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블로그 일반

1. 스킨 교체를 했습니다. 바로 직전 스킨의 레이아웃이 심플해서 더 마음에 들지만 파이어폭스와 IE 7.0 에서 스크롤바가 생기지 않는 문제가 생겨서 어쩔 수가 없네요. 몇번의 시행착오 끝에 현재 스킨으로 결정했습니다. 스킨을 제작해 주신 hi8ar 님께 감사드립니다.


2. 메인 탑에 링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가 운영하는 블로그는 3개가 있습니다. 사실 정확히는 4개가 있습니다만... 혹여 관심있는 분들은 한번씩 방문해주시고 댓글을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모바일 컨텐츠 이야기(http://www.mobizen.pe.kr) : 모바일을 중심으로 하는 IT 이야기만 합니다.
- Mobizen's Talk(http://mobizen.egloos.com) : mobizen의 일상 생활, IT 이야기, 음악이야기, 영화 이야기 등의 정말로 개인 Log 입니다.
- Mobizen의 물생활 이야기(http://mobizen.tistory.com) : 제가 취미로 하고 있는 열대어 이야기를 합니다.

하나도 제대로 못하면서 3개씩이나.. 라고 하는 분들도 계시지만 각각의 블로그에 대한 Identity가 제 나름대로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으며 블로그라는 것이 일단 개인적인 공간이며 각각의 주제에 맞는 Log를 남기고, 그 주제에 맞는 새로운 블로거이나 네티즌과의 네트워크를 갖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검색엔진으로 들어와 글은 안보고 그래프와 도표만 가져가는 1,000명의 사용자보다는 제가 올린 포스팅에 의견을 공유하고 다른 생각을 전달해주는 1명의 독자가 저에게 중요하고 그것이 블로그를 운영하는 목적이니깐요. 예전에 잠깐 운영했던 http://talk.mobizen.pe.kr 은 페쇄합니다. 무료 호스팅이다 보니 너무 자주 서버가 다운되더군요~


3. 설 연휴가 시작됩니다. mobizen은 오늘(2월 5일)부터 업무를 쉬네요. 많이들 그렇게 하는 것 같던데... 제 블로그에 방문하시고 관심을 주신 분들..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즐거운 설 연휴 되시기를 바랍니다. 먼길 오가시는 분들 조심히 다녀오시고, 특히나 운전하시는 분들 안전운행 하시기 바랍니다.


4. 연재하고 있는 모바일 뮤직은 설 지나서 계속 진행하겠습니다. 생각보다 모바일 음악에는 관심들이 없으신 것 같아서 제가 간만에 하는 연재의 포인트가 조금 잘 못 됐나 반성하고 있습니다. 아무리 제 블로그가 일반적인 이슈를 무시하는 원론적인 이야기를 다루는 성향이 많지만 이왕이면 많은 분들이 관심있는 이슈이면 좋을텐데 말이죠. 아무래도 서비스 모델이 나와야 좀 관심이 있으실 것 같기도 한데요 후반부에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트렌드쪽을 설명을 할 생각입니다. 설 연휴 동안 생각해보고 연재를 원래 기획보다는 좀 짧게 하는 것도 고려해봐야겠습니다.


5. 이 글은 설 연휴 지나고 공지사항으로 옮겨질 겁니다. 이 포스팅은 그냥 일반 포스팅으로 남겨 놓겠습니다.

2008/02/05 08:07 2008/02/05 08:07

음력이 있어서 좋은 점은 또 한번의 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명절 연휴를 앞두고 고향과 가족을 찾아나서는 분들이 참 많네요. 필리핀에 두고온 가족들이 맘에 걸리긴 하..

떵꺼리

설 잘 보내시기 바랍니다. ;)

어제 뉴스에 보니 SKT가 무선인터넷 정액요금을 만원으로 내린다고 하던데...
설 이후에 타 통신사도 무선인터넷 정액요금을 내린다는 뉴스가 나오길 기대합니다. ㅋ

mobizen

답글 감사합니다. 떵거리님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정액요금.. 참 쉽지 않습니다. 많은 분들이 무선 요금이 내리면 뭔가가 해결되는 것을 기대하는 듯 한데 그 금액이 얼마던간에 그 존재만으로 진입장벽의 역할은 변함이 없을 걸로 저는 예상합니다. 아예 없애야죠~ ^^

떵꺼리

모바일 음악쪽은 이미 CP들에겐 이미 레드오션이 아닌가합니다.
벨소리, 노래방도 그렇고 MP3이전의 원음감상도 그렇고...
동영상 노래방도 있긴하지만...

BP에게 권한주고 정리한 시장인 듯 해요.

오히려 만화쪽이 짭잘해보여요. ;)

멜론, 도시락, 뮤직온은 CP들 밥상이 아닌것 같구요.

jdpapa

설 잘 보내셔요.
역시 좋은 회사 다니시니, 오늘을 쉬시는군요. 부럽습니다 ㅎㅎ

스킨 바뀌니까 좋잖아요.
다 제 덕입니다요. ㅋㅋ

떵꺼리님, 타 통신사도 곧 내릴거 같더군요.
근데, 몰라서 그런건지 선입견인지... 쓸 일이 없네요 ㅋㄷ

mobizen

jdpapa 님도 한번 맘 먹고 써보시기를.. ^^
저처럼 웬 종일 무선에 빠져 쓰는 것도 정상은 아니겠지만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jdpapa

멀 쓰란 말씀이신지 야심찬 포스트?

