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컨텐츠 이야기


플랫폼별 Top Mobile Game 목록


Mobile App Store에서 Game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것은 너무나 잘 알려진 사실이다. Game이 성공하기 위해서 필요한 조건은 단 하나 '재미있으면 된다' 이지만, 이 '재미'라는 기준이 극히 주관적이며 선호도에 따라 호불호가 갈리게 마련이다. 특히, Mobile 에서는 플랫폼이나 Store에 따라 이를 구성하는 사용자들의 선호도나 특징이 존재한다. Top Rank 되어 있는 Game List들을 보면서 이러한 질문에 힌트를 얻기를 바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Apple App Store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유료 게임은 역시나 다운로드된 'Angry Bird'이다. $0.99에 불과한 이 Casual Game은 650백만번 판매되면서 iOS 기반에서만 450.5백만 달러(한화로 약 52억원) 정도의 수익을 냈다. Game의 방법이 워낙 쉽고, Touch UI에 최적화 되어 있는 것이 성공 요인이다. 현재 Beta인 Android 버전이 정식 릴리즈 되면 수익은 더욱 커질 것이다.

iOS Top 5를 보면 'Bejewled 2'라는 Steady Seller로 3위를 차지한 PopGap을 제외하면 Major Mobile Game Publisher들의 제품이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만큼 게임의 재미와 입소문만 나면 수익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곳이라는 이야기이다. 'Bejewled 2'를 제외한 나머지 게임 가격이 모두 $ 0.99 인 것도 특징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Nokia Ovi Store내의 Top 25 게임들은 'Bejewled'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Game의 Original Mobile Game 이다. Ovi Store는 I-Play, Gameloft, Handmark, EA 등 대형 Publisher가 주도하고 있는 것이 Apple App Store와는 다르다. Game 의 장르도 다양하며, Top 25 게임의 평균가격이 $2.71 로 다소 비싼 것이 특징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는 mplayit에서 각 플랫폼별 Mobile Game Market의 특징과 상위 Contents를 잘 정리해 놓은 표이다. 전체 Store의 주요 Contents 중 Mobile Game의 비중이 각각 iPhone 47%, Android 20%, BlackBerry 30% 이다. iPhone 사용자들의 Game 선호도가 타 플랫폼 사용자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iPhone에서는 Music 관련 Game, Android는 AR 이용 Game, BlackBerry는 영화나 TV시리즈를 기반으로 한 Game이 인기가 높다는 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 T-Store 홈페이지의 정보를 기준으로 유료 게임 Top 10을 정리해 보면 위와 같다. 조금은 의외로 Wndows Mobile 기반의 Game인 '위너스사커'가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Top 20위를 기준으로 분류를 해보면 위와 같다. Android의 비중이 70%, Windows Mobile 30%를 차지한다. 초기 스마트폰인 Windows Mobile 사용자들의 다운로드가 예상보다 많은 편이다. 장르별 분류를 해보면 맞고가 30%로 가장 많고, 스포츠 25%, RPG 20% 등을 차지하고 있다. '맞고'라는 장르에 대한 선호도는 여전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판매자의 경우 게임빌, 조이모아, 피엔제이, 컴투스 등 4개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Top 10에서는 다른 업체 제품이 전혀 없어 '쏠림현상'이 더욱 심화되고 있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평균 가격은 2,263 원으로 Apple Apps Store에 비해서는 다소 높은 편이다.
2010/09/29 08:47 2010/09/29 08:47
top

 

전세계 이통사 순위 알아보기


전세계의 이통사들의 규모나 브랜드 가치 등을 기준으로 한 다양한 랭킹이나 보고서들이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몇몇 주요 자료들을 소개하면서, 국내 이동통신 시장을 돌아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가장 최근 보고서는 영국 시장리서치회사 Portio Research가 글로벌 이동통신사 매출 순위를 기준으로 발표한 것이다.

