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컨텐츠 이야기


국내 모바일앱 산업의 문제점 #2


2. 다양성의 부재

건강한 생태계를 이루려면 다양성이 필요한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다양한 플레이어가 시장에서 경쟁을 해야 발전을 하고 사용자들에게 좀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해주기 때문이다. 그런데,  국내 모바일앱 생태계는 하나의 플레이어가 전체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모습을 보인다.

특정 산업이 성장기를 넘어서면 상위 그룹이 전체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기도 하다. 그런데, 국내에서는 상위 '그룹'이 아니라 상위 '업체'나 상위 '분야'의 영향력이 지나치게 크다. 1위와 2위의 격차가 너무 크거나 아예 2위로 언급할만한 업체가 없는 영역도 많다.



2.1. 안드로이드 편중

안드로이드가 스마트폰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것은 세계적인 현상이다. 국내 시장의 문제는 그 정도가 너무 심하다는 점이다. 국가별로 안드로이드가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보면 미국 56.0%, 일본 59.0% 인데 비해 한국은 93.4%에 이른다. 시장이 이렇게 형성되다보니 자연스럽게 국내 모바일앱은 안드로이드 중심으로 개발되어지고 있다. 아예 iOS용으로 출시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러한 현상은 국내 모바일앱 산업이 안드로이드 생태계 안으로 갇히는 결과를 만들어 내고 있다. 또한, 해외로 진출할 때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다. 2014년 1월, 오페라 미디어워크스의 자료에 의하면 모바일앱 수익 비중이 아이폰 40.03%, 안드로이드 30.07%, 아이패드 12.7%이다. 여전히 모바일앱의 수익면에서 iOS가 우월한데 대응하는 서비스는 부족한 셈이다. 실제로 해외대상의 조사에서는 안드로이드 우선 정책(27%)을 펴는 개발자보다 iOS를 우선으로 하는 비중이 35%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2. 모바일 게임만 편식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바일앱에 높은 충성도를 보여주고 있긴 하지만 내부를 자세히 살펴보면 소비하는 것에서도 심한 편식을 발견할 수 있다. '국내 앱스토어의 5가지 주요 특징'에서 언급한 것처럼 게임에 대한 의존도가 지나치게 강한 것이다. 해당 포스트에서 소개했던 Statista를 다시 살펴보면 모바일 컨텐츠의 지출 중 게임이 차지하는 비중이 5.27%로 절대적이다. 더게임스의 2014년 3월 기사에 따르면 T스토어의 전체 매출에서 게임이 차지하는 비중은 60% 이상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돈이 되다 보니 투자나 지원도 게임으로 집중된다. 본엔젤스벤처파트너스가 올해(2014년 3월 1일 기준) 투자한 5개의 업체 중 4곳이 게임 업체이다. NHN엔터테인먼트 2천억 원, 네오위즈게임즈 500억 원 등 모바일게임 업체에 투자 의사를 밝힌 상태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장기적으로 성장해야 하는 서비스 플랫폼이나 기술기반 스타트업들은 소외받고 있다.



2.3. 유통채널의 획일화

국내에서는 모바일앱이 유통되는 채널마저 특정 기업에 종속되어 있다. 모두 다 짐작하겠지만 '카톡게임'에 대한 이야기이다.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의 93%가 사용하는 카카오톡은 ‘게임하기’를 런칭한 후에 모바일 게임 시장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2014년 5월 플레이스토어 랭킹을 살펴보니 무료게임 상위 10위 중에 카톡게임이 차지하는 비중이 66%에 이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 기업이 전체 시장의 유통 헤게모니를 장악하면서 여러가지 문제점이 도출되고 있다. 근본적인 것은 카톡게임에 입점하지 못하면 아무리 좋은 컨텐츠라고 하더라도 사용자들이 접할 기회가 현실적으로 사라지게 되는 것이다. 입점 기준에 대한 공정성도 여러가지 논란을 만들어 내고 있고, 그만그만한 케주얼 게임만 살아남게 된 것도 어느 정도 책임이 있다. 디스패치는 2014년 2월 기사를 통해 '모바일게임의 유통이 획일화되면서 폐쇄된 환경에서 경쟁을 하게 되고 생명주기가 과도하게 짧아졌다'고 언급하였는데 개인적으로 무척 공감가는 지적이다.
2014/05/29 19:19 2014/05/29 19:19
top

