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컨텐츠 이야기


국내 모바일앱 사용행태의 변화


얼마전, 2012년 하반기 '스마트폰이용실태조사' 보고서가 공개되었다.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반기에 한번씩 진행하는 해당 조사는 4천명 정도의 샘플링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절대 수치를 그대로 받아드리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하지만, 지난 보고서의 결과와 비교해가면서 본다면 시장 변화를 확인하는데는 좋은 참고가 될 수 있다. 보고서 내의 다양한 항목 중에 '모바일앱 사용행태의 변화'에 대해 먼저 정리해보고자 한다.



다운로드 빈도수는 높아져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바일앱에 대한 사용자 충성도는 여전히 증가추세이다. 2012년 하반기, 하루에 1번 이상 모바일앱을 다운로드 받는 빈도는 21.3%로 조사되었다. 2011년 상반기 19.3%, 2011년 하반기 16.3%, 2012년 상반기 19.8%와 비교하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모바일앱 시장이 규모면으로는 다소 정체이지만 신규앱의 다운로드에 대한 거부감이 낮아지고 업데이트 활동도 활발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무료앱이 차지하는 비중은 변화없어

사용자 삽입 이미지
1인당 주평균 다운로드 모바일앱의 개수는 2011년 상반기 6.0개, 2012년 상반기 7.8개, 2012년 하반기 13.1개로 큰폭으로 증가한 상태이다. 이 중에서 무료앱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1년 하반기 88.33%, 2012년 상반기 89.74%, 하반기 89.31%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모바일 컨텐츠 구매에 대한 인식은 높아지지만 무료앱에 대한 선호도가 높고 부분유료화 모델이 점차 발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주이용 개수는 큰 변화 없어

사용자 삽입 이미지

1인 평균 설치되어 있는 모바일앱의 개수는 2012년 상반기 42.3개에서 하반기 46.1개로 소폭 증가하였다. 반면에 주로 이용하는 모바일앱의 개수는 2012년 상반기 11.4개, 하반기 12.1개로 큰 변화가 없다. 다운로드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만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모바일앱은 이미 정해져 있다는 의미이다. 게임을 제외한 모바일앱 생태계의 고착화가 점차 심화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유틸리티에서 게임으로 변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카테고리별로 구분을 해보면 2011년 상반기에는 유틸리티와 지도의 사용 비율이 65.9%, 60.3%로 가장 높았다. 당시, 게임을 사용하는 비율은 51.3%에 불과했다. 2011년 하반기부터는 게임에 대한 충성도가 절대적으로 높아졌다. 2012년 하반기 기준으로 79.7%가 스마트폰으로 게임을 즐기고 있다. 게임을 제외한 다른 카테고리는 사용 비중이 전부 35%를 넘지못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유료 결제는 30대 남성

사용자 삽입 이미지

트래픽이 수익으로 바로 전이되지 못하는 모바일 시장에서 유료 결제를 이끌어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OS별 유료 결제 비율을 비교해보면 iOS 36.3%가 Android 26.0% 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예전에는 이런 현상 때문에 iOS 중심으로 수익 확보 방안을 모색하였다. 하지만, 현재 국내 시장은 Android 이용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iOS만을 고려할 수는 없게 되었다. 성별 비율로는 남자 36.7%가 여자 19.6%보다 높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연령대별 유료결제 비율에는 경제력이 있는 30대 34.8%가 가장 높았다. 이런 조사 결과덕분에 모바일 유료 결제를 유도할 때에는 30대 남성을 타겟으로 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오기도 한다. 다만, 이번 KTH의 조사에서 40대 31.9%가 20대 30.1% 보다 높게 나온 것은 다른 시장 조사의 결과와는 차이가 조금 있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2013/01/31 08:42 2013/01/31 08:42
top

 

남성은 깊고 여성은 넓게, 스마트폰 사용 비교


증가하는 여성 스마트폰 사용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예전에는 스마트폰은 30대 남성 위주의 얼리어댑터들의 전유뮬에 가까웠다. 최근 스마트폰의 대중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성별과 특정 연련층에 한정되지 않은 기기로 바뀌고 있다. Global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성별 추이는 2011년 1분기부터 여성 사용자가 오히려 많아지고 있다. 국내 SKT의 누적 가입자는 남성 52%로 여성 48%보다 약간 높지만 지난 7월에 발표된 '제 3차 스마트폰 이용실태조사'에서는 여성 신규 가입자가 더 높게 조사된 적이 있다.


남성은 Android, 여성은 RIM

사용자 삽입 이미지

iOS와 Symbian 스마트폰은 성별에 따른 선호도 차이없이 고르게 선호한다. 반면에 Android는 남성 61%, RIM은 여성 59%가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다소 영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국내에서도 컴팩트와 유사한 느낌의 외형과 긴 손톱때문에 QWERTY가 있는 BlackBerry 선호도가 여성들에게 높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북미에서도 비슷한 상황인것 같다. 남성들은 제품의 내구성이나 가격, AS 등과 같은 실리적인 이유로 단말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아 Android 이용 비율이 많은 듯 하다.


