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컨텐츠 이야기


무료 모바일 사이트 빌더, UBIK.com


웹사이트나 모바일 사이트에서 다양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스펙에 따라 최적화된 결과를 보여주려는 시도는 예전부터 계속되어 왔다. 이러한 서비스에는 여러 방식이 있는데 대표적인 것은 아래와 같이 구분될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첫째, html 형태로 저장하면 프록시 서버를 거쳐서 각 디바이스의 브라우저에 최적화된 메타 코드로 수정해서 보여주는 방식. 대부분의 브라우저 Core 개발 회사들은 이러한 제품을 사이드로 한개씩 개발하고 있다.
둘째,  웹서비스를 통해 해당 페이지의 내용을 편집한 후 사용자가 사이트에 접속할 때 해당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메타 코드를 실시간으로 생성해서 보여주는 방식으로 야후 재팬에서 꽤나 완성도 높은 서비스를 한적이 있으며, 비슷한 컨셉으로 mobizen도 기획을 한 적이 있다.(http://www.mobizen.pe.kr/206)
셋째, Windows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이트를 편집한 후에 사이트 Publishing 과정을 거쳐서 중간 코드를 생성한 후 사용자가 접근 할 때 최적화된 코드를 보여주는 방식으로 국내에서는 (주)애니빌의 애니빌더가 대표적인 제품이다.

초기에 이런 제품들이 WAP 페이지를 기본으로 Publishing을 해주었으나 요 근래에는 풀브라우저를 지원하고 사이트의 레이아웃까지 맞춰주도록 진화를 하고 있다. 가장 최근에 방문했던 곳이 Volantis Systems LtdUBIK.com 이다. 무료로 사이트를 제작할 수 있으며 11개의 템플릿을 제공하여 쉽게 사이트를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의 관건은 최적화를 지원하는 디바이스의 갯수인데 UBIK.com의 경우에는 약 5,100개의 디바이스 정보를 내장하여 각각에 맞게 최적화된 페이지를 보여준다.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구형폰인 4 Gray부터 WAP을 지원하는 폰 외에 아이폰과 같이 풀브라우저를 지원하는 폰도 지원을 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QoS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Sales Point이다. 일반 고객이나 소형 업체들을 대상으로 이런 비즈니스는 성공할 수가 없다. http://www.mobizen.pe.kr/206 에서도 언급했다시피 정적인 홈페이지보다는 짧은 시간안에 빠른 제작을 할 수 있되 페이지의 내용이 복잡하지 않고 다양한 디바이스를 지원해야 하는 기업 프로모션용 페이지가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물론 광고대행사와의 B2B 가 된다면 더욱 쉽게 풀릴 것이고.. 그러한 측면에서 winksite와 같이 더저분한 기능을 제공하고 뭔가 수익을 만들어보려는 서비스보다는 UBIK.com와 같은 템플릿 위주의 심플한 서비스가 성공할 확률이 더 높은 편이다.

2008/06/11 15:12 2008/06/11 15:12
top

  1. mantova46 2008/06/19 12:25 PERM. MOD/DEL REPLY

    모바일사이트를 만들어 띄워놓았을때 웹마스터에게 어던 과금이 있는지요?
    웹호스팅비 외에 사용료가 있다면 얼마나되는지요? 알고십습니다.
    mantova46@yahoo.co.kr

    mobizen 2008/06/19 12:47 PERM MOD/DEL

    안녕하세요 mantova46님.
    관심 가지고 리플 달아주신거 감사합니다.

    한데 죄송하게도 어떤게 궁금하신지 제가 잘 이해가 안가네요. 웹마스터에게 과금이 있다라는 것은 무엇을 물어보시는건지요? 웹마스터가 어디에 있는 웹마스터를 말씀 하시는건지.. 웹호스팅 비용은 또 무엇인지요?

    위에서 분명히 썼듯이 UBIK.com은 무료입니다. 사이트를 만들면 URL이 생성이 됩니다. http://mobizen.ubik.com 이런식으로요. 뭘 여쩌보시는지는 모르겠지만 한번 만들어보시면 아실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