 

컨텐츠를 품는 모바일 브라우저


그만그만한 모바일 브라우저

지금까지 브라우저는 사용자가 요청해주는 웹페이지를 빠르고 정확하게 보여주면 되는 제품이었다. 최근에 여러 환경이 바뀌면서 브라우저의 경쟁력도 예전과 달라졌다. WebKit이 천하통일을 하면서 속도에 대한 개선의 여지가 예전만큼 크지 않은 것이다. 이를 만회하기 위해 멀티디바이스 동기화와 클라우드 연동을 하고 있으나 경쟁력을 어필하기에는 다소 부족하다.

sb_1 
브라우저 사업자 입장에서 더욱 심각한 문제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만나는 접점에서 브라우저가 밀리고 있다는 점이다. 모바일앱 중심의 사용행태는 일시적이지 않고 오히려 점점 심화되고 있다. 브라우저가 앱에게 경쟁력을 잃는 이유는 주소를 입력하고 로그인 한 후에야 볼 수 있는 Pull 방식의 정보 소비가 모바일에서 매우 불편하기 때문이다.

최근, 관련 업계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시도를 시작하고 있다. 컨텐츠를 제휴로 확보하고 브라우저 내부에서 노출시켜 좁아지는 접점을 직접 넓히는 것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브라우저들의 컨텐츠 유통 전략에 대해 형태를 구분하고 관련한 사례를 공유해보고자 한다. 



Type #1. Push형 정보 콘텐츠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사용자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컨텐츠를 브라우저 내의 특정 영역을 통해 노출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서비스인 오페라 미니의 ‘내 뉴스’는 브라우저를 이용하는 행태를 분석해서 관심을 가질만한 컨텐츠를 추천해 준다. 기술적인 문제로 실제 브라우저의 사용행태가 컨텐츠 추천에 반영되는 것은 아니지만 ‘개인화’를 지향하고 있다.

sb_2
포탈과 같은 충성도가 없는 브라우저로서는 노출되는 컨텐츠로 지나치게 자극적이거나 검증되지 않은 UCC는 부담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Maxthon의 ‘NewBits’와 같이 뉴스 기사가 일반적으로 가장 많다. 다양한 카테고리의 정보를 ‘구독’ 개념을 통해 유통하는 오페라의 ‘Discovery(발견)’과 같은 사례도 있다. 


Type #2. SNS 연동

sb_3 

SNS 인기가 높아지면서 브라우저에서 이들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모습도 보이고 있다. 오페라 미니는 계정 정보를 입력하면 ‘소셜 네트워크’ 영역에서 페이스북과 트위터를 피딩(Feeding) 받을 수 있다. 돌핀 브라우저는 현재 보고 있는 웹페이지를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에 공유할 때 편리하도록 ‘빌트인 공유’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알람이나 예약 포스팅과 같은 몇가지 편의기능만 추가로 제공한다면 사용자들의 브라우저 진입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Type #3. 앱스토어

sb_4 

자체 앱스토어를 운영하는 공격적인 브라우저들도 있다. 플러그인이나 확장팩, 위젯을 유통시키는 브라우저 내부의 다운로드 플랫폼은 예전부터 있어 왔다. 하지만, 파이어폭스의 Market Place, 돌핀 브라우저의 App Box, 오페라 미니의 Mobile Store는 전형적인 앱스토어 형태를 갖추고 있다. 현재로서는 기존 앱스토어와 다를 바 없는 모습으로 사용자의 주목을 끌지 못하고 있다. 개인화가 적용된다거나 웹앱(Web App)등과 같이 브라우저가 잘할 수 있는 특화된 컨텐츠를 많이 확보한다면 발전의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전세 역전이 쉽지는 않아