mobizen

앞뒤 문맥을... ^^

jdpapa

ㅎㅎㅎ (항상 진지하셔~)

mobizen

^__^ 요근래 jdpapa님이 "진지"라는 뜻을 모르시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자주 한답니다. ㅎㅎ

jdpapa

저의 농담을 잘 받아주시니 (진담으로 알아주시는 듯한) ^^;;

mobizen

헤헤.. 다시 리플을 다셨네..
모르시는 것으로 간주하겠습니다.. ^___^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옥션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3 "Skypephone"에 대하여 간략하게 소개해보고자 한다. 3 "Skypephone"은 옥션폰과 동일하게 "3"의 3G망을 MVNO하여 스카이프를 사용하게 하는 폰이다. 현재 영국와 호주, 홍콩에서 서비스를 하고 있으며, 오스트리아, 덴마크, 이태리, 아일랜드, 마카오 등에서 2008년 초에 모두 서비스를 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제품 소개에 대한 내용을 아래 표로 정리를 해 보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폰의 가격은 약 7만원 수준으로 그다지 비싸지 않다라는 평을 받고 있다. 기본적인 음성 통화는 인식하기 좋은 수준이라고 알려져 있고, 아주 깨끗한 품질(소위 말하는 크리스탈 품질)까지는 안된다고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이야기 한다. 스카이프 사용은 약 £10에 스카이프 4000분을 사용할 수 있으니 거의 무제한이라고 할 수 있다. PC에 스카이프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3 "Skypephone"에 로그인을 하여도 원래 접속되어 있던 PC의 스카이프의 로그인 상태는 유지된다. 혹시나 친구가 스카이프로 통화를 요청해오면 사용자는 PC에서 받을지 3 "Skypephone"를 선택하여 통화할 수가 있다.

7만원이라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폰을 만들다 보니 바형태의 콤팩트한 기능만 내장되어 있는 폰이 양산되었다. 스카이프가 내장되어 있는(또는 할 수 있는) 일반적인 폰들이 대부분 스마트폰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약간은 저기능 폰이다. 덕분에 다소 복잡한 스카이프 프로그램이 들어가지 못하고, 호환 프로그램인 iSkoot사의 제품이 들어갔다. 이의 영향으로 몇가지 제약이 발생하는데, 첫번째가 써드 파티 벤더들이 제품을 Custom 하게 바꿀 수 있는 public API가 존재하지 않는다것이며, 두번째는 iSkoot사의 서버를 사용하므로 사용자간에 암호화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사용자는 스카이프에서 VoIP번호를 할당하여 주고 이 번호로 "3"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전화를 받을 수도 걸수도 있는 것을 기대할 텐데 불행히도 "3"는 반만을 허락하여 주었다. 일반 전화로 전화를 걸 수 있는 Skype Out은 지원을 하지 않는다. 가장 최근에 런칭을 한 홍콩에서도 Skype Out은 제공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Skype In이나 스카이프 가입자에게 스카이프로 전화를 걸수 있는 기능은 제공을 하고 있다. 국내 옥션폰의 경우는  SKT가 어디까지 허락해줄지가 관건인데 앞선 사례를 참고할 때 역시 Skype Out은 힘들지 않을까 하는 예상이 든다.

저렴한 VoIP가 핸드폰 안으로 들어온다는 것이 무척 매력적이고 시장을 뒤흔들 것 같지만 실상은 그렇지가 못하다. 현대인에게 핸드폰은 단순한 통화를 해주는 서비스의 개념을 떠나서 다양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과 Handset이라는 최첨단 하드웨어가 주는 메리트 역시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핸드폰을 바꿀 때 서비스 가격보다는 핸드폰의 디자인 자체가 선택의 고려사항 중에 가장 먼저가 되고 핸드폰 안에 받아 놓은 게임이 아까워서 구입을 미루는 사용자가 적지 않다라는 점이 바로 그러한 증거이다. 옥션폰을 비롯한 모든 스카이프폰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3 "Skypephone"처럼 한 모델만 내놓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가격대와 디자인의 단말 모델과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2008/01/28 13:52 2008/01/28 13:52
Posted
Filed under 리뷰
1. 들어가는 글
사용자 삽입 이미지
(Source : SA)

위는 리서치 기관 SA에서 2007년 11월에 발표한 세계 카메라폰 시장 규모 자료이다. 꼭 이런 자료를 가지고 이야기 하지 않아도 이제는 핸드폰에 카메라모듈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핸드폰을 이용해서 사진을 찍는 것이 그만큼 우리 생활에 깊숙히 들어와 있는 것이다. 이렇게 찍은 사진을 일일이 PC에 케이블로 연결하여 Sync를 하고 편집한 후 자신의 블로그나 미니홈피에 올리는 이들이 많아졌다. 하지만 일련의 과정이 상당히 번거롭고 귀찮을 때가 있다. 점차적으로 PC에 연결하는 일을 미루게 되고, 그러다 보면 사진찍는 것도 시들해진다. 사진을 PC와 연결하지 않고 자동으로 업로드 하는 방법이 없을까? 이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Nate 포토앨범' 서비스이다.

'Nate 포토 앨범'은 T World 내에서는 '폰사진 자동 저장 서비스'라는 명칭으로 안내되고 있으며 심야시간에 유휴 네트워크망을 활용해 단말에 저장된 모든 사진을 자신의 개인공간(마이앨범)으로 일괄 자동업로드 하고, WEB, WAP(Nate무선인터넷), VM(ⓜPlayon)에서 편리하게 활용 및 관리하는 서비스이다. 또한 옵션을 선택하여 자신의 미니 홈피에도 같이 업로드를 할 수 있다.



