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컨텐츠 이야기


10년 1분기,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 리뷰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10년 1분기, 전세계 휴대판 판매량은 294.9 백만대로 알려져 있다. 예전과 같은 제왕의 카리스마스는 없어지긴 했지만 Nokia는 전체 시장의 36.6%를 차지하여 여전히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2위 21.8%의 삼성, 3위 10.6%의 LGE 등이 뒤를 이었다.

항상 Top5 안에 들었던 Motorola는 이번에는 리스트에서 찾아 볼 수가 없게 되었으며, 스마트폰만 제조하는 RIM이 전체 시장의 3.6%를 차지하며 4위에 들어가는 기염을 토했다. RIM이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지배력이 높기는 했지만 전체 Top 5안에 들어간 것은 이번에 처음이다. 그만큼 스마트폰이 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번 분기 전체 휴대폰 판매량의 18.59%를 스마트폰이 차지하였다. 판매량의 증가는 조사기관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전년동기대비 56~67% 정도를 이룬 것으로 보고 되었다. IDC 보고서에 의하면 54.7 백만대, Canalys 보고서에서는 55.2 백만대 정도의 스마트폰이 2010년 1분기에 판매된 것으로 집계되었다.

스마트폰 Top 5를 보면 1위 Nokia를 시작으로 RIM, Apple, HTC, Motorola 등이 차지하였다. 전체 휴대폰 Top5와 비교하여 보면 삼성, LGE, Sony Ericsson 등은 스마트폰 Top5 에서 발견할 수 없다. 전화기를 만드는데 필요한 기술과 정보를 유통하는 단말의 기술 요소가 다르며, 제조사들의 시장 지배력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마트폰 Top 5 추이를 보면 09년 3분기까지 5위를 유지했던 삼성의 경우 09년 4분기부터는 자취를 감추었으며, 그 자리를 Motorola가 차지하였다. 전체 휴대폰 Top 5에서는 사라졌지만 Motorola에게 새로운 기대를 할 수 있게 하는 이유이다. 반면, 삼성과 LGE가 스마트폰 시대에 잘 적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아 우려되는 부분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편, 주요 입력 형태별 단말 판매 비중을 보면 09년 1분기에는 37.2% 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던 Keypad는 10년 1분기에는 13.5%로 가장 낮은 비중을 보이고 있다. 반면 Touch Screen 단말이 과반수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Qwerty 키보드 역시 27.3%로 전년 동기대비 소폭 감소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새로운 플랫폼과 서비스, 그리고 Touch Screen, GPS, MEMS 등의 새로운 장치등이 일반화 되고 있는 스마트폰 시장은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시장 성장에 관한 보고서는 너무 많아서 새삼스러울 것도 없다. 많은 보고서 중 가장 최근 자료(2010년 5월 13일 발표)인 Coda Research Consultancy 자료를 참고 삼아 보도록 하자.

해당 보고서에 의하면 2010년 스마트폰 예상 판매량은 236 백만대로 이후 24% 상승하여 2015년에는 619 백만대이다.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예상 판매되는 스마트폰은 2.5 Billion 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두가 궁금해 하는 국내 스마트폰 판매량 추이는 정확한 보고서가 현재는 없어 짐작만 할 뿐이다. 이번 분기까지 국내 스마트폰 판매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아이폰과 옴니아2는 10년 1분기에 누적 합계 백만대를 넘어섰다. 12월을 제외하고 분기 판매량만 보면 65만대 정도이다. 나머지 단말의 판매량이 극히 미비하니 전향적인 예상치를 적용하여도 이번 분기 스마트폰 판매량은 75~80만대가 된다는 예측이 가능하다.

SKT가 공격적인 스마트폰 라인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모든 단말사에서 준비하고 있는 안드로이드 전략 단말, 하반기에 출시 예정인 삼성전자의 새로운 스마트폰 플랫폼인 바다 단말 등의 변수를 생각하다면 2010년도 국내 스마트폰 판매량은 4백만대 수준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판매량 대비 쓸만한 단말이 많지 않다는 것은 국내 스마트폰시장을 다시 회의적으로 보게 만든다. 제대로 된 안드로이드 단말이 국내 제조사를 통해 출시를 하고(해외 단말은 마케팅에 한계가 있기 마련), 아이폰 4G과 아이패드등이 나와야 활기를 띄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10/05/17 08:38 2010/05/17 08:38
top