이러한 브라우저의 노력들은 대부분 써드파티 제품을 중심으로 일어난다. 사용자들은 대부분 플랫폼의 기본 브라우저만 사용을 하기 때문에 그들과는 다른 사용자 가치와 기능으로 어필해야 하기 때문이다. 아쉽게도 이러한 시도는 고객 충성도를 높일 수는 있지만 새로운 사용자를 끌어드리기에는 다소 역부족이다. 사용자들이 브라우저에 기대하는 본질적인 모습과는 한발자욱 떨어진 부가기능이기 때문이다.


sb_5 

모바일 기기에서 컨텐츠를 유통의 헤게모니를 확보하기 위한 공급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러한 분위기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오히려 써드파티 사업자들을 시작으로 했던 시도가 기본 브라우저를 접근할 수 있는 통신사와 제조사들로 확대되면서 더욱 뜨거워질 것으로 보인다. 브라우저가 컨텐츠 유통 플랫폼으로 자리를 잡기 위해서는 밋밋한 뉴스 컨텐츠보다는 SNS와 밀접하게 연동되고 타임 킬링용 컨텐츠와 엔터테인먼트 정보를 나열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듯 하다.

2013/11/08 21:40 2013/11/08 21:40
top

 

영원한 킬러, 모바일 뮤직 #3


6. 유통 채널

온라인 음악시장의 가치사슬은 크게 콘텐츠 제작, 유통채널, 디바이스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즉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단계와, 미디어를 통해 유통하며 유선 혹은 무선 포털 곧 소비자접점(Point Of Contact)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이를 가능케 하는 과금체계, DRM 등 솔루션을 통한 관리단계, 고객이 접근할 수 있는 디바이스(PC, portable device, digital TV)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오프라인에서는 음반기획사를 중심으로 CD 혹은 Tape로 제작 및 유통이 이루어져 소비자에게 도달하게 되고, 온라인에서는 유무선 포털사이트로 음원이 유통되어 다양한 디바이스(PC/MP3P/MP3폰 등)를 통해 소비자에게 도달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온라인 유통망 즉 Point of Contact(POC)들이 등장했으며, 온라인 유통 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솔루션산업이 등장했다.

기존의 음반제작사 및 도매상에서 맡아오던 생산단계의 마지막 부분인 영업과 마케팅, 유통은 음원중개업자 및 CP 등과의 계약을 통해서 진행된다. 또한 오프라인 대형매장 및 소매상 등을 통해 판매되던 유형매체 대신에 무형매체가 음악포털, 인터넷 포털, 단말기 제조사 및 이동통신사의 포털을 통해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형태를 취한다.  다음 그림은 "2005 Digital2 Conference"에서 발표된 음악산업 사례 연구에서 발췌한 오프라인과 온라인 음악시장 유통채널을 비교한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온라인 음악의 발전은 전통적으로 음원의 유통에 참여하지 않았던 새로운 유형의 사업자들을 등장시켰다. 가장 눈에 띄이는 것이 음원중계 에이전트이다. 음원 중계 에이전트는 기획사에게 위임받은 각 음원들의 저작권을 관리, 판매하고 CP와의 접촉을 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MCP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요 근래에는 음반 기획사에서 직접 음원 중계를 하거나 몇개의 기획사에서 음원 중계 에이전트를 공동으로 설립하는 경우도 있어 다소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국내의 에이전트로는 만인에미디어, 아인스디지털, 아이스타, 아지트, 엠오엠미디어, 에이온미디어(스퀘어원), 위즈맥스, 튜브뮤직, 판당고코리아, 퍼스트엠, 엠피언, 에이오디오, CJ미디어 등이 있다.