2. 시작하기

Nate 포토앨범은 월정액 기반이며 VM으로 서비스 된다. 모든 폰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보유하고 있는 폰에서 사용가능한지 홈페이지에서 확인해 보고 가입을 하는 것이 좋다. 물론, 지원되지 않는 폰은 가입시 사용할 수 없다고 고 안내문구가 나오면서 가입이 되지는 않는다.
지원되는 단말 목록은 2007년 12월 12일 현재 총 90개이며 목록은 아래와 같다. 지원하는 단말은 계속되어 추가 되므로 추후에라도 자신의 폰 모델이 이 목록에 없더라도 확인해 보는 것이 정확하다.

- 삼성
SCH-B300,SCH-B330SS,SCH-B340,SCH-B360,SCH-B380,SCH-B410,SCH-B450,SCH-B470,SCH-B490,SCH-B500,SCH-B510,SCH-B540,SCH-B550,SCH-B560,SCH-B570,SCH-B590,SCH-B600,SCH-B630,SCH-B640,SCH-B660,SCH-B680,SCH-B710,SCH-B750,SCH-C210,SCH-C220,SCH-S230,SCH-S500,SCH-V650,SCH-V670,SCH-V700,SCH-V720,SCH-V740,SCH-V770,SCH-V840,SCH-V850,SHC-V870,SCH-V890,SCH-V900,SCH-V910,SHC-V920,SCH-V940,SCH-V960,SCH-W200,SHC-W210,SCH-W240,SCH-W270,SCH-W290,SHC-W300,SCH-W330,SCH-W380

- 팬택
IM-8400,IM-8500,IM-R100,IM-R110,IM-R200,PT-S100,IM-S110,IM-S130,IM-S230,IM-U100,IM-U110,IM-U130,IM-U140,IM-U150,IM-U160,IM-U170,IM-U200,IM-U210,IM-U220,PT-S200

- LG
LG-SB190,LG-SB270,LG-SB310,LG-SB630,LG-SH100,LG-SH110,LG-SH130,LG-SH150,LG-SH170,LG-SV240,LG-SV260,LG-SV280,LG-SV300,LG-SV590

- 모토로라
V9m,MS550,MS700,MS800,VK600C,VK700C

월정액 가입과 VM을 다운받기 위한 접속경로는 아래와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입을 선택하고 동의를 하면 가입 처리가 된 후에 VM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주소와 함께 SMS을 수신하게 된다. 이때, 접속키를 누르면 자동으로 다운로드가 된후, 설치를 하게 된다. 가입은 http://photo.nate.com/ 에서도 가능하며 가입할 때 싸이월드 자동 전송에 대하여 옵션 선택을 할 수가 있다. 기본 서비스는 월 1,500원으로 즐길 수 있으며, 자신의 미니홈피로도 동시에 업로드 할 수 있는 싸이월드 옵션을 선택하면 월 500원이 추가되게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3. 서비스 사용하기

기본적으로 Nate 포토앨범 VM은 폰에 있는 사진을 홈페이지와 미니홈피로 업로드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새벽에 사진을 업로드 하는 것이 기본기능이다.  특별한 설정을 하지 않으면 랜덤한 시간에 업로드가 되며, 원한다면 특정 시간을 설정할 수도 있다. 현재 단말에 있는 사진 목록을 보며 이미 업로드된 사진과 업로드 할 사진을 볼 수 있으며, 특정 사진의 업로드를 여부 또한 설정이 가능하다.

마이앨범 메뉴를 통하며 이미 업로드되어 있는 사진의 목록과 앨범 관리가 가능하다. 기본 앨범 이외에 앨범을 생성하거나 각 앨범에 대한 공개/비공개 여부, 댓글알리미 여부, 스크랩 허용 여부, 즐겨찾기 허용 여부 등의 설정도 가능하다.

물론 위와 같은 관리는 모두 Web에서도 가능하다. 사진을 올리거나, 앨범을 관리하거나 댓글을 입력하는 것등의  모든 서비스들이 유선과 무선이 완벽하게 통합되어 서비스가 되고 있다. 참고로 필자는 본인의 폰이며 Nate 에 폰인증이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웹과 동기화가 되지 않았다. 이럴 경우에는 '마이앨범 정보관리'에서 '폰번호 변경' 메뉴를 통해서 폰 인증을 다시 한번 받으면 해결이 된다.



4. 다양한 공유 서비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영상을 필두로한 UCC가 모두 그러한 듯 Nate 포토 앨범 역시 업로드만 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공개하고 공유하면서 다른 사용자들과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다. 태깅, 댓글, 스크랩 등을 지원하고 있다. 등록된 사진은 태그를 기준으로 하여 카테고리별로 구분되어 등록된다. 사이트에는 다양한 주제로 포토 콘테스트가 열리며, 채택이 되면 최대 5만원 상당의 선물을 주게 된다. 2008년 1월 18일, 현재는 "싱숭생숭 포토~"라는 주제로 콘테스트가 열리고 있다. 공개되어 있는 사진들을 보는 것도 재미난다. 외모에 어느 정도 자신감이 있는 분들이 공개를 하는 듯 아름다운 여성이나 잘생긴 남성들이 많으므로 솔로분들은 관심있게 보시라.