  1. tano 2010/05/17 11:12 PERM. MOD/DEL REPLY

    항상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별로 중요하지 않겠습니다만, 위의 '입력 형태 별 스마트폰 판매비중'에서 'Qwerty 키보드 역시 27.3%로 전년 동기대비 소폭 감소' 보다는 전년 동기 대비 판매량이 늘었다고 보아야 하지 않을까요?
    SNS가 확산됨에 따라서 문자 입력이 많아졌을 것이고, 이를 위해 터치 스크린을 통해 가상키보드를 사용하느냐 물리적 키보드를 사용하느냐의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키패드 방식이 줄어든 것도 이때문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괜히 글 한번 남기고 싶어서... ^^;;)

  2. 진눈깨비 2010/05/17 13:09 PERM. MOD/DEL REPLY

    국내 옴니아와 아이폰 비교표에서 KT 도 판매량으로 발표하고, 삼성도 판매량으로 발표를 했습니다.

    그런데 ZDNET 기사를 보면...

    http://www.zdnet.co.kr/ArticleView.asp?artice_id=20100330093546

    삼성전자는 지난 해 말 출시한 '옴니아2' 계열 3종의 누적 판매가 60만대, 개통량 50만대를 넘어섰다고 30일 밝혔다.


    통신사에 넘긴 옴니아2가 60만대고, 그중에 '개통된' 다시 말해 통신사에서 '판매'한 옴니아2는 50만대라는 이야기죠. 통신사 대리점 창고에 쌓여 있는게 10만대.

  3. Daniel 2010/05/22 21:07 PERM. MOD/DEL REPLY

    말씀하신 것처럼 국내 시장에 대한 자료는 보기가 힘드네요...
    대부분 실적발표나 신문기사 정도의 소스

    혹시 좋은 리포트나 보고서 있으면 소개 부탁드려요^^

  4. kpa_spad 2010/06/04 16:10 PERM. MOD/DEL REPLY

    우리나라는 한글의 우수성 때문에 천지인,나랏글 등이 개발되어 너무 편리하게 한글을 입력하지만
    영어(알파벳사용)사용하는 국가들은 여전히 느려터진 abc def .... 자판이나 쿼티자판을 사용중이지요.

  5. 돌돌이는 덜덜덜 2010/06/24 16:35 PERM. MOD/DEL REPLY

    감사합니다. 잘 읽고 갑니다.

  6. yhcall 2010/07/28 10:50 PERM. MOD/DEL REPLY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포탈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 스마트폰 시장이 100만 3천명 가입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2007년 하반기에 '블랙잭'이 본격적인 스마트폰 단말의 시작임을 고려한다면 2년6개월 만에 '스마트폰 100만 시대'가 개막한 셈이다. 논란의 여지는 여전히 많지만, 국내 스마트폰 시장이 활성화되기 시작하게 된 것은 아이폰과 옴니아 덕분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판매량 기준으로 2009년 12월에는 아이폰, 2010년 1월에는 옴니아가 가장 높은 단말이 되었다. 이들 덕분에 지난달만 스마트폰이 33만대가 판매되었다. 지금과 같은 추이라면 로아그룹에서 예상했던 년간 400만대 판매가 가능할런지도 모른다. 이렇게 스마트폰 열풍이 3개월 정도 지나면서, 사용자들의 이용 행태를 조사한 몇몇 의미있는 보고서들이 나오고 있는데, 오늘 포스팅에서는 몇가지 자료를 같이 공유하고자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Smart Phone이 일반적으로 Feature Phone에 비해서 고가인데, 국내 소비자들은 단말기 보조금을 받지 않고 구입하기 적당한 가격으로는 316,000원(평균)으로 조사되었다. 가장 부담없이 구입할 수 있는 가격대는 30만원(21.2%)이 가장 많았으며 20만원(18.9%)·50만원(14.8%)·10만원(12.1%)·40만원(8.5%)이 뒤를 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무선인터넷 주요 장소로는 대중교통을 사용할 때가 57.2%, 커피숍, 식당 등이 20.7%를 차지하여 상식적인 사용패턴을 보여주고 있다.(Feature Phone 대상의 집계에서는 종종 예상과 전혀 다른 결과가 나오곤 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어플리케이션을 다운 받는 마켓플레이스의 사용 비율은 '아이폰 효과' 덕분에 애플 앱스토어가 52.1%를 차지하였고, SKT의 T Store도 26.3%나 차지하여 예상보다 높은 수치가 나왔다. 두 앱스토어를 제외하면 의미있는 마켓 플레이스는 없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곧 Android 단말이 증가되면 약간의 변화가 생길 것으로 예상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이폰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앱스토어의 방문 빈도를 조사해보면 거의 매일 방문하는 사용자가 58.1%, 주 4-5회 방문하는 사용자가 15.4% 등을 차지하였다. 종합을 해보면, 주 1회 이상 방문하는 비율이 전체 아이폰 사용자의 95.2%가 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앱스토어를 통해 구매 한 후, 주로 사용하는 어플의 종류를 보면 전연령대를 통틀어 게임과 카메라 관련 어플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메일과 SNS 등의 어플은 젊은 층들이 선호하는 반면, 연락처와 생산성(메모, PIMS 등)관련 어플은 30 - 40대들이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이폰 사용자들의 아이폰 구매후의 이용행태 변화에 대해서 조사를 해 본 결과, 가정내 PC 활용 시간이 59%나 줄어든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가정 내에서는 초고속인터넷을 통해 무선 AP로의 이용이 필요한 탓에 초고속인터넷은 대부분(97%) 지속적으로 이용을 필요로 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바일 어플이 주요 카테고리별로 구분이 된다면, 모바일 웹은 선호하는 포탈을 중심으로 하여 트래픽이 발생한다. 리서치 전문기관 메트릭스가 자체 패널을 대상으로 온라인 상에서 설문조사한 결과, 2010년 1월, 모바일 웹 사이트 이용자수 1위 사이트는 4,442,519명으로 알려진 네이버가 절대적이다. 그 뒤를 이어 다음과 네이트가 차지하고 있다.