이외에도 ·무선 네트워크 사업자를 비롯해서 포털 등 온라인 서비스 사이트를 운영하는 온라인서비스 제공업자, 소프트웨어, DRM기술, 온라인상의 과금시스템 등을 지원하는 각종 중개업체 및 솔루션 사업자, 콘텐츠를 수집하고, 디지털화하여 관리 및 호스팅 업무를 수행하는 콘텐츠 애그리게이터 등이 새롭게 음악 유통 채널에 등장하면서 점점 더 세분화되어가고 복잡해지는 양상을 띄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결과 중에 가장 큰 특징은 유통채널부문의 진입장벽이 낮아지고, 유통비용 역시 크게 감소하게 됨에 따라 다양한 사업자들이 적극적으로 진출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메이저음반사의 온라인 뮤직스토어, 독립 온라인 뮤직스토어(애플, 냅스터), ISP와 컨텐츠포털, 모바일 콘텐츠 제공자 등이 다양한 형태로 이 분야에 진출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양상의 가장 큰 결과는 이통사의 온라인 음악 시장의 직접 진출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러한 흐름의 선두주자는 SKT이다. SKT는 원음벨과 통화연결음의 음원계약을 음원권자와 직접 체결하고 이를 관리하는 MLB(Music License Bank)를 2004년부터 시행해 오고 있다. 음악 CP들이 음원중계 에이전트와 개별 계약으로 음원을 확보한 후 이를 이통사에 제공을 하던 유통의 흐름을 깨고 SKT가 직접 음원을 관리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SKT의 음악 CP들은 컨텐츠 제작을 하는 업무만을 수행하고 있다. 이외에도 이통3사가 멜론, 도시락, 뮤직온이라는 브랜드로 음악 포탈을 서비스 하고 있다. 이에 관한 국내 현황은 뒤에서 설명을 할 예정이다.



7. 각 업체의 업무와 수익배분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대부분의 컨텐츠가 그렇겠지만 위에서 설명했던 음악의 유통 채널의 다변화로 인해 업체간의 업무와 수익 배분의 흐름을 간단하게 정리할 수가 없다. 혹자는 정리하는게 의미가 없다고는 하지만 위의 그림은 지인의 도움을 받아서 간략화시켜서 정리해본 자료이다. 앞장의 설명으로 SKT에는 왜 MCP나 개별 CP가 없는지 설명이 될 듯 하여 상세한 설명을 하지는 않겠다.

계약의 경우 미디어에 따라 다른 비율을 적용하는 경우도 있고, 일괄 적용을 하는 경우도 있다.  미디어의 구분을 아래와 같이 구분 할 수 있다.

통화 연결음
원음 벨소리 서비스
AOD 서비스
VOD/MOD 서비스
노래방 서비스
음악편지
동영상배경화면
JAVA
WIPI
월정액 기반의 포탈 서비스
* 각 서비스에 따라서 월정액은 다른 정산 비율이 적용된다.

음반 기획사가 가장 모바일에 매력을 느끼는 부분은 바로 선구매 방식의 정산이다. 대부분의 계약이나 정산은 일정 비율을 적용하되, 일정 금액을 MG 형태로 선구매를 해준다. 벨소리의 수익배분 형태는 이미 "벨소리 다운로드의 수익배분 흐름" 포스팅에서 언급한 적이 있으니 또다른 자료로 참고하기를 바란다.

2008/02/13 11:34 2008/02/13 11:34
top

 

SD 카드내 모바일 컨텐츠 판매


외장형태를 띄우는 메모리에 컨텐츠를 넣어서 팔고 이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Play 한다는 형태의 시도는 여러차례 이루어졌던 적이 있다. 국내 모회사의 경우에도 Stick 형태의 메모리를 개발하고 그 안에 게임이나 벨소리(그 당시 mp3가 플레이 되는 폰이 없었음으로) 등을 넣고 폰 외장 슬롯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려는 시도도 있었다. 보안의 문제나 모바일 컨텐츠 특성에 기인한 유통의 한계때문에 소규모 업체가 하기에는 무리가 있어서 개발은 했으나 사업화가 되지는 못하였다. 물론, 이통사들의 견제가 있었던 것도 사실이고..

