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리서치 기관 Yankee Group의 보고서에 의하면 Smart Phone 사용자의 약 25%가 하루에 한번 이상 Mobile Video를 시청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만큼 Mobile Video의 사용량이 급증하는 것이다. 미국의 경우, 2010년 전체 휴대폰 소유자의 9.7%정도만이 이용하던 Mobile Video를 2014년에는 21.5%로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Mobile Video를 Streaming으로 즐길 경우에는 일정량의 대역폭과 안정성을 요하게 된다. 특히 HD2와 같은 고화질을 즐기기 위해서는 Wi-Fi 연결이 필수가 되는데, 52% 정도만 Wi-Fi를 통하게 되며 48%는 3G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무래도 Video는 이동 중과 같은 짜투리 시간에 즐기는 경우가 많은 것이 작용한 듯 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렇게 3G를 통한 Mobile Video 재생이 늘어나다 보니 Data Traffic에 대한 부담이 생길 수 밖에 없으며, 무선망 운영의 가장 큰 적이 되어버렸다. Cisco의 최근 보고서에서는 2014년에는 전체 Mobile Data Traffic의 66%가 Video가 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화질이 좋아짐은 물론이고, 3D Video가 발전함에 따라 이러한 현상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양한 Video 서비스 사이트 중에 가장 주요 공적(?)은 YouTube 이다. 스트리밍 중의 32%, 전체 Mobile Traffic의 10%가 YouTube를 통해 발생하고 있다. iPhone, Android 등과 같은 Smart Phone 단말 판매량이 많아질수록 YouTube의 Traffic 점유율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PC Web에서도 동일한 상황이지만, Video 서비스 사업자들의 가장 원론적인 고민은 늘어가는 Traffic에 비해 명확한 BM이 없다는 것이다. 일본 사용자의 경우 전체의 82.1%가 무료 동영상만 이용하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YouTube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과 함께 저작권을 무시한 컨텐츠들을 쉽게 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Mobile Video는 아직까지 가입자 기반의 Revenue의 비중이 가장 높은 평면적인 구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시간이 흐를 수록 광고기반의 Revenue도 증가할 것으로 보이지만 전체 비중에서의 증가폭은 그리 크지 않다. 광고와 더불어 다양한 서비스 BM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Mobile Video 서비스의 또 하나 고민은 대부분의 업로드 Traffic은 UCC에서 발생되지만 실제 소비되는 컨텐츠는 극히 일부분을 제외하면 RMC가 대부분인 것이다. 실제 IMJ Mobile에서 조사한 결과, 뮤직비디오, 애니메이션 등과 같은 RMC 컨텐츠의 소비가 대부분인 것으로 알려졌다. UCC를 보는 경우는 20.8%에 불과하였다.

전체 컨텐츠양에서 RMC가 차지하는 비중는 매우 적으며, 이는 대다수의 UCC들이 Traffic과 Storage 공간만 차지할 뿐이라는 뜻이다. 쌓여있는 UCC의 소비를 위해 PC와 같이 Social과 접목할 수 있는 기능을 Mobile에서도 시도되어야 하며 이를 이용한 간접 수익 발생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뮤직비디오와 같은 RMC에서 mp3 다운로드, 벨소리 다운로드등과 같은 직접 수익은 물론이다.

Video 서비스 사업자는 절대 강자 YouTube와 경쟁을 하는 동시에 늘어가는 Traffic 만큼 Revenue로 올라갈 수 있는 새로운 고민을 해야 하는 시점이다. 국내 최대 인터넷 사업자인 Naver 조차도 포기했던 이 경쟁에서 생존할 수 있는 플레이어가 얼마나 될지는 미지수이다. Google 제국에 반항하기에는 자꾸 힘들어지는 세상이다.
2010/08/06 09:38 2010/08/06 09:38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PC와 Mobile Device는 유사한 사이트와 정보를 접하면서도 상이한 사용 행태를 보여주고 있다. PC와 Mobile의 사용행태의 차이는 극히 미세하지만, 그 차이를 이해하는 자가 Mobile 시대의 승자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PC와 Mobile의 사용행태 비교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해보고자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먼저, Mobile의 사용성이 PC에 비해 훨씬 높게 조사되어 놀라움을 준다. PC로 하는 주요 행태는 17.1개인데 반해 Mobile은 19.8개로 조사되었다. Mobile Device가 PC에 비해 사용에 대한 부담감이 적고, 개인화된 정보를 사용하기에 더 적합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실제 주요 사용성을 디테일하게 PC와 비교해 보아도 Mobile의 활동 영역이 훨씬 높게 나오고 있다. 주요 온라인 활동에서 대부분 PC를 압도하는 모습을 보인다. 특히, 사진 어플의 발달 때문에 이미지 처리는 PC에 비해 Mobile에서 7%나 높게 사용하고 있다. 위 데이터는 실제 사용 시간이나 충성도 등과는 다른 이야기이니 너무 확대 해석을 할 필요는 없으나, Mobile이 PC보다 다양한 분야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Nielsen의 최근 보고서에서 미국 네티즌들이 PC에서 사용하는 온라인 활동을 1시간으로 가정하여 분배를 하여 보니, SNS/Blog, 게임, 이메일 등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검색은 실제 이용횟수에 비해 이용시간 자체는 높지 않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일한 조사에서 Mobile로는 E-mail을 이용하는 시간이 월등히 길게 나타났다. 북미시장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BlackBerry의 영향이 크게 작용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그 뒤를 Portal, SNS/Blog 등이 차지하였다. 입력 방식의 불편한 때문인지 Mobile 검색에 PC보다 긴 시간을 소비하는 것도 이채롭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브라우저를 통한 인터넷 사용에서는 Smart Phone이 PC와 비슷한 수준의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이를 제외하고는 모든 항목에서 Smart Phone이 PC에 비해 좋은 사용자 경험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음악과 비디오 재생과 같은 Smart Phone의 장점이 크게 부각되지 않은 분야에서조차 Feature Phone의 만족도가 낮은 것도 특이한 결과이다.

정리를 해보자면 Mobile은 PC보다 훨씬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지고 있으며, E-mail과 포털 서비스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는 Smart Phone에 한정되는 특징이며, Feature Phone은 온라인 활동에 잘 사용되어지지 않는다. PC는 SNS와 Blog, Game 등에 주로 사용 되고 있다.
2010/08/04 08:36 2010/08/04 08:36
kpk1245

항상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laputa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대기권탈출

지금 현재 인터넷환경이 모바일인터넷으로 완전히 옮겨가겠군요. 정보검색은 물론 쇼핑, 금융 등 모든분야에서.. 좋은 정보감사합니다.

좋은하루

정말 많은 도움 얻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모노피스

공감합니다. 모바일은 물론 미디어에 대한 콘텐츠 시대가 도래하고 있고, 스마트폰 어플 등과 관련한 활용하는 기능들이 늘어나고 더욱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는것 같습니다. 이동성도 한 몫하고 있는 것 같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