이번 보고서의 총 매출에는 서비스 매출과 설비(또는 휴대폰) 매출 2가지가 모두 포함되었으며, 보다폰 등 다국적기업의 영업이익은 국가별로 비교하여 정확성을 더했다. 아래는 해당 보고서 랭킹 중 Top 10을 재구성해본 그래프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세계 주요 이동통신사 지표 비교' 포스트에서도 언급이 되었지만, 가입자수를 기반으로 한 China Mobile의 규모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고 있다. 단순한 매출액 뿐만 아니라, 성장율 22.3%를 기록하면서 월등한 우위를 보여주고 있다. 전반적으로 북미와 유럽과 같은 선진시장의 이통사들이 상위권을 차지하였으며, 미국 이통4사는 모두 Top 10에 들어가면서 저력을 발휘하고 있다. 반면, 미국 Sprint는 매출이 전년대비 12.3%가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면에 ARPU를 기준으로 한 랭킹을 보면 조금 다른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매출기준 1위를 기록한 China Mobile을 비롯하여 중국 이통사들은 모두 ARPU 기준 Top 20위에 들지 못했다. 동보고서에 의하면 1위는 $74.2를 기록한 영국 허치슨3이 차지하였다. 국내 SKT는 Top 20위에는 들지못하였고, 어제(09년 11월 2일)기준 환율로 환산해보면 약 $36.3이니 한참은 뒤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는 Brand Finance에서 09년 10월에 발표한 전세계 통신사업자 브랜드 가치 랭킹 중에 Top 20위와 국내통신업체들의 점수를 재구성해 본 표이다. Vodafone의 브랜드가치가 24,647(백만달러)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고 있다. 브랜드 등급 또한 AAA이다. 국내 SKT는 24위, KT는 34위이다. KT와 KTF의 합병을 통해서도 SKT보다 훨씬 뒤져 있는 것이 이채롭다.

이런 랭킹을 통해 비교를 당하면 항상 국가의 소득대비를 비교해야 한다고 이통사들이 항변(?)하기는 하지만, 국가별 1인당 평균 가처분소득 대비 ARPU 산정 결과로 순위를 매겨보면, MTN(나이지리아)가 1위, Zain(수단), Globacom(나이지리아), Safaricom(케냐) 등 주로 Afrcia 중심이 이통사들이 상위랭킹을 하고 있다. 국내 이통사들은 앞으로 ARPU에 대한 고민과 함께 Global한 Brand 가치에 대한 고민도 지속적으로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2009/11/03 08:24 2009/11/03 08:24
top

  1. eothd 2009/11/05 16:18 PERM. MOD/DEL REPLY

    전세계 통신 브랜드 및 기업가치에서 KT는 합병전으로 산정된 통계입니다.

    비밀방문자 2011/05/17 21:20 PERM MOD/DEL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네비게이션 소프트웨어 Top 10


사용자 삽입 이미지

ABI Research에서 얼마전에 On-board Navigation Software 업체를 대상으로 Top 10 순위를 발표하였다. 항목은 Innovation과 Implementation 의 2개로 하여 각각 X축과 Y축으로 놓고, 종합 점수를 매겼다. 보이는 결과는 위에 보이는 바와 같이 'Nokia'가 가장 높은 점수를 얻어 내었다.

이번 랭킹을 소개하는 것은 단순하게 'Nokia'가 1위를 했다는 소식을 전하고자 함이 아니다. 해당 보고서를 보면 다양한 요소들을 정해놓고 이를 가지고 점수를 주었는데, 이 항목이 꽤나 와닿는 점이 많다. 역으로 말하자면 Navigation S/W 로서 가져야 하는 기본요소들을 정리해 놓은 것이다. 해당 항목은 아래와 같다.