웹에서는 '엔터테인먼트' 메뉴 아래에 일반인이 찍은 UCC외에도 "Korea그라비아', '스타화보', '스타블로그' 등도 있다. 포토서비스인 만큼 사진 인화나 사진 꾸미는 서비스도 지원을 한다. 사진 인화는 웹을 통해서도 가능하고 모바일에서도 추가 VM을 다운로드 받으면 가능하다. '포토 꾸미기'에는 얼굴 보정을 해주는 '포토스피드성형', 재미난 이미지와 합성을 할 수 있는 '세상에 이런 포토', 그리고 사진을 통해 관상을 봐주는 '모바일 관상' 등의 메뉴가 있다.

좀 재미있는 개념이 보통의 메타 태그를 생성자만 할 수 있는 것이 비해 '주인장태그'와 '방문자태그'로 구분되어 모두 태깅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메타 블로그나 다른 UCC 사이트에서도 추가해도 재미난 기능이 될 듯 하다.



5. 마치는 글

가장 아쉬운 것은 Nate 에서 상기 서비스에 대한 마케팅이 소극적이라는 것이다. 이는 Nate의 전략 상품인 'tossi'를 비롯한 유사한 서비스가 많다라는 것과 VM이 지원하는 단말이 아직은 많지 않다는 것이 원인으로 작용한 듯 하다. 타 서비스와 충돌이 나는 문제는 Nate 포토앨범은 폰 자동 전송 서비스로 명확하게 서비스 성격을 구분하고 지금은 '싸이월드'만 존재하는 옵션 서비스를 다양하게 확대하는 것으로 해결해야 할 듯 하다. 단순하게 무선 Nate 안에 있는 서비스나 SKT의 관계사 서비스만을 지원할 것이 아니라 설치형 블로그나 포탈의 블로그, 미니 홈피, 카페, 커뮤니티 클럽 등을 다양하게 옵션으로 지원하면 좀더 경쟁력이 있을 듯 하다. 지원되는 단말이 작은 것은 시간을 두고 천천히 해결이 될 듯 하다. 필자의 폰의 경우도 12월 초까지 지원을 하지 않았지만 새로 추가되는 단말에 포함되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었다.

SKT내에 유사 서비스가 하나만 존재한다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이미 충돌이 나는 서비스가 다수인 관계로 Nate 포토앨범 내의 커뮤니티 성격은 언젠가는 버려져야할 항목인 듯 하다. '사진 자동 전송'이라는 개념을 기본 솔루션으로 하여 다양한 외부(!) 서비스와 접목한다면 많은 사용자 층을 확보할 수 있을 듯 하다.
미니홈피와 같은 외부서비스로의 자동 전송이 과연 옵션이어야 하는 것도 생각해볼 문제이다. 사용자들이 네이트 포토 서비스(Web)으로 전송하고 미니 홈피가 옵션인 것이 원할까, 아니면 미니홈피로의 전송만을 원할까... 현재는 미니홈피로의 자동전송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네이트 포토로 자동 전송이 선택되어야만 가능하다.

폰카로 찍는 사진의 해상도가 점점 좋아짐에 따라 단순한 개인적인 사진 외에도 기업형 시장과 접목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도 이용될 수 있었으면 한다. 폰카로 사진찍는 횟수가 많으며 이러한 사진을 미니홈피로 업로드를 빈번하게 하는 분이라면 사용해 봄 직한 서비스이다.
2008/01/19 01:14 2008/01/19 01:14
Posted
Filed under 리뷰
사용자 삽입 이미지
1. 들어가는 글

필자는 오래전부터 PDA를 사용해 왔다. 근래에 들고 다니는 미니노트북이나 PMP를 가지기 전까지 항상 PDA를 손에 들고 다녔다. PDA의 주용도는 단연 E-Book 이었다. PDA의 본연의 기능인 PIMS, 스케줄링 등의 기능은 항상 사무실 안에 앉아서 모니터를 보는 나에게는 크게 필요가 없었으나, IT 전문 책 외에는 독서에 관심이 없는 나에게도 PDA를 통해서 보는 무협지와 판타지 소설등은 지루한 출근길에서 시간을 보내기에 안성맞춤이었다. 남들은 좁은 화면으로 글자를 보면 머리가 아프거나 눈이 피로하다는데 워낙에 오랜 세월을 그렇게 생활을 해서인지 집에서도 PC보다는 PDA로 책을 보는 편이었다.

최근에 Amazon Kindle과 Sony Reader 등의 차세대 E-Book Device이 등장하였다. 국내에 그러한 차세대 E-Book 서비스가 나오기까지는 약간의 시간이 걸릴 듯 하다. 해외에서도 성공 여부를 좀 지켜봐야 할 듯 하고.. 교양책이나 자기계발책, 재테크 관련 책등을 손에서 놓지 않는 독서관에게는 E-Book이 그다지 필요가 없겠지만 오히려 필자와 같은 판타지나 무협소설이라면 가리지 않고 보는 이라면 여러 권은 구입해야 하거나 빌려볼 필요없이 들고다닌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더군다나 자신의 핸드폰으로 볼 수 있다면 더욱 좋을 것이다. 정품 책을 합법적으로 구입하고, 1권을 다 읽으면 실시간으로 2권을 구입해서 바로 볼 수 있으니깐.. 금번 리뷰에서는 이렇게 핸드폰으로 책을 읽은 모바일북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참고로 E-Book을 대응하는 단어로 모바일북을 M-Book이라고 하지만 오늘 리뷰를 하는 서비스 브랜드명이 M북이다. 본 리뷰에서는 혼동을 막기 위하여 모바일북(일반적인 의미)과 M-Book(브랜드명)을 구분하도록 하겠다.



