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컨텐츠 이야기


2008년 팬택 계열 국내 판매량 추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 이미지는 팬택 계열의 국내 휴대폰 판매량과 점유율을 전자신문에서 기사화하고 Atlas Research에서 재구성한 것이다. 성적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끝없는 추락을 하던 팬택 계열이 꾸준히 제자리를 찾고 있고, 3분기 들어와서는 20%에 가까운 점유율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팬택의 이러한 선전에는 스카이의 브랜드 이미지가 한몫을 톡톡이 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원문 기사에 따르면 돌핀폰(IM-U220/U220K)이 스카이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80만대를 기록했고, 네오사인(IM-U300K)도 약 30만대가 팔리는 등 저가폰이기는 하지만 대중화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플랫폼에 대한 투자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이때에 오로지 '디자인' 하나로만 승부하는 팬택 계열이 이러한 좋은 성적표를 내는 것도 다소 의외이다.

팬택은 어려워지기 전에 국내 시장에서 선전을 했었다. 하지만 해외향에 대한 의지가 현실과 동떨어져서 GSM 개발에 실패를 했었다. 이는 GSM에서 선전하던 모토롤라가 CDMA 시장 확대를 하다가 실패하던 모양새와 닮은 꼴이다.

팬택이 해외향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않고 투자를 시작하고 있다는 소문이 심심치 않게 들려온다. 이번에는 노하우가 있는 CDMA 시장이라고는 하나 조금 빠르지 않나 하는 생각이다. 스마트폰에 대한 첫도전도 성공적이라는 자체 평가에 약간은 고무되어 있는 것 같고 국내에서도 프리미엄폰에 대한 전략으로 터치폰에 대해 관심이 높은 듯 하다. 시도 하는 것은 좋으나 저번처럼 올인 전략은 하지 않기를 바란다.

내수 시장을 통해서 재도약을 안착하기 위해서는 무리한 해외향에 대한 추진보다는 디자인에 투자하는 것 절반이라도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이나 스마트폰 시장을 위한 플랫폼 개발에 힘을 쓰는게 낫지 않을까? 그들이 하고자 하는 방향이 옳다 그르다를 제 삼자가 함부로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니라, 여유가 조금 생길 때 내실을 기하기를 바라는 것 뿐이다. 변변한 킬러 어플 조차 없는 팬택이니 말이다. '매직윈도우'같은 것은 CF하기에나 좋을 뿐 킬러라고 할 수는 없지 않은가? 
2008/09/23 08:17 2008/09/23 08:17
top

  1. case 2008/09/23 08:36 PERM. MOD/DEL REPLY

    펜택이 스카이 덕분에 성적이 좋은 것은 인정하지만, 펜택이 스카이를 먹고 나서 스카이의 가치가 떨어진 것은 분명하다고 봅니다. 휴대폰 디자인들이 점점 펜택화 되고 있는 것이...
    스카이 유저들 중 실망하는 분들이 많이 있더군요..

    mobizen 2008/09/23 10:09 PERM MOD/DEL

    case님의 언급한 점이 없자나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서로 다른 회사 3개가 모이다 보니 서로간의 있던 장점들이 사라지는 것 같아 조금 아쉽네요.

  2. 외로운까마귀 2008/09/23 09:26 PERM. MOD/DEL REPLY

    다양한 어폴리케이션 개발은 국내 제조사 전부 해당되는데 제일 잘나가는 삼성도 그런 부분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상태이고 3위정도 되는 팬택이 어폴리케이션 투자를 한다는 것은 자칫 점유율을 잃어버릴 수 있다고 생각하거든요. 이런말이 있죠.. 지금은 디자인 시대이니 어찌보면 그 틀에서 안주한다면 디자인에 주력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다만 몸둥아리는 거기서 거기겠지만요..

    mobizen 2008/09/23 10:15 PERM MOD/DEL

    국내 삼성이나 LG전자가 해외의 기업과 비교당해 사실 무시를 당하는 면이 없자나 있는 것 같은데, 상대적인 비교로서는 동의하지만 삼성이 투자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에는 전 좀 동의하지 않습니다.

    이 역시 저의 개인적인 사견이지만 팬택이 어플리케이션에 투자하지 않고, 디자인(사실 팬택의 디자인이 아니라 스카이의 디자인이겠지만)만을 고수한다면 국내향에서 저가 시장만을 공략하는 지금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문제는 팬택은 계속해서 해외향에 대한 비전을 가지고 있고, 그것이 좋다 나쁘다 논란 이전에 해외향에 맞는 제품의 다양한 구성에 대해서 고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외로운 까마귀님이 지적하듯이 삼성과 팬택의 어플과 플랫폼에 대한 결과물은 지금은 비슷하고, 모두 무심한 것 같지만 실제 만나서 이야기 해보면 많이 다르다는 것을 저는 느낍니다. 고민을 해도 안나오는 것과 고민을 아예 하지 않아서 안나오는 것은 미묘한 차이지만 알게 모르게 시장에서 작용하고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저희가 고민할 문제은 아니겠죠~ ^^ 소비자나 컨슈머들은 다양한 목소리와 의견을 제시하고, 각 기업의 전략들은 그러한 다양한 소리 중에 자신만의 것을 찾아가야하는 것이겠구요~ 소중한 의견 감사합니다.