Implementation
  • Market Share - Overall share of installed based and sales market share
  • Carrier agreements - Number and importance of partnerships with carriers
  • Handset and PDA manufacturer agreements - Number and importance of partnerships with handset manufacturers
  • Market positioning - Quality and relevance of communication, branding, and marketing campaigns and programs
  • Mobile platforms and form factor coverage - Number of supported mobile platforms, operating systems, and handset models
  • Organizational health - Financial and overall organizational strength
  • Global coverage - Global presence in North America, Europe, Asia-Pacific, and developing regions
  • Quality and reliability - Consistency of the navigation experience
  • Customization - Quality and timeliness of white label implementation flexibility
Innovation
  • Navigation features - Number and relevance of options, such as routing options, navigation modes, map display modes, etc.
  • Local search - Local search, premium content, and local partnerships
  • Map upgrades - Frequency and ease of use
  • Traffic information - Availability of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at no additional cost
  • Business model/pricing options - Number and relevance of pricing options
  • Open APIs - Flexibility to interface with other applications
  • Sharing- Functionality to share POIs, routes, and landmarks with friends and family

모바일 인터넷이 확장되면서 모바일 지도와 네비게이션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모바일 지도는 단순하게 현재 위치의 지도를 보는 서비스가 아니라 그 위에 다양한 서비스들이 올라갈 수 있는 기본 플랫폼이다. 위에서 언급한 항목과 같이 단순한 네비게이션 기능 외에도 이통사와의 관계, 단말 벤더와의 관계, 조직 구성등도 무척 중요한 요소이다. 다양한 서비스들이 올라가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비즈니스 영역이 넓어야 하기 때문이다.

위의 항목은 지도에 최적화되어 있는 항목이지만, 이를 토대로 모든 서비스들의 유사 항목을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지금 개발하는 서비스가 단순한 어플리케이션인지, 플랫폼인지 곰곰히 생각을 해보도록 하자..
2008/11/07 08:19 2008/11/07 08:19
top

  1. alldaylong 2008/11/13 14:14 PERM. MOD/DEL REPLY

    영어 번역을 하다보니 의미 축약 및 전문 용어 사용이 빈번하여 이 부분에 대해 의역했음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Implementation

    - Market Share - 매출 기준 전체 점유율과 단말 탑재된 시장 점유율
    - 이통사 계약들- 이통사들 협력 숫자와 관계의 중요성
    - 단말 제조사 와 PDA 제조업자와의 계약들 - 단말기 제조 업체들과 협력 숫자와 파트너십의 중요성
    - Market positioning - 품질과 커뮤니케이션의 관련성, 브랜딩 및 마케팅 캠페인과 마케팅 프로그램
    - 모바일 플랫폼 및 구성 범위 – 지원하는 모바일 플랫폼, 운영 체계, 핸드폰 모델들의 숫자
    - 조직의 건전성 – 재무 및 전체 조직력
    - Global coverage – 실재 북미, 유럽, 아시아 와 기타 지역들에 대한 Global 적용
    - 품질 과 신뢰성 – 내비게이션 사용 경험의 일관성
    - Customization(맞춤형) – 품질과 시의적절한 저장된 개인 정보(white Label) 활용의 유연성


    Innovation

    - 내비게이션 특징 – 옵션의 수와 옵션의 관련성, 라우팅 옵션등, 네비게이션 모드들, 지도 표시 모드들, 그밖에 기능들
    - 지역 검색 지역 검색, 프리미엄 콘텐츠, 지역 파트너쉽(지역 기반 광고등..)
    - Map 업그레이드 - 업그레이드 제공 주기 및 이용 편의성
    - 교통 정보 - 추가 비용없이 실시간을 교통 정보의 가용성
    - 비즈니스 모델 / 가격 정책 – 가격 옵션의 수와 가격 옵션의 합리적 타당성
    - Open APIs – 다른 Application과 인터페이스의 유연성
    - Sharing(공유) – POIs(Point Of Interesting), 경로탐색, 친구와 가족들이 함께한 랜드마크 기능의 공유

    mobizen 2008/11/14 14:17 PERM MOD/DEL

    게으른 저를 위해 번역까지 해주셨군요.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