2. U-Book과 M북

무선 Nate의 모바일북 서비스에 접속을 해보면 U-Book과 M북이라는 2가지 서비스가 존재한다. 명확한 설명을 해 놓은 곳이 없어서 사용자들이 2개의 서비스가 무슨 차이일까 궁금해 하는데, 일반적인 의미가 아닌 각각 서비스 브랜드명이라고 이해하면 쉽다. 물론 각각은 운영하는 업체가 다르다. 업체가 다르니 서로 다른 정액제와 다른 UI, 각기 다른 책들을 서비스 하고 있다. 두 서비스 모두 WAP과 VM 을 사용해서 서비스 하고 있으며, 정액제의 개념이나 가격도 다르다. 아래표는 위 두 서비스를 간단하게 비교해 본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U-Book을 유비쿼터스북의 약자인 만큼 책을 한번 구입을 하면 핸드폰이던 PC에서건 동일하게 볼 수있는 것이 특징이며, M북은 3권의 베스트셀러와 함께 다양한 쿠폰을 정액으로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금번 리뷰에서는 M북을 한번 알아보겠다. M북의 정확한 서비스명은 베스트M북이다.



3. 시작하기와 정액제가입

베스트 M북의 접속경로는 아래와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베스트 M북은 기본적으로 WAP과 VM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실제 책을 읽을 때는 VM을 사용하므로 프로그램을 꼭 다운받아 설치해야 한다.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베스트 M북 서비스는 정액제 가입을 유도한다. 현재 베스트 M북 정액제는 '시즌 2'이다. '시즌 1'의 경우에는 삼각김밥을 주었는데 '시즌 2'에서는 버거킹, 씨즐러, 후터스, 플레티넘, 맨마켓, 품파이 등 다양한 쿠폰을 제공하고 있다. 그렇다면 정액제 가입자에세 무료로 주는 베스트셀러 3권은 어떠할까?
2008년 1월 15일 현재 제공해주는 베스트 셀러는 아래와 같다.

- 행복한 수면법
- 살빠지는 습관 디너 캔슬링
- 직장인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펀드

그렇다면 듣기에 다소 생소한 이러한 책들이 정말 베스트 셀러일까? 참고를 위해 해당도서 목록을 Yes24의 E-Book 주소에 Link를 해두었다. Yes24에는 판매지수라는것이 있는데 각 도서의 판매실적지수이다. 책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보통 베스트셀러라고 하면 기본적으로 판매지수가 10,000점이 넘어간다. 하지만 위 책들은 300점을 넘지 못하고 있다. 전자책의 판매지수이기 때문에 실제 종이로된 도서보다 약간 낮은감이 있지만 실제도서의 판매지수도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선정된 책들을 베스트셀러라고 부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음을 알수 있다.

결론은 정액제의 경우, 책이라면 다 좋기 때문에 아무책이라도 3권 정도라면 아깝지 않고 쿠폰에 더 초점을 두어도 되는 분은 가입해도 좋지만 그렇지 않은 분이라면 가입을 권하고 싶지 않다.



4. VM 프로그램

VM 프로그램은 베스트 M북에서 책을 읽는데에는 필수이다. 프로그램 내부의 전체 메뉴 구조는 아래와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래에 있는 도서목록이나 중간탭 등에서 원하는 책을 선택해서 구입하면 구매도서 목록에 추가가 되게 된다. 구매도서 목록에서 구입한 책 중 읽고 싶은 책을 선택해서 읽으면 된다. 도서의 가격은 4000원 선으로 책마다 차이가 있다. 사용면에서 아쉬운 것은 정액제 가입자에게 주어지는 베스트셀러 3권은 여기에서는 분류가 따로 되어 있지 않다라는 것이다. WAP으로 접속한후 WAP에서 무료 구입을 해야 한다. WAP에서 구입을 하면 VM의 구매도서 목록에 추가가 되어 있기는 하지만 상당히 불편하다.

VM의 기능은 아주 기초적이다. 핸드폰의 내장 폰트를 사용하고 있으며, 전에 읽어던 책은 이어보기가 자동으로 된다. 책갈피 기능을 사용하면 보고 있는 책 중에서 책갈피를 새로 설정하거나 설정되어 있는 책갈피로 이동을 할수도 있다. 페이지 바로 가기를 하면 특정 페이지로 이동이 가능하며 파트 선택하기 메뉴를 이용하면 기설정된 목록 중에 선택하여 이동이 가능하다. 자동 스크롤 기능을 이용하면 자동으로 페이지가 넘어간다. 스크롤 속도를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필자의 경우 스크롤 속도를 4단계로 설정하니깐 적당한 듯 하였다.

불행히도 이 프로그램은 텍스트만을 보여주고 있다. 표, 차트, 이미지 등은 보여주지 못한다. 책을 읽다가 차트가 있고 그 차트에 대한 설명을 하면 그 차트를 볼 수가 없으므로 무슨 이야기를 하는지 내용파악이 어렵다. 모바일북이라기 보다는 Text Viewer라고 이해하면 된다. 텍스트만을 보여준다면 도서를 선정할 때 차트나 이미지가 있는 책은 피해야 하는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책을 가로로 보기나, 글씨 크기 선택, 특정 단어를 이용하여 검색하기, Zoom 기능 등 또한 없다. '이어보기'를 통해 읽었던 위치부터 다시 읽으려면 그 문서를 닫기전에 반드시 '닫기'메뉴를 통해 위치를 저장해야만 한다. 핸드폰의 특성상 전화나 문자가 와서 그냥 종료를 한다던가, 지하철에서 내릴 때가 되어서 별 생각없이 폰을 닫아버리면 다음에 그 책을 읽을 때에 읽은 위치를 찾아내기 위해서 한참을 스크롤을 해야 한다. 스크롤 될 때 자동으로 위치를 저장 할 수 있었으면 좋았으리라.

