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게임
Android는 광고 반응이 활발한 플랫폼

Mobile 산업의 Business Model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지만 광고를 통한 수익모델은 여전히 개발자들에게는 기본이 되고 있다. Android는 Mobile Web이 중심이 되어 사용되고 있고, 무료 App 들이 많다는 점에서 가장 광고에 적합한 모바일 플랫폼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 광고 클릭율을 조사한 결과 Android는 1.187%로 iPad 1.010%, iPhone 0.654%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대표적인 모바일 게임인 Andgry Bird의 경우 Android에서는 2010년 10월부터 무료로 제공되고 있다. 유료판매였던 iPhone과 달리 Android에서는 광고를 통한 수익이 더 클 것이라는 계산이었다. 현재까지 Android Andgry Bird의 광고 수익은 누적 600만달러 이상인 것으로 밝혀져 Rovio(Andgry Bird 제작사)의 전략이 맞았음을 증명하고 있다.


App 중심의 모바일 사용 패턴

모두가 당연하게 받아드리고 예측하고 있는 Andoird의 광고친화력이 높은 것인지 한번쯤은 의심하고 검증해야 할 필요가 있다. Mobile Web에서의 광고 수익은 여러차례 논의가 되었으니 이번 포스팅에서는 In-App AD에서의 플랫폼 경쟁력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보고서 수치들을 절대적으로 받아드리는 것은 위험하지만 몇가지 내용을 재구성하여 소개하니 일반적인 현상으로 참고하도록 하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Mobile App과 Web에 대한 논쟁은 아직 끝나지 않았지만 적어도 현재의 App에 대한 충성도에 대해서는 부인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Nobot Inc.의 최근 보고서에 의하면 Android 사용자도 무료 App 사용이 79.9%로 무료 web 18.6%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iPhone의 경우도 68.9%가 무료 App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In-App AD는 iPhone 사용자가 더 활발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무료 App의 광고를 주목하는 빈도는 iPhon 사용자가 Android 사용자보다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57.1%의 iPhone 사용자가 광고에 반응하는 반면 Android 사용자는 53.1%에 불과하였다. 항상 광고에 주목한다고 응답한 Android 사용자가 3.5%로 2.1%에 해당하는 iPhone 사용자에 비해 높은 것은 다소 이채롭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광고를 클릭하는 빈도도 iPhone 사용자는 39.1%나 차지하여 36.7%로 조사된 Android 사용자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App 내의 광고를 절대 클릭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Android 사용자가 19.4%로 10.7%에 해당한 iPhone 사용자보다 높은 것도 특이하다.


In-App AD 클릭은 BlackBerry가 가장 높아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양한 모바일 플랫폼 중에서 In-App AD에 가장 친화적인 것은 어떠한 것일까? The Nielsen Company 보고서에 의하면 85%를 차지한 BlackBerry로 나타났다. iPhone 사용자는 74%로 Palm에 이어 세번째였고, Android의 경우는 67%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일반적인 예상과 달리 Android가 In-App AD에 가장 친화력이 떨어진 것이다.


다양한 환경요소를 고려해야

몇가지 보고서만으로 Android의 광고 친화력을 의심할 수는 없다. 처음에 소개한 Chitika의 보고서처럼 전체 광고 친화력에서 Android가 앞서고 있는 것을 소개한 다양한 보고서들이 존재한다. 동일한 주제를 가지고 발표한 MobClix 자료와 같이 Android의 In-App AD 클릭율이 33%로 26%를 차지한 iPhone 보다 높게 조사된 경우도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Android는 In-App AD와는 친화력이 떨어진다'는 성급한 결론보다는 다양한 환경에 따라 자신과 맞는 플랫폼을 선택해야 하고, 광고를 기반으로 하는 BM이라고 해서 특정 플랫폼이 반드시 유리하지 않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다. In-App AD를 통해 수익을 만들어 내려면 단순한 클릭율만이 아닌 단말 보급율, 수익 비중, 광고의 형태, 타겟팅 가능성, App의 성격 등에 따라 종합적으로 판단을 해야 한다.
2011/04/11 08:17 2011/04/11 08:17
열정소년