남성의 무선 인터넷 충성도가 높아

인터넷 사용이 실생활과 밀접하게 된 지금에도 남성의 인터넷 충성도는 여성보다 높다. 국내 인터넷 이용률의 경우 남성 84.4%, 여성 75.7%로 각각 조사되었다. 인터넷에 익숙한 30대까지는 성별 비교가 의미가 없겠지만 40대이상은 아무래도 직장 생활을 하는 남성의 이용률이 높을 수 밖에 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무선인터넷 이용률은 성별로 인한 차이가 더욱 심화된다. 남성 27.6%, 여성 18.5%로 남성의 무선인터넷 이용률이 여성보다 약 1.5배 정도 높다. 스마트폰과 전용요금제가 일반화되면서 전체 이용률은 점차 증가하겠지만 인터넷 이용률과 비슷한 이유로 남성의 무선 인터넷 이용률은 높은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루 평균 무선 인터넷 이용 시간도 남성이 50.3분, 여성이 46.2분으로 남성이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최근 1개월 이내 PC를 통해 인터넷을 이용하고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 1주일 이내 TV 시청 경험이 있는 3 Screen 이용자 중에서도 남성의 비율이 59.0%로 조사되었다.


여성의 사용용도는 더 폭넓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근 compete에서는 성별로 스마트폰으로 이용하는 서비스를 조사를 했는데 대부분의 기능에서 여성 사용자들의 이용률이 더 높게 조사되었다. 총 8개의 기능 중에서 동영상 스트리밍과 맛집 예약을 제외하고는 모두 여성의 이용률이 더 높다. 정리하자면 더 많은 남성이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해 더 많은 시간으로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고 여성은 다양한 기능을 더 폭넓게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Fun한 서비스는 여성이 절대적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부 서비스들은 여성 사용자들의 이용률이 절대적이다. '모바일 쇼핑'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일반 온라인 쇼핑은 여성 사용자의 비중이 67.75%이지만 모바일에서는 81%나 차지한다. 새로운 기기에 대한 적응력의 차이 때문에 초기 모바일 쇼핑 시장을 남성이 주도할 것이라는 예상이 빗나갔다. 그 밖에 뷰티, 패션, 사주 등과 같이 가볍고 Fun한 컨텐츠는 대부분 여성 사용자들의 이용률이 더 높다.


구매력과 광고친화력은 남성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서비스안에서의 구매력은 남성이 더 높다. 대표적으로 모바일 게임의 Freemium 상품 구매를 살펴보자. 모바일 게임의 이용 시간은 남성 53%, 여성 47%로 6%의 차이밖에 나지 않았다. 하지만, 구매 비율을 보면 남성이 58%로 여성보다 16%나 높다. 서비스의 이용률과 충성도에 비해 남성의 구매율이 훨씬 높은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광고 CTR도 남성 2.73%, 여성 1.65%로 남성이 약 1.65배 높게 조사되었다. 광고상품의 구성이나 캠페인을 집행할 때 참고할 만한 수치이다. 이와 같이 성별에 따른 이용 행태나 선호도 차이는 서비스를 구성하거나 BM을 만들 때 고려할 필요가 있다. 시장을 남성과 여성으로 이등분하여 의사 결정하는 것은 위험한 일반화일 수도 있다. 하지만, 성별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 것만은 분명한 사실이므로 적절하게 응용을 할 필요가 있다.
2011/12/06 08:32 2011/12/06 08:32
top

  1. 숲속얘기 2011/12/06 14:44 PERM. MOD/DEL REPLY

    CTR이 쇼핑영역에서도 남성이 높은건가요 ?

  2. Aden 2011/12/06 18:01 PERM. MOD/DEL REPLY

    항상 좋은 자료와 정보 잘보고 갑니다~

  3. bong. 2011/12/07 09:17 PERM. MOD/DEL REPLY

    좋은 자료 잘보고 갑니다^^

 

Device는 남성, Mobile Internet 사용은 여성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새로운 Device가 나오면 열광하며 구매를 서두르는 모습은 여성보다는 남성에게 볼 수 있다. 어느 나라에서나 UMPC, iPad, Tablet PC 등과 같이 아직 대중화되지 않은 Device의 사용은 남성의 비율이 높다. 보급율이 급증하고 있는 Smart Phone 역시 아직까지는 남성의 비율이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렇다면, Device를 많이 가지고 있는 남성들이 여성보다 Mobile Internet을 활발하게 사용을 하고 있을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Ruder Finn에서 분석한 내용을 재구성해보면 여성이 남성에 비해 모바일 인터넷을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화하기에는 조금 위험하지만 흥미로운 자료이다. 업무용도와 가격비교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항목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활발한 사용을 보이고 있다. 특히, Entertainment나 사회적인 Issue에 대한 의견 제시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북미를 중심으로 Mobile Internet 사용이 남성보다 활발하다는 내용은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특히, 지인들과 Communication을 좋아하고 의사개진에 적극적인 모습은 Mobile SNS에 그대로 적용된다. Nielsen 보고서에 의하면 여성의 Mobile SNS 사용 비율이 55%로 남성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도 Smart Phone의 사용비율은 남성이 높은 편이다. iPhone 가입자를 보면 남성의 비율이 64.6%로 여성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북미나 유럽시장과 비교하면 남성 비율이 조금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Mobile Internet에서의 국내 여성들의 활발한 사용도 아직은 볼 수 없는 상황이다. 대부분의 Traffic은 남성에게서 발생하고 있다. 알라딘에서 발표한 자료를 보면 Mobile Web의 접속 비율은 남성이 66%로 여성에 비해 2배 가량 많다. 하지만, 모바일 웹 초기에 24%에 불과했던 여성 사용자의 비율이 2010년 상반기에 34%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여성 Traffic의 증가를 Service 사업자들은 조금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UI 패턴, Contents 노출, 상품의 배치 등에서 여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뜻이다. 한가지 유의할 것은 위에서 소개를 했던 성별 서비스 사용 비율은 단순한 사용비율이기 때문에 어느 쪽이 Heavy 하게 사용하느냐와는 다르게 해석해야 한다.
2010/09/07 09:15 2010/09/07 09:15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