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3G와 Wibro의 만남
SKT에 비해서 Wibro에 상대적으로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 KT는 음성미지원과 커버리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3G망과의 결합을 시도하고 있다.
KT Wibro의 3G 결합 서비스로는 '3G+와이브로'와 '3G×와이브로'가 있다.
'3G+와이브로'는 음성을 지원하지 않고 있는 Wibro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음성은 KT의 기존 3G망을 사용하고, 데이터 통신은 Wibro망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KT는 새롭게 제시한 결합 서비스를 통해서 컨버전스 환경을 구축하는 시발점이 되는 것을 바라고 있다.
이와 별도로, 지난 6월 1일 통합 KT 출범식에 맞추어 3G와 Wibro간의 핸드오버 기술을 성공적으로 시연을 했다. 이러한 Wibro 핸드오버는 그동안 부족하였던 커버리지를 극복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으로
Wibro를 사용하다가 신호가 약한 곳에서는 3G로 자동으로 연결되는 기술이다. KT는 이번 서비스를 '3G×와이브로'로 명명하고, '3G+와이브로'와 차별화를 부각시켰다.
KT는 이들을 위해 신규 요금제와 전용단말을 출시할 계획도 가지고 있다. 하지만 Wibro의 커버리지가 무척 적다는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는 '3G+와이브로'와 3G에서 Wibro로 자동으로 핸드오버는 되지 않는 '3G×와이브로'가 Wibro를 살릴 수 있으리라고 생각하는 전문가는 그다지 많지 않다.
5. 방통위와 이통사의 엇박자
방송통신위원회는 08년 12월 회의를 통해서
Wibro에 이동전화 통합 번호인 010을 부여하고, 음성통화가 되도록하는 안을 심의 확정하였다. 방통위의 이번 음성통화 지원 정책에는 Wibro 활성화를 위한 '최후의 보루'를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방통위는 Wibro 주파수 재할당기간(2012년)까지 음성통화를 위한 별도의 대가를 부과하지 않기로 하였다.
그리고, KT와 SKT는 방통위의 이러한 제안을 보기좋게 거절하였다. 이석채 KT 회장은 지난 7월 1일,
전자신문과의 인터뷰를 통해 "하반기 출시 예정인 와이브로폰은 3G 이동통신망을 이용해 음성통화를 하고 와이브로는 데이터 서비스 용도으로 활용한다. 당분간
와이브로로 음성 서비스를 할 계획이 없다. 전국에 망을 구축해서 끊김 없이 음성통화를 하기 위해 엄청난 추가 투자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러한 KT의 입장을 해석해 보면 Wibro 음성지원은 물론, 전국망 구축 또한 의지가 없는 것으로 풀이된다.
SKT 역시
4월에 있었던 기자 간담회에서 SKT 정만원 대표가 '
와이브로 음성탑재에 관심이 없다.'는 의사를 명확히 밝혔다. 음성통화를 통해 Wibro 대중화를 노렸던 방통위의 전략이 이통사와 사전 조율없이 일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6. 4G 표준의 승자는?
통신 관련 국제표준을 제정하는 ITU-R(국제전기통신연합 전파통신부문)은 09년 10월, 4G 최종 후보를 받는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LTE 기술을 뿌리에 둔 LTE-Advanced와 Mobile WiMAX 기술을 뿌리에 둔 WiMAX Evolution이 가장 유력한 후보이다. LTE와 WiMAX의 비교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보고서에서 다루고 있지만, 애널리스트의 지역이나 칩셋이나 네트워크 장비 사업자의 이해 관계에 따라 상이함으로 보고서들의 내용을 신뢰하기 힘들다.
실제 2G에서 GSM와 CDMA의 관계가 그러했듯이 최종 승자가 혼자 살아남기보다는 서로 공존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어느 쪽이 더 큰 시장을 차지할 것인지는 예측이 다소 필요하다.
4G의 미래에 대한 예측의 요소로는 성능, 호환성, 사업자 등을 들 수 있다.
먼저 성능을 비교한 것 중에서 09년 1월에 CED Magazine에 실린 아래 표를 참고하면 이해가 될 듯 하다. Mobile Speed는 양쪽이 비슷하지만, Download Speed에서 엄청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Upload Speed도 근소한 차이로 LTE쪽이 월등하다. 같은 값이면 WiMAX를 선택할 이유가 없을 정도이다.