사용자 삽입 이미지
노키아가 비슷한 시도를 시작하였다. SD 내의 컨텐츠 판매는 Nokia가 이번해에 아주 중요하게 생각하는 형태의 Business 이며 Nokia의 최근의 컨텐츠에 대한 집념을 보면 예상 할 수 있듯이 단순한 시도라기 보다는 제대로 된 행보를 할려고 한다. 처음의 시도로는 동영상을 타겟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  Actimagine의 Mobiclip 압축 기술을 사용하며 Sony Pictures와 제휴 하였다.

2007년 8월 말에는 EMEA지역(유럽/중동/아프리카)만을 대상으으로 하여 Sony Pictures의 Ghost Rider를 포함한 1GB miniSD Card를 판매하기 시작하였다.
이는 N73과 N93i에서 Play 할 수 있다. 1GB 중에 동영상이 쓰고 있지 않은 영역을 자유롭게 사용하거나 PC로 복사 또는 삭제해서 전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7년 10월 1일에는 N95에서 Play될 수 있는 럭비팀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넣어서 판매한다. 압축한 동영상의 크기는 약 175MB로 2GB의 SD카드이므로 동영상 외에도 약 1.8GB의 남은 용량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두번째 단추치고는 컨텐츠 파워가 다소 약한게 사실이다. 검은 옷 입은 남자 럭비 선수들이 궁금해서 돈을 지불하는 이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들은 시작일 뿐이고 Sony Pictures와의 협의를 통해 다양한 영화등이 넣어져서 판매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이러한 시도는 기존의 Walled Garden 형태로만 이루어 졌던 모바일 컨텐츠의 유통을 파괴하기 위한 Vendor입장에서 할 수 있는 여러 수단 중에 하나 이다.아직은 게임이나 음악 서비스는 준비하고 있지 않지만 동영상을 통해서 시장성 여부를 판단한 후에 그 영역을 넓혀 갈 것으로 예상된다. N-Gage용의 게임 컨텐츠를 이통사 컨텐츠 Shop에서 다운 받는 것이 아니라 전자 매장에 가서 PSP나 NDS 타이틀을 사듯이 살 수 있는 때가 조만간 올 수도 있으리라.

국내의 Vendor와 Leader라고 불리우는 업체들은 이러한 형태 파괴를 위해서 Leader로서 나서는 적이 있는가 아니면 정해진 Rule안에서 제살 깍아먹기 경쟁이나 하고 있는가 자문해 보시라. 무선인터넷이 돈이 안된다고 덮어버리고 누군가가 나서서 시장을 키워주면 그때 들어갈 생각을 하는가.. 아니면 스스로 키울 의지가 있는 것인가?
Leader다운 모습을 보여주기를 다시 한번 다시 한번 부탁해본다.

2007/10/02 10:28 2007/10/02 10:28
top

  1. 푸른꿈 2007/10/02 12:35 PERM. MOD/DEL REPLY

    코원에서는 SD 카드에 '뽀로로' 비디오를 넣어 판매하고 있답니다.

    mobizen 2007/10/02 12:47 PERM MOD/DEL

    정보 감사합니다.

 

모바일 컨텐츠 유통방식 비교


모바일 콘텐츠의 유통은 크게 이동통신사 중심, 단말기 제조사 중심, 망개방을 이용한 외부 포탈 이용, 데이타케이블과 QPST를 이용한 불법 복제 등의 네 가지 형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동통신사 중심형은 이동통신사가 우위를 가지고 있는 한국과 일본의 이동통신 시장을 중심으로 가장 오래되고 전형적인 Walled Garden 형태의 컨텐츠 유통 방식이다. 망을 가지고 있으면서 그 안에 있는 포탈과 솔루션까지 모두 보유하고 있는 이동통신사의 위치를 아낌없이 발휘해 우리가 컨텐츠를 구입할 수 있는 대다수의 경로를 보유하고 있다. 모든 지배력의 오남용과 자회사 챙겨주기 등의 병폐때문에 무선 컨텐츠 시장이 성장하지 못하는 가장 큰 걸림돌이기도 하다.