모바일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 같은 버스정보안내, 기상청 등과 같은 모바일웹사이트도 예전에 비해서 트래픽이 높아지고 있지만, PC 시장과 같이 포탈 사이트를 중심으로 하는 이용행태가 변하지는 않는 듯 하다. 일견하기로는 국내 시장에서 네이버의 시장 지배력 또한 동일해 보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작은 수치이긴 하지만,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포탈 이용이 PC와는 조금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아이폰 사용자들은 PC에서의 사용대비 네이버의 선호도는 9% 감소하였고, 다음은 3%, 구글은 7% 증가하였다. 이러한 성향이 높은 연령대 일수록 뚜렷한 점 또한 흥미로운 조사결과이다. 구글의 선호도가 높은 것은 고유한 서비스보다는 메일, 주소록, 캘린더 등에서 완벽하게 Active Sync와 IMAP 등을 지원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국내 스마트폰 시장의 역사는 너무 짧고, 짧은 시간 동안 많은 변화들이 일어나고 있다. 그런 만큼, 대형 기업의 마케팅에 의한 시장 왜곡 또한 있는 것도 사실이다. 자신만의 인사이트들로 이러한 수치들을 잘 해석하고, 변화하는 모바일 환경에 대처할 수 있는 전략과 지혜가 필요한 시점이다.
2010/02/11 08:42 2010/02/11 08:42
top

  1. kdstar 2010/02/11 10:08 PERM. MOD/DEL REPLY

    흥미로운자료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늘 잘보고 있습니다.

  2. 라질이 2010/02/11 10:39 PERM. MOD/DEL REPLY

    늘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역시 세상이 변하나 보네요^^

  3. 비밀방문자 2010/02/11 10:48 PERM. MOD/DEL REPLY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4. 비밀방문자 2010/02/11 10:49 PERM. MOD/DEL REPLY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5. 장민우 2010/02/11 11:29 PERM. MOD/DEL REPLY

    전 다음이 더 좋더라구요..
    스마트폰은 아니지만
    터치2세대 쓰고있는데요..
    다음에 마니 손이 가더라구욬ㅋ
    뉴스보기 쉽고 메인에 뜨는 블로그도 보기 쉽네욯ㅎ
    네이버는 실시간검색어가 궁금해서 들어가구요..
    자주가는곳은 책갈피에 저장해놔서
    포털에서 찾아 들어가는일이 줄어들었다는...ㅋ

  6. 6210s 2010/02/11 11:43 PERM. MOD/DEL REPLY

    기타=노키아 인가요?

    겔드 2010/02/11 17:22 PERM MOD/DEL

    노키아를 포함해서 별도 집계된 옴니아 시리즈를 제외한 삼성에서 출시한 수많은 스마트폰과 HTC에서 출시한 스마트폰들이 모두 포함된 수치겠지요.

