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실 컨텐츠 개발자로서는 스마트폰의 활성화라는 것은 "계륵"과 같은 존재이다.

큰 LCD화면과 쉬운 UI, PC환경과 유사한(??!!) 플랫폼이라는 점에서 여러가지 시도를 해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기존의 서비스를 컨버팅해야 하는 엄청난 이슈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항상 한발자욱 떨어져서 주시를 할 수 밖에 없다.

특히 국내에서의 이통사들의 극도의 폐쇄적인 정책으로 스마트폰의 활성화는 당장은 힘들어 보인다. 하지만 이통사들도 새로운 탈출구 찾기도 이제는 좀 지친듯 하여 기존의 것들을 다시 한번 리뷰를 해보는 듯하고, Web 2.0 이라는 거센 바람과 풀브라우저 등의 새로운 단어들이 들이받는 것이 만만치는 않아서 올해는 그나마 초기 시장 자리매김 정도는 할 것 같긴 하다.

우리나라와는 조금 다르게 세계 시장에서는 E-mail과 IMS 등의 서비스 등이 일반화되는 통에 스마트폰의 수요는 꾸준히 증가를 하고 있다. 시장에 난무하고 있는 스마트폰 관련 수치를 짬뽕해서 설명을 간략히 하자면 2006년도 전체 휴대폰 시장 전체 출하량의 15%인 1억 2300만대 정도를 스마트폰이 차지 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전년대비 75.5%증가한 것이다. 음성 통신 기능이 빠진 순수 PDA시장은 성장률 5.7%로 시장이 점점 위축이 되는 반면 현재 스마트폰 시장은 PDA 시장의 4배 규모라고 추정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북미 지역은 2006년 상반기 세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이 6.3%에 불과하지만 전년대비 104%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Gartner 자료에 따르면 일본은 2006년 상반기 성장율 153%, 출하량 1,160만대로 유럽과 EMEA 지역을 제치고 가장 큰 시장으로 성장하였고, EMEA 지역의 세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2005년 상반기 42%에서 2006년 상반기 30%로 감소하였다.

미국의 경우는 2005년과 2010년 사이 스마트폰 시장이 약 689만대에서 3,414만대로 확대되며 연평균 성장률(CAGR) 47.6%로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가장 높은 성장 률을 나타낼 것으로 기대되는 성장 시장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M:Metrics의 2006년 7월 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스마트폰 보급률은 2.0%로, 영국(6.6%)과 독일(5.8%) 등 서유럽 국가에 비해서는 낮은 편이다. 미국의 경우 유럽에비해 뉴스/정보 조회, 이메일 이용률이 높아 기업 고객들의 스마트폰 이용률이 상대 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스마트폰의 시장 형성은 거의 기업 고객에 쏠려 있다고 봐도 된다. 휴대폰 시장의 Main Market인 10대에게서 스마트폰이 가지는 메리트가 낮다보니 어쩔 수 없는 듯 하다. 아무래도 가격이 차지하는 비중이 클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이도 서서히 일반 고객으로부터의 Needs가 서서히 생기고 있다. 스마트폰의 결합 상품들이 많이 생기면서(네비게이션 장착 등) 시장의 벽을 많이 허물고 있으며 이러한 결합 상품은 가격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스마트폰이 개인 고객으로 빨리 옮겨오기 위해서는 업무용 이외의 엔터테인먼트 기능이 향상이 되어야 한다. 실제로 제조사를 중심으로 스마트폰은 음악, 사진 촬영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 추가, 세련된 디자인 추구 등 휴대전화 개발 추세와 비슷한 양상으로 발전하고 있다. 투박하고 고가인 기업 고객 전용 제품으로 인식되던 스마트폰이 슬림화, 컬러감 부여 등으로 디자인에 변화를 주면서 휴대전화와 비슷한 외관으로 변하는 추세이다.

게다가 구글, 애플, 스카이프 등의 굴직한 기업들이 무선 활성화를 하기 위해서는 결국은 Normal 폰 보다는 스마트폰을 공략할 수 밖에 없으리라. 우리나라에서 스마트폰이 지지부진한 이유 중에 하나가..
결국 페쇄적인 사업 구조로 인해 이러한 기업들이 진출할 기회를 주지 않는 것이리라.