제조사 중심형은 이미 유럽 이동통신 시장에서 보편화된 방식으로, 유럽에서는 Nokia 를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되어 있다. 이동통신사에게 대항할 수 있는 현실적으로 유일한 방식이지만 외국과는 달리 국내의 경우에는 통신사와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엮여있는 관계로 쉽사리 드라이브를 걸지 못하고 있다.

과거 삼성의 "anyweb"이나 LG의 "Club Cyon"등도 컨텐츠에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야심차게 준비는 했으나 이통사의 견제로 인해 anyweb은 현재 Anycallland로 바뀌었고 클럽 사이언도 소극적인 컨텐츠 유통만을 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의 그림은 "Infides"에서 나온 자료를 내가 약간 한국 현실에 맞게 수정을 해본 그림이다.
그림과 같이 이통사 중심과 단말 제조사 중심의 컨텐츠 유통은 각각의 이해관계와 CP의 주 이용 대상이 누구냐에 따라 달라진다. 원본 자료 이미지를 보면 솔루션 업체가 단말제조사를 향하고 있는데 국내에서는 이러한 경우는 거의(!!) 없다.
먼저 단말제조사 컨텐츠의 대부분을 차지 하는 RingTone, 배경이미지, Font 등과 같은 단방향 컨텐츠는 모조리 이통사에서 제공하는 솔루션을 사용하며 수익배분은 단말제조사와 직접하거나 컨텐츠 사업자와 분배를 한다.
위 기본 컨텐츠를 제외하고 interactive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플랫폼이 필요한데 단말 제조사에서 VM형태의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삼성 밖에 없다. 애니콜랜드에서 사용하는 MAP 플랫폼의 경우는 시작은 창대하였지만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조차 그다지 반응이 신통치 않다. 컨텐츠라는 것은 능력과 자본을 떠나서 마인드가 중요한거다.

망개방을 이용한 외부포탈에서의 컨텐츠 유통 방식은 상당히 주목할 만하다. 일본이 대표적으로 발달이 되어 있으며 예전 "한국 무선 포탈과 일본 무선 포탈의 구조 비교"라는 포스팅에서 언급한 적이 있다. 국내에서는 아직은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며 그나마 온세통신의 So1이 발버둥은 치고 있으나 솔루션, 망, ** 코드 등... 기존 서비스와 솔루션에 의존성이 높아 소위 나눠먹어야 하는 이들이 너무 많은게 흠이다. 위의 좌측 그림 중에 이동통신사안에 "망개방 서비스 업체"라는 것만 넣으면 맞는 그림이 된다. 진정한 망개방이 되기 위해서 해결해야 하는 위피컨텐츠 다운로드 시스템도 그렇고, 빌링 또한 그렇다. 일본과 같이 광고 수익모델이나나 프로모션 위주의 포탈들이 좀 늘어났으면 하는 바램이지만 요즘과 같은 시장상황이 좋지 않을 때에 중소업체들이 선뜻 나서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마지막 불법 복제....
이거 심각했었다. 그나마 심각성을 깨닫고 최근 밴더와 이통사에서 QPST를 막아 놓아서 요즘은 흔하지는 않지만 예전에는 고등학생들을 중심으로 많이 사용되었던 방법이다. 그 수가 실제 시장의 2-3배 정도 된다는 추산을 했었는데 결국은 Needs는 있었으되 Pay를 할만큼의 Value를 못 주었다는 이야기이다.
2000원짜리 컨텐츠 가격이 비싸서? 절대 아니다. 이통사가 목매달고 있는 패킷요금이 문제이다.
2007/03/26 17:53 2007/03/26 17:53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