또한, 기존 장비 호환성적인 측면에서 GSM에서 발전된 LTE와 CDMA 기반인 WiMAX 또한 현재 시장점유율 역시 중요한 요소이다. 이미 알고 있다시피 국내가 앞서 있는 CDMA는 전세계의 11.6% 밖에 차지하지 않는다. 유럽을 중심으로 한 GSM 시장이 86%를 차지하니, 장비투자면에서 LTE가 유리할 수 밖에 없다.
네트워크 기술을 채택하는 이통사들의 수 또한 중요한데,
LTE를 선택한 통신사는 AT&T, T-Mobile, Verizon 등 20여 개나 되고 있다. CDMA 기술의 텃밭이었던 미국,일본,중국의 유력 통신사 대부분이 LTE를 선택한 것 또한 WiMAX의 전망을 어둡게 하는 요소이다. WiMAX를 선택한 사업자들은 Sprint, Imagine, Google, Intel, Comcast 정도이다.
7. 국내 Wibro 사업의 미래는
09년 7월 3일, Wibro 사업의 큰 축을 담당했던 포스데이타는 이사회를 통해서
Wibro 사업을 중단하고, 미국 사무소도 폐지하기로 결정하였다. 사업 중단은 해외 모바일 와이맥스 시장 활성화 지연 및 글로벌 경쟁 역량 부족에 따른 수익성 악화라고 밝혔다. 지난해 매출액 3776억원 중 와이브로 관련 사업 매출은 0.6% 수준인 23억원이다.
2G 시대에 CDMA를 선택하여 기술력에서는 앞서갔었지만 GSM에 밀려 세계 시장의 벽을 넘지 못했던 국내 통신기술은 Wibro 에도 똑같은 상황이 재현되고 있다. 방통위와 이통사는 서로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고, 장비와 단말에 투자를 했던 업체는 발을 빼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통신기술을 단순히 Network Infra로만 생각하기 때문이다.
네트워크에 올라갈 플랫폼과 서비스, 컨텐츠들이 해당 Infra와 궁합이 맞고, Killer가 되는지를 함께 고민해야 하는데, 현재 Wibro 사업에는 그 부분이 완전히 배재되어 있다. 이통사들의 태도 역시, 과거 무선 Walled Garden의 사업 행태를 Wibro로 그대로 옮겨가려는 폐쇄성을 가지고 있다. 지금은 많이 바뀌어 있지만 최초 Wibro 사업을 시작했을 때에 전용단말에서는 무선 포탈내에 사용자를 묶어두려는 시도를 했었다.
Wibro 사업은 이래저래 총체적인 문제이고, 현재는 답이 없는게 현실이다. Egg는 아이디어일 뿐, 원론적인 해답은 아니니깐...
Comments List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주는 통계인 것 같습니다.
차이나 모바일은 중국내에서 거의 독점적인 지위를 누리고 있으니 당연한 결과로 보이고,
앞으로도 당분간은 가입자 수에서만큼은 경쟁자가 없어 보이네요
개인적으로 보다폰이 국내에 진출해줬으면 하지만, 마땅히 인수할만한 업체가 보이지 않는군요
언제나 잘 보고 갑니다^^
언제나 좋은 포스팅을 해주시는 cubix님~ 리플 감사합니다. 차이나 모바일의 무서움은 지금은 양이지만, 언젠가는 서비스의 질도 무시못할 수준까지 올라올 듯 합니다. ^^
질 높은 사업이라고 볼수도 있겠지만 저건 상식을 벗어난 폭리를 취하고 있다고도 말할 수 있겠네요
ㅎㅎ 관점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니깐요, 말씀하시는 면도 분명히 존재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쿠키폰 쓰는데 개인적인 만족도가 높아요~ 중간에 잃어버렸는데 누가가져가서 벌써 2번째 쿠키폰이라져. ㅋ
좋은 자료 감사히 보았습니다.
모바일 계통에서 일하시는 분인가보네요.
ㅎㅎ 제 트위터를 보시고 오셨나 보네요. 네~ 모바일 업계에서 근무하는 모바일쟁입니다. 리플 감사합니다.
역시나 차이나모바일.. 짱깨의 엄청난 인력군은 무시할 수 없군요..
국내 이통업체의 규모대비 효율성은 이미 증명된 바 되었지만 마켓이 글로벌이 아닌 로컬이라는 것이 아쉬울 뿐입니다.