  7. 멍멍이소리 2010/02/11 13:35 PERM. MOD/DEL REPLY

    몇가지 특색이 있네요
    확실히 PC보다 휴대폰에서 네이버와 다음의 차이가 줄어들고 있네요
    하지만, 지도 어플만이 평가가 더 좋은것 말고는 어플 수는 네이버가 더 많던데
    다음은 좀 더 신경써야 할 것 같네요
    그런데 아이폰과 옴니아의 판매대수 차이에 비해서
    아이폰 앱스토어 사용이 옴니아쪽보다 더 많네요 어플 수의 부족은 아무래도 못 쫓아가네요

  8. JErrY Effect 2010/02/11 17:19 PERM. MOD/DEL REPLY

    좋은정보네요:) 감사합니다!!!

  9. yourmay 2010/02/12 09:53 PERM. MOD/DEL REPLY

    네이버가 어플수는 많긴한데, 정작 손이 가는 어풀은 또 몇개 안되지 않나요? 전 지도랑 웹툰 빼고는 다 지워버렸는데... -_-a

  10. ezoomin 2010/02/12 10:22 PERM. MOD/DEL REPLY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

  11. 김기성 2010/02/12 10:55 PERM. MOD/DEL REPLY

    오랜만에 들렸습니다.
    재미있는 수치들이 좀 있네요-
    좋은 정보 늘 감사!

  12. 게이버유저 2010/02/12 13:00 PERM. MOD/DEL REPLY

    구글이 짱,,

    게이버는 그냥 짬뽕 잡탕 사이트일뿐..

  13. 궁금궁금 2010/02/12 14:57 PERM. MOD/DEL REPLY

    아이폰 32// 옴니아2 30 // 기타 27.5....도데체....기타는 뭘까요....혹시 노키아?? 한국에서 사용가능한 스마트 폰이 또 뭐가 있죠???

  14. 긱스 2010/02/12 16:12 PERM. MOD/DEL REPLY

    네이버는 안쓰는데요. 구글과 다음만..

  15. mepay 2010/02/12 17:27 PERM. MOD/DEL REPLY

    아이폰에서 다음 미즈넷 보고 있으면 시간가는줄 모르겠던데.. 다음 모바일 전략은 미즈넷이 아닌가 싶을정도로..ㅎㅎ

 

국내 스마트폰 시장 현황과 2010년 전망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9년부터 2010년 1월 현재까지 전세계 IT 시장의 최대 화두는 '스마트폰'이다. 무선 인터넷과 앱스토어에 접속하는 최적의 단말 기기로 시간이 지날수록 무서운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2010년 전세계 스마트폰 판매량은 28,550만대이며, 2013년에는 50,770만대에 이를 전망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 스마트폰 시작은 이제서야 본격적인 시작을 한다고 할 수 있지만, 2010년 1월 현재를 보면 1년전과 비교하면 많은 성장을 하였다. 이통사별로 구분을 해보자면 SKT가 42만명 정도로 가장 많고, KT가 36만명 정도의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다. 전체로는 78.7만명에 이른다. 아이폰 덕분인지 전체 M/S 비율을 고려하면 KT의 스마트폰 이용자가 상대적으로 많은 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현재 국내 스마트폰 단말을 이끌어 가는 모델은 아이폰과 옴니아2이다. 삼성의 파격적인 마케팅과 국내 이통3사가 모두 가능한 덕분에 최근들어 옴니아2의 판매량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2010년 들어서 다소 소강상태를 보이는 아이폰에 비해, 옴니아2는 지속적으로 일판매량이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10년 국내 단말 출시는 총 30종으로 예정되어 있으며 13종밖에 되지 않았던 2009년에 비하면 2.3배나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통사별로는 SKT 15종, KT 10종, LGT 5종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이폰과 옴니아2의 경쟁 구도로 시작된 국내 스마트폰은 이렇게 다양한 단말이 출시되면서 본격적인 개화기를 만들어 낼 것으로 보인다. 하반기에는 본격적인 Android 폰들이 출시될 것으로 보이며, 1Q에는 SKT의 모토로이와 LG전자의 210시리즈가 가세하면서 시장의 활기를 불어넣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로아그룹이 조사한 전문가 설문에 의하면 2010년 국내 스마트폰 판매량이 400만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아직까지 소비자의 요구(Needs)에 의하기 보다는 기술과 시장이 환경적 요인에 의해서지만, 다양한 서비스들과 스마트폰에 맞는 BM에 대해 시도가 많은 만큼 전체 시장이 풍성해 질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런 스마트폰의 성장에 하나의 변수는 '보조금 규제' 이다. 스마트폰 활성화로 인해 이통사간의 마케팅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보조금 지급액이 높아지고 있다. 이처럼 보조금 경쟁이 달아오르자 방통위는 휴대폰 보조금의 상한선을 두는 내용의 가이드라인 제정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방통위가 제재에 나서면 스마트폰 보조금은 현재와 같은 수준을 유지하기는 힘들것으로 보며, 스마트폰 확산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2010/01/27 08:41 2010/01/27 08:41
top

  1. 쌍구 2010/01/27 09:57 PERM. MOD/DEL REPLY

    헉 옴니아가 더 많이 팔렸네요. 마케팅의 힘일까요?