우리나라가 아무리 폐쇄적이기는 하나 언젠가는 스마트폰이 시장의 큰 파이를 차지할 때가 올 것이다. 이를 위해서 당장 나선다면 말리고 싶지만 장기적인 투자와 솔루션 등의 선점은 필요할 것이며...
시선을 국내에만 두지 말고 밖으로 가끔을 돌려 보는 것도 어두운 모바일 업계를 버틸 수 있는 하나의 희망이리라.
2007/01/22 12:03 2007/01/22 12:03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얼굴인식, 음성인식, OCR, TTS 등의 기술등은 사업기획하는 사람치고 접해보거나 생각해보지 않는 사람들도 드물 것이다.  대부분 아직은 연구실에서만 머무는 이러한 원천 기술등은 우리나라는 상당히 취약한 편이다.
투자를 할만한 분위기가 조성이 안되서가 아닐까?
이러한 원천 기술등은 현재 대부분 90-95% 가까운 정확도를 지니고 있다.
연구실안과 논문에서야 이러한 수치가 굉장히 놀라울 수 있지만 이러한것을 BM으로 만들기 위해서 붙혀진 서비스라는 측면에서 보면 90-95%라는 수치보다 5-10% 가까운 오류의 확률이 더 걱정이 되게 된다.
상용 서비스에서 5-10%의 오차 범위는 상당히 큰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요 근래 진대제 펀드로부터 기술을 인정받아 투자를 받은 올라웍스도 이러한 기술이 주가 되는 기업이다.
엔지니어로서 원천 기술이 주가 되는 S/W 기업이 투자유치에 성공한 일은 굉장히 축하해야 할 일이다.
(요근래 올라웍스 딴지 걸었다가는 매국노 되는 분위기라 약간 좀 조심스럽다.)
사장님의 마인드도 좋고, 회사 자체도 젊고 활발하면서 좋은 듯 하다.

걱정이 되는 것은 항상 기대치와 그에 따른 실제적인 구현 기술의 Gap 이다.
(원천 기술에서야 내 기술력은 따질만한 입장은 안되고 모바일이라니 한번 까불어보는거다.)

인식률을 높이기 위한 안면인식 기술은 두눈과 코의 위치를 수동으로 설정을 해서 인식을 하는게 일반적이지만 올라웍스처럼 서비스에 적용하기에는 패턴인식을 해야 할거다..
패턴인식은 인식률이 떨어질 뿐더러 모바일폰으로 찍은 영상의 화질이야 말 안해도 다 아는 수준이다.


초반에도 언급했지만 이러한 기술을 이용한 서비스는 대부분의 기획자라면 생각이 해본 적이 있을 거다. 기술도 사실 다양하게 이미 존재한다. 옆의 자료는 2003년도에 서비스 기획을 하던 중에 국내에 이러한 업체가 있어서 홈페이지를 캡쳐 해 놓았던 자료이다. 기술 기반은 지금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알 수가 있다.

내가 홈페이지를 캡쳐를 해 놓은 이유는?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원천 기술을 가지고 서비스에 접목하기에는 회사가 그리 오래 가지 않을거라 생각했기 때문이고, 올라웍스 덕분에 생각이 나서 검색을 해보니 회사 홈페이지는 찾을 수가 없었다.(행여나 아직 남아 있는데 내가 찾지 못한 것이라면 정말 다행이라 생각한다)

다행인 것은 올라웍스의 Front 서비스는 얼굴 인식 자체보다는 이를 응용한 지인네트워킹 서비스인 듯 한데...
또한 웹과의 연동 서비스나... 타겟을 국내보다는 해외로 잡은 것...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는 높은 점수를 주고 싶다. 사업 기획 마인드에 대해서는 정말 박수다~~
그래서 더더욱 원천 기술 부분이 염려스러운건데...


올라웍스의 기술이 투자를 받은것과 그의 아이디어, BM 등에 대해서 뭐라고 하고 싶은 마음은 추호도 없다.
다만... 그들의 청사진들과 현실의 괴리감에 대해서 별로 알지도 못하는 전산쟁이로서 걱정이 될 뿐이다.

내가 모바일 웹 2.0, 모바일 풀브라우저 등의 과장되게 포장되어 있는 자료들을 싫어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2007/01/19 17:55 2007/01/19 17:55
ksksks

동감합니다.
저는 부정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투자를 받아내는 기술은 높이 평가하고 있습니다.
사실 얼굴 인식 기술 하나만 집중하여도 그 응용분야는 가공할만하지요...
하지만 그 하나라도 집중 하는 회사가 아니어서 더욱더 부정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