안녕하세요? 좋은 분석 글 잘 읽었습니다. 늘 감사한 마음으로 좋은 정보들을 잘 보고 있습니다. 저는 모바일 광고 카울리(cauly)를 서비스 하고있는 퓨쳐스트림네트웍스 비즈니스 본부장 홍 준 입니다. 전세계적으로는 무료 APP & In App AD 전략을 구사하고 있는 Google(AdMob)쪽이 광고효과가 좀 더 높지만, 국내에서는 조금 다른 양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저희 카울리 광고분석을 기준으로 보면, iOS 진영 광고들이 광고반응 및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는 국내 무료 APP 수준이 iOS쪽이 Android OS쪽 보다 다소 퀄리티 우위를 갖고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최근 Android OS쪽의 APP들도 점차 완성도가 높아져가고 있으니.. 좀 더 지켜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근거와 내용은 월간 카울리 모바일 리포트를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Vol.3 - http://www.cauly.net/caulyreport/report.jsp)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얼마전 정부 모기관의 모바일 담당 부서와 미팅을 진행한 적이 있다. 미팅하는 시간내내 국민의 세금으로 집행하는 그들의 사업 방향이 한심하고 시장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답답함을 느꼈다. 그러던 중 장애인과 저소득 계층에 대한 지원 계획을 들을 수 있었는데 평소 내 자신의 무관심에 조금은 반성을 해야만 했다. 정부 기관이 투자를 집중해야 하는 분야이기도 하며 일반 기업과 전문가들도 한번쯤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2011년 3월 29일에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2010 장애인 정보격차 실태조사'와 '2010 저소득층 정보격차 실태조사' 보고서를 각각 발표하였다. 보고서에는 스마트폰 사용 현황이 각각 포함이 되어 있는데 이를 재구성하여 공유하고자 한다. 국내 취약 계층을 이해하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10년 12월 기준으로 장애인의 스마트폰 이용률은 1.6%, 기초생활보장수급층(이하 '저소득층')의 스마트폰 이용률은 1.9%로 조사되었다. 전체 국민(15.6%)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전체 국민의 스마트폰 이용률을 100%으로 가정하면 장애인은 10.3%, 저소득층은 12.2%에 불과한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사용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장애인들이 스마트폰을 이용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스마트폰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모르기 때문(33.1%)'으로 조사되었다. 스마트폰에 대한 이해 자체가 낮다는 이야기이다. 반면에 저소득층은 '이용비용의 부담(47.6%)'이 가장 높았다. 장애인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스마트폰에 대한 관심을 높으나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말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마트폰 이용용도 인지율은 장애인 34.7% 저소득층 45.0%로 전체 국민의 70.2%에 비해서 크게 낮은 수준이다.  전체국민의 스마트폰 이용용도 인지율을 100으로 가정하면 장애인은 49.4%, 저소득층은 64.1%에 불과하여 취약 계층 대상을 위한 스마트폰 홍보와 교육이 절실함을 알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마트폰 비이용 장애인의 향후 스마트폰 이용의향률은 29.0%로 장애인내 스마트폰 이용 수요 규모는 약 69만명이다. 스마트폰 비이용 저소득층의 향후 스마트폰 이용의향률은 33.7%로 저소득층내 스마트 폰 이용 수요 규모는 약 108만명으로 조사되었다. 참고로 장애인내 스마트폰 이용용도 인지 집단은 비인지 집단에 비해 스마트폰 향후 이용의향 수준이 3.2배 높은 특성을 나타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장애인의 40.5%, 저소득층의 37.3%는 스마트폰 비이용에 따라 사회적 낙오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디바이드'가 지역과 연령대를 넘어서 다양한 소외 계층에게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러한 취약 계층이 느끼는 '모바일 디바이드'를 해결하기 위해 그들이 원하는 지원 사업은 어떠한 것이 있을까? 장애인과 저소득층 모두 '스마트폰 이용 요금 지원'과 '스마트폰 활용 교육'이 가장 높은 요구 사항으로 집계되었다. 장애인의 경우 상대적으로 '장애인 친화형 스마트폰 개발'이 필요하다고 답변한 응답자가 많았다.
2011/04/07 08:27 2011/04/07 08:27

아래 글은 모바일 컨텐츠 이야기 블로그를 운영하시는 분의 post에 개인적인 사견을 좀더 보태어 작성한 글입니다. 스마트폰 사용인구를 늘려서 1) 볼륨을 키우고(통신 및 데이터 사용), 그위에..

오유미

좋은 글이네요,
하지만 반면 이런 생각도 해봅니다.

많은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각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는 것도 중요하지만 스마트폰이 없는 사람을 위한 장치도 함께 진화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문득, 휴대폰을 두고온 어느 날 공중전화를 찾아 헤매이던 생각이 나네요.

비밀방문자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