이런걸 간과하기가 쉽다.

다들 알겠지만 잠깐 설명을 좀 하자면..
좌측 부분이 이동통신에 대한 내용이다.
중간 부분의 '802.11'의 무선랜 규약이 흔히 말하는 와이파이(Wi-Fi)이다.
그 오른쪽에 위치하는 '802.16'은 와이맥스(Wimax)를 말한다.
그 상단부에 있는 '802.11e'가 요즘 회자되고 있는 와이브로이다.
와이브로가 고정형 와이맥스인 '802.11d'와 '802.11e'사이에서 참 탈이 많았는데 그 이야기를 하려는 포스트는 아니므로 담에 기회가 있을 때 설명하겠다.
우측끝에 있는 DMB가 지상파와 위성파로 나누어 졌다는 것은 다 알고 있을테고..

가장 우측에 있는 DNLA를 보자.
다들 용어가 생소할 것이다. 최근에 중요한 이슈로 되는 홈네트워크를 기반으로한 진정한 유비쿼터스를 위한 기술이다.
불과 일주일전까지 몰랐던 이 단어가 이젠 중요해져버렸다.
적어도 나에게는..................
2006/08/25 17:18 2006/08/25 17:18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