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이미 사용 비중으로는 데이터(49%)가 음성통화(37%)를 넘어서고 있다. Feature Phone을 포함한 전체 미국 이동통신사의 ARPU를 보아도 Voice ARPU는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고, Data ARPU는 계속 상승 중이다. Chetan Sharma Consulting 보고서는 미국의 경우 2013년 2분기가 되면 역전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는 미국만의 현상은 아니다. OVUM 보고서에 의하면 2010년 전세계 음성수익은  6,634억달러, 데이터수익은 2,435억달러에서 2015년에는 각각 6,079억달러, 3,929억달러로 간격이 좁아질 것으로 보인다. 음성 수익은 서서히 감소하고 있으며 데이터 수익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것이다. 조금 다르게 해석한다면 이동통신사의 수익은 당분간 계속 좋아진다는 뜻이기도 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근들어 활기를 띄고 있는 국내 모바일 시장도 비슷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2010년 음성수익은 149억달러, 데이터수익은 44억달러에서 2015년에는 각각 128억달러, 74억달러로 예상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통사의 데이터 수익이 증가하는 첫번째 원인은 스마트폰 확산으로 인해 무선 데이터 트래픽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2010년 7월, 이통사들의 전년대비 트래픽은 KT 344.1%, SKT 232.4%, LG U+ 114.3%나 각각 증가하였다.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평균 월별 데이터 사용량은 아이폰 299MB, 갤럭시S 241MB, 모토로이 155MB, T옴니아 266MB 등이다.

두번째로는 무선 요금제 가입자들이 많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고가 단말을 구매할 때 보조금을 받기 위해서는 무선 요금제 가입을 해야하는데다가, 이통사들이 앞다투어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내놓으면서 이러한 현상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SKT의 경우 최근 신규 고객의 70% 정도가 무제한 요금제를 가입하고 있다.

한가지 아쉬운 것은 이통사들의 수익이 좋아지는데에 반해 그동안 그들과 함께했던 CP들의 상황은 계속 나빠지고 있는 것이다. WIPI시장이 무너지면서 '정보이용료'의 매출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고, 성공했다는 자평속의 앱스토어는 이통사들이 구매하여 풀어놓은 무료앱들만 볼 수 있을 뿐이다. 시장이 커지는 만큼 모두가 공생할 수 있는 에코시스템 구축을 바라는 것은 너무 욕심일까?
2010/10/13 08:35 2010/10/13 08:35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동일한 Device나 네트워크 환경이더라도 서비스 이용행태는 지역색(Local Color)의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서비스는 문화와 사회 현상을 반영하기 때문이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스마트폰 산업에서 성공적인 서비스 개발을 위해서는 이러한 지역색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Initiative에서 ‘Unlocking the power of Mobile’ 보고서를 통해 한국, 미국, 영국 등의 스마트폰 사용행태를 비교하였는데, 국내 모바일 사용행태를 타국가와 비교하여 이해하는데 좋은 자료가 되기에 몇가지 내용을 공유해보고자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때는 '무선인터넷 강국'로 거론되었던 한국은 이미 휴대폰보급율 100%를 넘어섰지만, 무선 인터넷을 매일 사용하는 사용자 비율은 56%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미국 78%, 영국 73%에 비하면 처참한 수준이며, 조사 대상인 8개국 중 인도를 제외하면 가장 낮은 수치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Global 기준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사용 행태를 분석해보면 데이터(49%)가 음성(37%) 사용 빈도를 크게 넘어섰다. 국내 사용자들도 데이터 비중이 음성보다 크기는 하지만 45%로 Global 평균에 비해 음성 의존도가 여전히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가지 눈여겨볼 사항은 모바일게임 이용 비중이 9%로 Global 기준 8%에 비해 높다는 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Global 기준으로 스마트폰을 통해 하는 주요 활동을 보면 인스턴트 메신저, 여행 서비스, SNS 등의 이용이 높게 나왔다. 이에 반해, 국내 사용자들은 LBS, 모바일지도, 지역 서비스 등과 같은 위치를 이용한 서비스에 대한 이용이 활발하였다. AR, VoIP, 모바일 뱅킹에 대한 이용률이 높은 것 또한 특징적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편, '모바일웹 중심의 국내 스마트폰 이용행태'에서 소개한 바와 같이 국내 모바일 사용자들은 Mobile App 보다는 Mobile Web의 사용이 높은것으로 알려져 있다. Mobile App 사용 현황을 다른 국가들과 비교해보아도 상대적으로 적은 App 사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내 사용자들은 12개의 App을 다운로드 받아서 7개 정도 App을 꾸준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웨덴 사용자들의 17개, 9개나 Global 사용자 평균인 13개, 8개에 비해 작은 수치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바일 게임'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모바일 앱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Global 평균으로는 메신저를 다음으로 높은 28%를 기록하였으며, 국내 사용자들에게도 두번째로 높은 비중으로 지목되었다. 다소 의외인 결과는 일정관리, To-Do, 가계부 등과 같은 생산성 분야가 38%로 가장 높게 나온 점이다. 국내 스마트폰이 윈도우즈 모바일 위주로 시장이 형성된 것에 대한 영향이 아직 남아있는 탓으로 보여진다. 개인적으로는 이러한 트렌드는 일시적인 것으로 IT맨 중심의 스마트폰 사용 환경이 사라지면 바뀔 것으로 예상된다.

조사 결과를 정리해보면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 중에 모바일인터넷을 사용하는 비중은 다른 국가에 비해서 낮으며, 음성 의존도가 높은 편이다.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에 대한 이용률이 높으며, 생산성 위주의 앱들을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국내 사용자들의 특징을 잘 이해하고 알맞은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Killer 들이 나와주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2010/10/12 08:35 2010/10/12 08:35

모바일 컨텐츠 이야기 :: LBS와 생산성앱이 중심이 되는 국내 모바일 http://2u.lc/qvW by @mobizen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