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Pad & Tablet
증가하는 기업들의 iPad 관심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함께 이를 업무에 적용하려고 하는 스마트워크나 모바일 오피스가 관심을 많이 받고 있다. 새롭게 떠오르는 기업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다양한 기기들과 사업자들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업형 시장에서의 스마트패드 현황과 전망을 가볍게 정리하도록 하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MicroStrategy 보고서에 의하면 기업시장에서 현재 가장 앞서 있는 플레이어는 BlackBerry이다. 북미시장을 대상으로 한 보고서이기 때문에 너무나 당연한 결과이다. 하지만, 향후 계획을 비교해 보면 iOS의 선호도가 절대적인 것을 알 수 있다. 소비자 시장의 충성도가 기업 시장으로 전이된 탓이다.

iPad는 현재 37%에서 55%까지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컨텐츠 소비를 위한 최적화된 기기라고 평가받는 iPad가 기업 시장에서도 존재감을 발산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 Apple은 기업시장을 위해 iOS 4.2부터 유니버셜 메일 박스, 모바일 관리 APIs, 다중 엑티브 싱크 계정 등의 기능을 추가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iPad를 비롯해 Playbook, Cius 등과 같은 업무에 적합한 스마트패드가 증가하자 기업들도 스마트패드 도입에 본격적으로 관심을 갖게 되었다. Alpha Wise의 설문조사에 의하면 현재(2011년 1월) 스마트패드를 도입한 기업은 21% 밖에 되지 않지만 1년 안에 도입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 기업은 51%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Deloitte 보고서에서는 포춘 500대 기업의 70~80%가 올해안에 스마트패드를 일부 직원에게 지원할 예정이라고 언급하였다.


기업 시장 출하량 전망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기업들이 스마트패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은 이동 중에 업무가 가능한 모바일 오피스와 더불어 새로운 환경에서의 생산성과 창의성이 증대할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이다. 관심이 증가하는 만큼 시장도 급증하리라 예상되고 있다. 2010년 스마트패드 기업시장 출하량은 약 80만대에서 2014년에는 약 7,210만대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기업형 스마트패드가 전체 출하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5%, 2014년 39%로 전망된다.


소비자 시장과는 다른 차별성

사용자 삽입 이미지

초기 기업 스마트패드 시장은 소비자 시장의 시장 지배력이 그대로 전이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차별화된 요소가 강조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업형 시장의 주요 고려 사항은 자사 이메일 및 기업 시스템과 통합과 보안인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라베이스 보고서에서는 언급되지 않았지만 App에 대한 배포 방식과 실시간 Push 지원등도 주요한 요소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10년 11월, ChangeWave Research가 법인용 iPad 이용자를 대상으로 가장 중요한 기능에 대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인터넷 접속 73%, 이메일 69%, 외근시 업무 가능 67%가 각각 조사되었다. 아직은 기업형 스마트패드 전용 솔루션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일차적인 기능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은 당연한 결과인 듯 하다.

많은 전문가들은 상당량의 기업형 노트북 시장을 스마트패드가 잠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상기 조사에서도 노트북을 대체 기능을 요구하는 사용자도 38%나 조사 되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기업 시장에서 스마트패드의 기능적인 한계로 인해 노트북 잠식은 단기적으로는 미비할 것으로 예상한다.


활용 사례 보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마트패드는 모바일 오피스에서의 주요 핵심 기기로 자리매김 할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아날로그 장비를 대체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되어 질 것이다. 이러한 측면으로의 활용 사례를 보면 고객 커뮤니케이션, 사내 커뮤니케이션, 교육 및 기타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고객 커뮤니케이션'은 점포나 접수 창구, 은행 등과 같은 판매 또는 영업 업무가 이루어지는 고객 접점 장소에서 고객 서비스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주로 전자 카탈로그나 영업 프리젠테이션, 주문 시스템등의 수단으로 활용된다.

업무의 효율화와 절약을 위해서 '사내 커뮤니케이션' 단말로 사용되기도 한다. 기업들은 회의에서 iPad를 사용하면서 탈종이화를 유도하고 있다. 일부 제약 회사는 의료 관계자에게 제품을 설명할 때 교재로 사용한다. 또한, 매거진에 익숙한 iPad로 사보를 제공하는 기업도 있다.

교육, 의료, 스포츠, 도서관 등의 분야에서도 iPad의 활용이 눈에 띈다. 국내에서도 일부 대학은 모든 재학생들에게 아이패드를 나누어주어 부교재로 사용하거나 일정을 관리하는데 활용하고 있다. 의사들이 회신시 메뉴얼 또는 차트로 활용하기도 한다. 이 밖에도 iPad는 2010 세계여자배구선수권 대회에서 경기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도서관에서 검색 및 열람을 위해 활용하고 있다.


이제부터 시작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 보면 iOS가 평정하고 있는 소비자 시장과는 다르게 기업형 시장에서는 아직은 절대 강자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각 플랫폼과 기기의 특징에 따라서 장단점이 나뉘기 때문이다. 지금부터 얼마나 빨리 기업 시장의 요구 사항을 보완하고 새로운 에코시스템을 만들어 낼지가 관건이다.