또한 로컬에 한정지어서 효율성이 증명되었다는 것도 무시할 수 없을 듯 합니다.. -.-;
맞습니다. 사실 그만큼 투자나 Risk를 안고가는 새로운 도전에 소극적이라는 뜻도 되죠. 지금은 조금 다르지만 얼마전까지 국내 이통사의 입장에서는 당연한 Action 이었다고 생각도 드네요.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이점을 고려한다고 해도 국내 이통사들이 해외 이통사들에 비해 질높은 사업을 운영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어떤 면에서 질 높은 사업을 펼친다는 것인지 모르겠는데요.
직원 1인당 이익률이 높은 것이 질 높은 사업이라는 말씀이신가요?
보통 질 높은 사업이라고 말할 때는 그 회사의 수익률이 아닌 서비스 평가로 해야 하는거 아닌가요.
저는 좀 다르게 생각합니다.
가디님의 말씀하시는 서비스라는게 고객 서비스인지, SW 서비스인지는 잘 모르겠네요. 거시적으로야 모두 고객 서비스에 포함은 되겠지만. 그럴 포괄적인 단어의 접근은 다소 위험할 듯 하구요.
SW 서비스라면 사실 국내 이통사.. 못하는게 맞습니다. 하지만 해외 이통사들과 비교해보면 몇몇 앞서가는 회사를 제외하고 상대적으로 뒤진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이통사들은 어디서나 동네북이죠...
또한 이통사 입장에서 무조건 서비스 한답시고 나서는 것도 제 개인적으로는 별로 안 좋아합니다. 이통사 입장에서는 서비스를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Data Pipe나 그냥 Service Enabler로의 역할만 잘 하면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절대적인 평가로야 국내 이통사들은 어떻게던 욕 먹죠. 해외 이통사들 중 AT&T, O2, Vodafone 등과 같은 몇몇 선도적인 기업 말고 어느 기업이 그렇게 서비스를 잘하던가요? 전 개인적으로 요즘 NTT도 헤매는 것 같던데.. 솔직히..AT&T도 3S 전략이 어쩌고 저쩌고 전략을 그럴듯 하지만 아이폰 연관된 서비스 외에 잘한다고 느껴지지 않던데요~
제 말의 의도는 1인당 매출액을 보여주시면서 그것이 전반적인 국내 기업들의 질적인 우위를 보여준다는 말이 이해가 안된다는 뜻이었습니다. 즉, '1인당 매출액 -> 기업의 질적 우위'라는 연역 과정이 이해가 안된다는 이야기고요.
간단히 말해서 국내 이통사가 어떤 점에서 질 높은 사업을 하고 있는지 모르겠다는 말이었습니다.
그렇군요. 문맥상 그다지 이해하기 어려운 구절은 아닌 것 같고 공감을 못하시는 것 같군요.
저는 '기업의 질적 우위'라고 표현한 적이 없습니다. 1인당 매출이 '질적 우위'에 있다고 했죠. 본문을 다시 보시죠.
제가 문맥을 잘못 이해한거 같네요.
"이점을 고려한다고 해도 국내 이통사들이 해외 이통사들에 비해 질높은 사업을 운영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저는 위에 문장을 보고 말씀하시던 '질적 우위'가 '기업의 질적 우위'라고 생각어요.
1인당 매출액 자체가 그 기업의 모든 효율성을 설명해 주기는 어려울 듯합니다. 기업의 효율성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다양하니 말입니다. 따라서 1인당 매출액을 기업의 효율성 지표 자체로 평가하기보다는, 해당 기업 효율성의 한 부분을 이루는 '기업 내 노동력 사용효율성' 정도로 평가하는 것이 더 합리적인 해석이 아닐까 합니다.
회사입장에서서는 인당 매출이 높은걸 환영하는 바이겠지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그냥 폭리를 취한다고 밖에 안보여지내요,
ㅎㅎ 그런 해석도 가능하지요~
마지막 그래프는 왠지 우리나라 근로자가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ㅋ
뭐.. 그래도 확실히 효율이 압도적으로 높네요.
우리 나라 개발자들이 고생을 하기는 하죠. 같은 그래프를 보면서 그런 면도 보시는 세어필님의 시각이 참 좋다는 생각이 드네요~
한국/외국기업의 1인당 매출액 차이가 지나친 것으로 보아, 사업 효율성이 좋다기 보단, 무언가 비정상적인 요인이 따로 있을 듯 합니다. 이를테면, 콜센터 및 각종 자회사의 존재 등.. 좋은 자료 잘 봤습니다.
네. 분명히 제가 계산을 여러번 체크 했기 때문에 문제는 없으나 조건식에 허점이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
정말 깔끔한 자료로 군더더기 없는게 참 좋네요.