  2. 라질이 2010/01/27 10:00 PERM. MOD/DEL REPLY

    음...저 내용으로 보면 SKT와 제조사의 힘으로 안드로이드 폰을 밀어 붙이기 하면 국내 스마트폰 판도가 바뀔 수도 있을 듯 한데요...말씀하신대로 보조금 규제가 관건이겠군요^^

  3. 이정환 2010/01/27 10:14 PERM. MOD/DEL REPLY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4. 제너두 2010/01/27 10:59 PERM. MOD/DEL REPLY

    국내의 단말라인들이 다양화 되는 시점에서 소비자들을 확 잡아끄는 원맨쇼가 나오길 기대해봅니다^^

  5. 짬뽀 2010/01/27 11:36 PERM. MOD/DEL REPLY

    돌풍을 일으키는 아이폰이 옴니아보다 판매대수에서 훨씬 못 미치는군요.

    삼성맨 + 협력직원들은 옴니아를 써야 해서 그러는 걸까요?

  6. 홀홀 2010/01/27 11:55 PERM. MOD/DEL REPLY

    근데 지금 옴니아는 3사를 통합 한것 아닌가요?
    kt쪽만 봐서는 저리 안나올듯 한데

    mobizen 2010/01/27 11:58 PERM MOD/DEL

    당연한 말씀.. 쇼옴니아라고 말씀드린 적이 없답니다. ^^

  7. 돼지꿈 2010/01/27 12:51 PERM. MOD/DEL REPLY

    결국 또 변수는 보조금이 되겠군요. 도표를 보니 ..
    아이폰 덕을 옴니아가 본거 같은데요.?ㅋ

  8. reserve 2010/01/27 16:48 PERM. MOD/DEL REPLY

    OZ옴니아와 LGTelecom의 이후 방향이 궁금해지네요. OZ 관련 요금제로 기존 스마트폰 사용자들에게 사랑을 받았지만, 1) SPH-M4650/M4655 이후 오랜 기간의 스마트폰 라인업의 부재, 2) OZ옴니아 대기 수요가 마케팅과 가격 등의 이슈로아이폰과 T옴니아2로 옮겨간 점, 3) 예약 판매 후 가격 하락 사건(...)에 따른 단말기 유통/판매 이슈 등으로 생각만큼 많은 사용자들의 관심을 끌지는 못한 것 같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OZ옴니아 단말기를 어떻게 끌고 갈지, 그리고 이후 LGT의 방향은 어떻게 될지; 흥미진진합니다. ^^;

  9. 가스켓 2010/02/08 09:14 PERM. MOD/DEL REPLY

    자료 잘 보았습니다.
    앞으로의 전망을 단지 보조금에 의해 좌우 될 것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만,
    많은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은 되는군요.

    비교자료 中 단말간 비교에서 SPEC으로 보면 단연 모토로이가 앞서 있는데요.
    2010년을 좌우할 사양은 어떤 것이 있을지 매우 궁금합니다.

    혹시 시간되시면 그 부분을 다뤄 주시면 매우 감사하겠습니다...^^

  10. 비밀방문자 2010/03/23 20:54 PERM. MOD/DEL REPLY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11. 낭만고돌이 2010/03/26 01:02 PERM. MOD/DEL REPLY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ㅇㅂㅇ
    과제에 큰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다시한번 감사합니다@@

  12. kmw409 2010/04/01 12:23 PERM. MOD/DEL REPLY

    보고서에 쓰일 자료로 퍼갑니다.^^
    허락을 맞고 퍼가려고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일부 수정을 (간략하게 하기위해) 할 예정입니다.

    괜찮겠죠?

    그럼 이런 유용한 정보를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13. bbangnew 2010/04/07 15:36 PERM. MOD/DEL REPLY

    정말 유용한 정보 정말 감사드립니다.^^

  14. hmuyemd 2010/04/11 02:43 PERM. MOD/DEL REPLY

    과제 자료로 쓸라고 퍼갑니다 ^^ 유용한정보감사해요

  15. C.YY 2010/04/24 12:19 PERM. MOD/DEL REPLY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