네트워크를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VM을 실행하면 자동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한다. 이후 목록을 받을 때마다 서버와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베스트'목록을 보다가 '신간도서' 목록을 확인 한 후 다시 '베스트'목록을 보면 그때마다 서버와 통신을 한다. 서버와 통신 속도 또한 체감할 수 있을 정도로 느린편이다. 현재 서버와의 통신 속도나 비싼 패킷 요금을 감안을 한다면, 프로그램이 한번 받은 목록은 가지고 있다가 사용자가 동일한 요청을 하면 서버와 통신을 할 필요없이 그 정보를 이용해서 보여주었더라면 더 좋았을 뻔 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5. 아쉬운 서비스 완성도

해당 서비스를 운영하는 스미스앤모바일은 벨소리, 그림 친구 서비스, 게임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완성도 높은 컨텐츠 사업을 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타분야에서 보여주었던 치밀한 기획과 사용자를 배려하는 UI는 이번 베스트 M북에서는 느끼기가 힘들다. 일반인이 공감할 수 없는 베스트셀러 3권 선정과 베스트 셀러 3권을 받기 위해 WAP을 반드시 접속해야 하는 점, 완성도가 낮은 VM 프로그램등은 서비스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떨어뜨리고 있다.

일단, 핸드폰에 친숙한 세대가 10대라고 볼 때 그들이 볼수 있는 장르인 무협이나 판타지물로 베스트셀러를 선정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오히려 그런 소설들은 시리즈 물로 나오므로 1권정도를 베스트셀러 선정을 통해 무료로 주는 것이 다른 시리즈물 판매를 위해 더 좋지 않으까 싶다.

그리고 "Nate 만화 정액제" 포스팅에서도 이야기 했듯이 사용자 참여 시스템의 부재가 아쉽다. 책을 고를 때 리뷰나, 그 책에 대한 소개 등을 미리 접할 수 있다면 책 선택하는데 좀더 편리하지 않을까 싶다. 책에 따라서 친구에게 선물할 수 있거나 추천하고 싶을 때가 있는데 그러할 떄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도 필요할 듯 하다. 좀더 앞선 개념으로는 자신의 책을 빌려주는 것을 구현해보라고 권하고 싶지만 양지화되기는 힘들 듯 하고..

그리고, 여러차례 언급되지만 VM의 성능향상은 꼭 필요하다. 또한 WAP과 VM을 반드시 병행해서 사용한다면 좀더 간편하게 서로 연결되었으면 한다. WAP에서 VM을 바로 부른다거나, VM에서 WAP이 바로 연결이 된다거나..



6. 마치는 글

M-Book의 기본은 이러한 전체 서비스 구조보다는 책 하나하나의 내용이 중요할 듯 하다. 친구를 기다릴 때, 지루한 출근 길에서 책을 한권 정도 읽고 싶다면 자신의 핸드폰을 열어서 모바일북을 이용하여 보는 것을 권하고 싶다. 조금 눈이 아프거나 글자 읽는게 부담스러울 수도 있지만 책의 내용에 빠져든다면 금방 익숙해지리라. 필자와 같은 매니아들은 알리라. 무협지와 판타지를 볼 때의 몰입감은 만화나 영화와는 다른 즐거움이라는 것을...

위에서 언급했던 차세대 E-Book 리더들은 일반적인 Display와 함께 오디오도 같이 제공을 하고 있다. 물론 오디오북 또한 모바일에 존재하지만 전혀 별개의 서비스로만 운영되고 있다. 지하철에서는 텍스트를 이용해서 보고, 지하철에서 내려 길을 걸어가고 있을 때는 오디오북이 실행되는 시나리오는 종이책이 줄 수 없는 기능이다. 이러한 모바일북만의 특징들이 점차적으로 구현되고 발전되어 꾸준히 성장하기를 기원한다.
2008/01/16 09:49 2008/01/16 09:49
리브리스

스킨 깔끔합니다^^ 아직은 이북이 종이책을 대체하기 힘들지만 오디오북과 이북의 형태로 공존한다면 또 다른 시장을 창출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전자잉크 기술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술이 좀 다른 것 같더라구요. 현재는 전자잉크쪽이 전력량면에서나 구현면에서 이북에 더 적합할 것으로 생각되는데요. 좋은 제품이 출시되서 현실적인 가격으로 나와주었으면 좋겠어요. 저에겐 M-Book 서비스를 이용하기엔 PDA가 없어요 ^^;

mobizen

리브리스님 말씀처럼 아직은 PDA가 E-Book을 접하기가 더 쉬운 것은 사실이죠. 하지만 책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본문에서 말씀드린 U-Book이나 M북을 이용하여 핸드폰으로 한번정도 시도를 해보세요. ^^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요 근래 정체를 알 수 없는 서비스를 계속 보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qipit 라는 이름의 이 서비스는 폰카로 찍은 문서, 화이트 보드, 노트 등의 사진을 MMS나 E-mail로 전송하면 pdf로 변환을 해주는 서비스를 한다. 사용법은 간단하다.

1. https://www.qipit.com 로 방문에 계정을 만들고, 자신의 핸드폰 번호와 모델을 등록해 놓는다.
2. 회의 중에 써 놓은 노트나 화이트 보드, 그리고 문서등을 폰카로 찍는다.
3. 자신의 핸드폰이나 PC로 그 이미지를 copy@qipit.com 를 수신자로 하여 발송한다.
4. pdf로 변환된 link를 받게 된다.
5. 모든 비용은 무료이다.