그리구 뜨거운 Issue~~
머 재무재표상으로 인건비만 포함되는 건 아니지만
저런 비유... 전 참 재미있게 봤습니다.
200만 달러 ~
이정돈 해주는 센스 ㅎㅎ
저 정도 벌어주는 기업이 많지 않죠~ ㅎㅎ
DoCoMo와 SKT는 평균 연봉 차이가 별로 나지 않았던 걸로 기억하는데 수치대로라면 SKT 직원들이 착취당하거나 DoCoMo 직원들이 지나치게 많이 받아가는거겠네요 ㅎㅎ 암튼 Fortune 자료에서 1인당 매출액 구성을 좀 따져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국내 이통사들의 인력과 조직이 저토록 효율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지에 대해선 좀 회의적이네요. mobizen님 글 잘 보고 있어요, 고맙습니다.
아주나비님. 오래만이시네요. 역시 자극적인 그래프라 리플이 많이 달리네요..의도한 바는 아니지만 말이죠.
수치 계산은 오류가 없을 겁니다. 제가 몇번 확인을 한거라서.. 조건식에 문제는 있을 듯 합니다. 국내 이통사들의 종업원수가 상대적으로 노무 적더라구요.
1인당 생산성은 기업의 질적 평가에 대한 중요한 평가가 맞습니다.
본문중에.. 비정규직 직원이야기가 나왔지만. .실제. 국내의 3개 이동통신사의 비정규직업무는 한정된 업무를 하고 생각보다 그리 많지 않은 인력이지요..
전체적으로 상대적인 비교를 자세히 설명해주셔서 쉽게 이해가 가는 자료네요..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제가 본문에 비정규직은 언급한 것은 상대적으로 너무 작은 종업원수를 가진 국내 이통사들의 수치에 대한 짐작입니다. 해외 이통사들은 사무직이나 개발자 이외에, 네트워크 장비나 대리점 판매 사원등도 다 Count가 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어요.
국내 이통사들도 직영 대리점도 상당하고..그 안에 있는 매니저들이야 정사원이겠지만, 대부분 계약직이잖아요. 네트워크 선로 하시는 분도 계시고..
그리고, AT&T와 같은 경우에는 사실 무선만 카운트된 것은 아니라서 분명 통계적인 허점은 있습니다. 하지만, 비교적(!) 정확한 데이터를 뽑아 보더라도 격차는 줄어들어도 국내 이통사들의 '1인당 생산성'이 월등한 것은 사실일 겁니다.
<<이통사 주관식 수능문제>>
1. 세계에서 거의 꼴찌..의 한국의 이통사가 세계에서 1인당 생산성이 최고 ? 이유는
2. 세계에서 가장 로컬적인 한국의 이통사가 세계에서 수익률이 최고 ? 이유는
<<정답>>
1. 폐쇄적 독과점으로 인한 소비자/고객 지향 상품개발/서비스 아닌 고객 덤태기 쓰우는 전략
2. 폐쇄적 독과점 으로 인한 소비자/고객의 선택의 여지가 없는 폐쇄적 망구조로 울며 겨자먹기
정답은 전부 공감~ 문제는 절반만 공감..
1인당 매출액은 어떠한 근거로 작성한걸까요? AT&T에는 무선외에도 무진장 많은 사업부서가 있습니다. 기타 회사들도 마찬가지이고요. 무선분야에만 근무하는 인원을 정확하게 IR에 기재하는 회사는 없는것 같습니다. 1인당 매출액의 근거는 좀 미약한것 같습니다.
맞습니다. 정교한 데이터는 아닙니다. 지적해 주신 사항은 본문은 아니지만 위의 댓긇에서 이미 제가 언급했던 내용이구요..
SKT만해도 11번가나 토시등 무선과 다른 사업부문이 있으니 그러한 종업원 수도 빼야하고, 매출도 빼야죠. 의미없는 비교라고 볼 수도 있겠네요. ㅎㅎ
주제가 이통사수익구조인 만큼, AT&T의 wireless 부분의 revenu인 49,335(백만$)만 사용한게 타당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124,028(백만$)은 무선, 유선, Yellowpage 매출액까지 합산된 AT&T 그룹 전체의 매출로 알고 있습니다. (Soure : '08 AT&T annual report)
네. 맞는 말씀입니다. 정확한 데이타 산출이 되려면 말씀처럼 무선 매출을 기준으로 무선 인력을 나눠줘야 하겠죠. 문제는 무선만 전담하는 인력이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없으니깐요. 사실, 그런 구분이 모호한 시대에서 그런 구분이 가능할련지 조차도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