 

핸드폰 브랜드별 선호도 조사


모바일 포털 모키에서 휴대폰 브랜드별 선호도 조사를 하였다. 조사기간은 2008.03.10 ~ 2008.04.18 였으며 모키회원 4,509명이 설문에 참가를 하였다. '휴대폰에서의 삼성 트라우마' 포스팅에서도 이러한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를 언급하고 제품의 질 여부와 상관없이 애니콜에 대한 선호도가 강하다는 것을 이야기 한적이 있는데 이번 설문의 결과도 크게 다르지는 않다. 다만 모토로라에 대한 선호도가 급감하고 있어 해당 회사의 시장에서의 존재감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설문의 원본은 여기에 가면 확인을 할 수 있고, 그 중에 중요 항목만 정리를 하자면 아래와 같다.

1. 현재 사용하고 있는 휴대폰 브랜드 명은 무엇인가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2. 현재 사용하고 있는 휴대폰의 구입가격은 얼마인가요? (할부 구입인 경우는 지불해야 할 총액을 선택, 보조금, 가입비, 유심(USIM)카드비 등을 제외한 실제 휴대폰 지불 가격 선택)
사용자 삽입 이미지

3. 평소 휴대폰 구매를 하실 때 가장 중요하게 보는 것은 무엇입니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4. 현재 사용하고 있는 휴대폰 브랜드의 디자인, 가격, 기능, 마케팅, 사용 편리성, A/S 등 모든 사항을 고려했을 때, 브랜드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5. 현재 사용하고 있는 휴대폰과 상관없이 가장 좋아하는 휴대폰 브랜드는 어디인가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저번 모키조사와는 약간 달리 일반적인 분포도를 보여주고 있어 설문 결과를 그대로 받아드려도 될 듯 하다. 사용자는 애니콜과 스카이 브랜드를 선호하며 10만원 미만의 핸드폰이 적정가라고 생각한다. 선택시에 디자인과 기능이 주가 된다. 브랜드 선호도 중에 2위를 달리는 스카이에 대한 선호도 때문에 큐리텔이 각 회사를 분리해서 운영을 하는거고.. 오랫동안 지속되는 룰을 재확인 시켜주는 결과이고 당분간 이러한 소비자 성향은 바뀌지 않을 듯 하다.
2008/05/15 13:23 2008/05/15 13:23
top

  1. wssplex 2008/05/16 09:45 PERM. MOD/DEL REPLY

    딴건 모르겠고,. 애니콜하고 싸이언만 써봤는데요..
    처음이 애니콜이라서 그런지 싸이언으로 바꿨드만 영 불편하드라구요...
    현잰 애니콜이고, 전 계속해서 애니콜만 쓸려구 생각중입니다..^^;;

    mobizen 2008/05/16 10:07 PERM MOD/DEL

    안녕하세요? wssplex 님. 리플 감사합니다.
    개인에 따른 취향 차이가 있을 듯 합니다. 실제로 폰이 바뀌었을 때 가장 큰 거부감은 문자입력 방식이 아닐까 합니다. 그 외에 다른 사항이 있으시면 같이 공유한다면 좋은 자리가 될 것 같습니다. ^^

  2. 비밀방문자 2008/05/16 13:41 PERM. MOD/DEL REPLY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mobizen 2008/05/16 16:07 PERM MOD/DEL

    제가 아직 feedburner나 friendfeed와 같은 것을 사용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그냥 일반적인 주소와 같이 http://www.mobizen.pe.kr/rss 가 제 feed 주소입니다. ^^

  3. 모세초이 2008/05/16 21:24 PERM. MOD/DEL REPLY

    음..개인취향도 있을거고, SKY 선호도는 여전하네요.ㅋㅋ

    mobizen 2008/05/17 01:14 PERM MOD/DEL

    네. 개인취향이 좌우하는게 많죠. 이러한 개인취향이 무시할 수 없는 것이라는 것이 재미난 점이지요~

  4. 정민이 2010/08/21 16:53 PERM. MOD/DEL REPLY

    안녕하세요 ~~ 좋은내용이라서 보고서로 이내용을 써 볼라구 합니다.~~
    퍼가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