스마트폰을 통한 '모바일 오피스'가 기존 노트북 시장을 대체하고 이동성만을 강조하고 있다면 스마트패드는 기업시장에서 새로운 기회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대형 SI와 Global 기업들이 놓치고 있는 부분을 선점하는 플레이어가 시장을 새롭게 리드해 나갈 것이다. 2011년에 새로운 플레이어가 스마트패드 기업형 시장에서 크게 성공하기를 기대해 본다.
2011/04/26 08:23 2011/04/26 08:23
이경훈

휴우... 정말 볼때마다.. 대단하시다고 밖에는...
저도... 좀 더 넓고 깊게 봐야겠네요

박재윤

정리해 주신 자료 너무 너무 잘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혜리홍

모든자료가 제가 궁금해 하고 있는 내용에 대한 똑부러지는 정보네요.
잘 봤습니다. 활역 계속 기대합니다.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아직은 20대 비중이 가장 높아

WAP과 WIPI 시대로 대변되는 고전적인 모바일 인터넷 사용자는 오랜기간 동안 10~20대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덕분에 모바일 게임과 같은 엔터테인먼트적인 컨텐츠만 소비되었고 컨텐츠의 생산도 자연스레 편향된 구조를 가지게 되었다. 스마트폰이 대중화되고 있는 현재에는 어떠한 변화가 있을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근 방송통신위원회가 발표한 보고서에 의하면 20대가 35.1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스마트폰의 가격때문인지 10대 이하는 7.62%밖에 되지 않고, 30대는 29.50%로 두번째로 높았다. 40대 역시 15.10%를 차지하고 있었다.


급증하는 30~40대 이용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마트폰 시대에는 다소 소외받았던 30~40대에 눈을 돌릴 필요가 있다. 실제로 30~40대의 스마트폰 흡수력이 심상치가 않다. 2010년 5월에 11.6%에 불과했던 40대 신규 스마트폰 이용자가 24.7%로 급증하여 20대를 넘어섰다. 30대의 경우 32.7%에서 24.2%로 감소하기는 했으나 두번째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스마트폰 대중화로 모든 연령대의 보급율이 높아지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30~40대의 성장율이 매우 높은 것이다.


Mobile App 사용 비중도 가장 커

모바일 초창기에는 컨텐츠의 주요 타겟층을 30~40대로 예상하였다. 그들을 대상으로 하는 증권, 뉴스, 정보설 컨텐츠들이 WAP으로 개발되었고 결국은 실패하였다. 기기보급율과 구매력은 있었지만 모바일 컨텐츠에서의 활동력이 낮았던 것이다. 하지만, 당시의 20대들이 지금의 30~40대라는 것을 감안하면 조금은 다른 양상으로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Ask.com의 조사에서도 Mobile App을 사용하는 비중이 35~44세(86%)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5~34세의 경우에는 69%에 불과하였다. 북미이기 때문에 업무용으로 사용하는 BlackBerry의 시장점유율이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겠지만 App 설치에 어려움을 호소하던 이전 세대와는 분명히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구매력이 높다는 것에 주목해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근 한 보고서에 의하면 Mobile 기기에서의 광고 클릭율도 30대 이상(39%)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치적으로는 다른 연령대와 큰 차이가 없지만 중요한 것은 30~40대가 구매력이 높다는 점이다. 클릭하고 나서 구매로 이어지거나 제품 브랜드를 알리는데 30~40대를 대상으로 하면 보다 큰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들만의 니즈가 존재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 30~40대의 사용자들은 관심사가 편향되고 오락(Game, Music, Video, Entertainment)나 교류(SNS, E-mail 등)와 같은 활동이 10~20대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 30대 67.3%, 40대 63.6%가 일반정보를 얻기 위해 스마트폰을 사용할뿐 실시간정보, 교류활동, 오락 등은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에 10~20대에는 없는 경제활동이 46.2%, 30.9% 등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30~40대를 위한 모바일 서비스의 구성과 차별화를 짐작할 수 있다.

모바일 컨텐츠 시장의 무게중심이 하루 아침에 30~40대로 이동하지는 않을 것이다. 오히려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연령대별 구분이 없는 트래픽이 생성될 것이다. 하지만, Mobile App과 광고인식률, 정보검색 등에서 보여주는 30~40대의 잠재력에는 이제는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모바일 컨텐츠 산업이 다양성을 가져도 된다는 이야기이다.
2011/04/18 08:37 2011/04/18 08:37
산을넘는바람

안녕하세요. 언제나 좋은 자료 잘 정리해주셔서 늘 감사한 마음으로 보고 있습니다. 오늘 포스트해주신 글 중 의 '그들만의니즈가 존재' 에서 인용하신 Source 가 2011년 4월 6일로 나와있어서 글을 읽는 다른 분들에게 혼동의 여지가 있어 보입니다. 해당 자료가 언론에 보도된 시점을 적으셨는데, 원문 자료가 '2010년 정보문화 실태조사결과 자료' 이기에 해당 내용도 같이 언급해주시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저처럼 원문 출처를 찾아보지 않는 분들은 2011년 4월 6일 보도자료이니 근래 자료라고 착각할 여지가 있어 보여 노파심에 말씀드렸습니다. 다시 한 번 좋은 글 써주시는 점 감사드립니다.

Rubin

안녕하세요. 늘 좋은 자료 잘 받아보고 있습니다. ^^
위 코멘트에서 의문이 생겨 자료를 찾아보니 4.6일자로 행정안전부에서 발간한 자료가 맞네요 ㅎ
다만 4.6일자로 행안부에서 발표된 자료의 원문자료가 '2010년~'인지는 행안부 자료에서도 밝히지를 않고 있는걸로 보입니다. 참고하세요 ^^
http://goo.gl/plxQn 관련주소입니다.

산을넘는바람

/Rubin 링크해주신 주소에 첨부된 보도자료 파일을 열어보시면, ['10년 정보문화 실태조사' 라고 나와있으며, 조사개요 내용을 살펴보시면 조사기간이 '10. 10. 28 ~ 11. 30' 으로 나와있습니다.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