E-mail로 보내도 되므로 MMS를 사용하여 보내보기도 했고, 계정을 만들 때 내 번호 앞에 국가 번호 82를 붙혀서 테스트도 해 보았지만 국내 핸드폰에서는 실패하였다. 물론 돌아오는 MMS 망 연동이 안되어 있으니 당연할지도..
결국 PC에서 테스트를 해보았다. 가지고 있는 LG 초콜렛 폰으로 문서를 찍은 후, 해당 이미지를 등록하니 pdf가 생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qipit.pdf

생성된 pdf


내가 너무 기대를 했나? 일단 jpeg 이미지를 pdf로 컨버팅을 해주는 것 말고는 없다. 물론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밝기 조절, 가장자리 컷팅 등의 작업은 한다. 하지만, 이미지를 문자인식 엔진을 통해서 Text로 바꾸어 주는 기능은 없었다. 그러고 나니 도대체 이 서비스가 뭘 위한 것인지 모르겠다. 이미지 포맷을 pdf로 바꿔서 뭘 어쩐다는건지? 물론 사이트에 보면 Documents 관리 기능이나 이를 팩스나 E-mail로 전송도 가능하며, 특정 멤버와 공유를 할 수 있다고는 하는데 그게 왜 jpeg면 안되고 pdf로 변환을 해야만 하는 걸까?

폰카 이미지를 활용하여 업무에 사용하려는 컨셉이라는 점에서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고 있으나 이를 어디에 응용을 해야 하는지 감이 잡히질 않는다. 요즘 문자 인식 기능이 추가가된 디카를 생각해보면 그러한 기능이 폰카에 있어도 될 것 같고.. 잘 고민해보면 뭔가가 나올 것 같기도 한데.. 잡힐듯.. 말듯...
2008/01/15 11:03 2008/01/15 11:03
Nights

유용할것 같기도 하네요 ^^;;
하지만 휴대폰의 카메라 성능이 좀더 좋아야 할듯 합니다.

mobizen

유용이라는 건 개인의 필요나 성향에 따라 다르니깐요~ ^^;;

개인적으로 이 서비스 자체만을 평가한다면 절대 성공할 수 없는 서비스죠. 제가 고민하는 것은 폰카를 이용해 업무에 적용하는 발상입니다. 아직까지 폰카에 대한 응용서비스가 UCC나 재미 위주여서 좀 더 영역을 확대시키려는 의도를 높게 평가한겁니다.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Ask.com 에서 운영하는 모바일 길안내 서비스인 dialdirections.com은 음성인식을 활용한 모바일 서비스의 좋은 예이다. 일반적은 모바일 길안내 서비스는 출발지와 목적지를 텍스트 입력을 해야 한다. 출발지의 경우는 그나마 위치정보를 활용해서 자동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으나 목적지는 반드시 입력을 해야 하는데 핸드폰의 키패드를 통해 입력하는게 쉽지가 않다. 더군다나 길안내 서비스를 대부분 운전하면서 사용하게 되는데 무척 위험하다.

dialdirections.com 서비스는 이러한 사용자 불편을 해결하려는 서비스로 출발지와 목적지를 음성으로 이야기 하면 음성인식기가 분석을 하여 해당결과를 화면에 바로 보여주게 된다. 폰네비게이션이 활성화되지 않고 또 되지도 않을 것 같은 국내에서는 바로 적용하기는 무리이지만 핸드폰 문자 입력을 키패드로만 한다는 기존 관념을 깨는 발상의 전환은 서비스 기획자라면 한번쯤 해볼만 하다. 이해를 돕기 위해 서비스 사용 동영상을 소개한다. 더 자세한 사항이나 소개 영상등은 dialdirections.com에 방문하면 된다.

2008/01/10 11:33 2008/01/10 11:33
anasuco

언급하신 서비스는 '네이트 드라이브'에서 서비스 초기(2002년)부터 지원하던 기능입니다.
어떤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시는 건지요..

mobizen

그렇군요. 하긴.. 예전에 본부~ 라는 것도 있었죠...
그게 서버사이드이던 단말사이드이던간에 말이죠..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Source : 한겨레 신문)

2008년도가 시작되면서 SMS 요금이 3사 모두 인하가 되었다. 꽤나 중요하고 큰 이슈인데도 의외로 조용하다.  단순하게 30원에서 20원으로 내리는게 전부일만큼 문자가 간단하지 않다. 정액제, 문자쿠폰, 로밍 등의 내용이 있기 때문이다. 혹시 도움이 될 듯 하여 간단하게 정리를 해 본다. 내용을 보면 이통사들의 전략과 고객을 대하는 태도를 알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문자정액제 사용자들의 대부분은 Max 만큼 사용을 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한 점에서 그나마 현실적인 LGT의 문자 정액제 인하와 대조적으로 KTF는 모든 사활을 3G에서 풀어보겠다는 의지와 SKT의 고객무시 정책에서 3사의 태도를 알수 있다.

사실 이통 3사의 가격은 이미 많이 인하가 되었다. 무선 인터넷 패킷 비용 인하와 망내 할인, 그리고 이번의 문자할인까지... 하지만 고객들은 아직도 통신 요금은 비싸다고 인식하고 있고, 차기 대통령또한 통신비용을 거론하고 있다. 이는 실제 사용자가 원하는 것은 도대체 어디에 사용하는지 출처를 알수가 없는 가입비와 기본요금에 대한 인하가 아닐련지.. 그리고 진정으로 고객이 필요로하는 가격 정책을 만들 줄 아는 자세...
2008/01/04 13:56 2008/01/04 13:56
리브리스

SKT는 가입비도 가장 비싸죠(고객무시 ^^;;) 통신사도 나름대로 할말은 있겠지만 그동안 투자비회수는 된 걸로 알고 있는데요. 이제는 적절한 경쟁과 이윤추구가 수반되어야 하는데.. 그래야 서비스와 기술발전도 이룩할 수 있고요. 지금 통신사들 정책을 보면 밥그릇 언제 놓아야 할지 재는 것 같은 인상밖에 안풍깁니다.

mobizen

5만 5천원은 너무 비싸지요. 기본 요금도 SKT가 다른 통신사에 비해서 비싸지 않나요?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몇일 전에 전자신문에 나왔던 기사이다.

기사 초반에 언급되는 일부 이통사라는 것이 SKT는 별반 관심이 없고, KTF가 가장 적극적이라는 것을 제목과 본문에서 알 수 있다. 유선에서의 네이버가 가지는 브랜드 파워와 다양한 인프라를 고려해 볼 때 네이버의 정액제라는 것은 대단한 메리트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 BM의 Base에 검색이 있다면 조금 이야기가 달라진다. 풀브라우저를 통한 검색은 논외로 치고 일반 WAP 브라우저에서의 검색이 무선시장을 흔들만한 요소가 있는 것은 아니다.(일본의 특수성과 이통사내 컨텐츠 검색은 좀 다른 이야기가 되겠다.) 검색 자체가 큰 시장임에는 부정할 수 없으나 검색에서 로얄티라는 것은 없다. 어떤 자료를 찾기 위해서 여러 검색 사이트를 뒤지지 어느 한 검색 사이트를 뒤지지는 않기 때문이다. 우선순위에 문제가 있을 뿐이고, 이 우선 순위에서 국내 사용자들이 네이버를 가장 먼저 선호하고 있고, 어떠한 이유이던 대부분의 검색이 네이버의 결과로도 충분히 만족하기 때문에 다른 검색 사이트로의 유입이 작을 뿐이다.

무선에서의 검색이 유선에서의 검색과 동일하고 차별요소가 없다면 초고속 인터넷과 와이브로가 발달이 되어 있고 골목마다 PC방이 있는 우리나라 환경에서는 미래가 없다. 기본적으로 위치정보나 개인정보를 활용한 개인화된 결과를 내지 못하는 General한 검색 결과라면 정액을 지불하고 굳이 네이버 검색을 사용할 이유는 없다. 대부분의 정보는 Nate나 MagicN이 내는 결과로도 충분하며 네이버의 검색결과를 선호한다면 정액제가 아닌 지금의 서비스로도 충분하다.

검색을 근간으로 하여 모바일의 벽을 넘어설려면 네이버 검색은 좀더 모바일 환경에 친화적일 필요가 있다. 각 이통사들이 준비하고 있는 Mesh Up 서비스와의 연결하여 좀더 개인화된 결과를 보여주거나 TV의 연예 뉴스 프로그램에서 어떤 스캔들 기사를 내보내면서 아래에 자막안내를 하고, 그 안내에 따라서 "369#1"으로 문자를 보내면 그 기사에 대한 네이버 검색을 가진 CallBack을 리턴한다던가 하는 실시간 개념을 가져가는 등 말이다. 네이버는 물론 앞으로 더 많이 발전할 것이고 무선의 고려도 더 심화될 것이다. 하지만 당장은 아니다.
 
이 문제의 요지는 네이버 전용 요금제는 환영할만하고 활용방안이 많다. 그리고 검색서비스는 그 중에 일부일 뿐이라는 것이다. 자신이 운영하는 네이버 블로그에 리플이나 트랙백이 달리면 SMS로 알려주는 기능과 동일한 Level이다. 기사에서처럼 무선 인프라에 무임승차할만큼 우리나라 무선 환경이 개방적이지도 Active하지도 않다. 이러한 것은 해외의 무선 인터넷 검색도 마찬가지다. 아니라고 하는 분들은 나에게 객관적인 데이타를 던져보시라. 세계 우수 검색 사이트가 화이트라벨을 제외하고 이통사 Walled Garden 밖에서 선전하고 있는 경우가 있는지... 구글의 트랜스코딩 기술의 우위성 말고 시장 자료말이다.

2007/12/18 16:16 2007/12/18 16:16
떵꺼리

모든 걸(검색,메일,블로그...) 네이버로만 해결한다면 정액제 가입을 생각해보겠지만 그렇지 않은 현재 상황에서는 필요성을 못느낍니다.

mobizen

떵거리님의 리플과 관심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

포탈의 모바일 정책과 움직임에 대해서 문장 몇개로 언급하기가 쉽지 않은게 현재 무선의 상황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을 말씀 드리자면 네이버의 이러한 노력은 성공 실효를 떠나서 일반인들이 무선에 좀더 친숙하기 위한 하나의 과정으로 긍정적으로 판단하는 편입니다.국내 포탈 1위 업체로서 무선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 노력하는 모습에서 점수를 줄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오히려 무선에 무임승차 운운하는 것이 좀 오버이지요.. ^^

Posted
Filed under 리뷰
1. 들어가는 글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핸드폰에서 문자는 없어서는 안될 서비스로 자리 잡고 사용자들의 문자에 사용 빈도수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를 타겟으로 하여 다양한 문자 전송 서비스와 정액제 서비스가 나오고 있어서 문자를 즐기는 엄지족들을 즐겁게 한다. 오늘 리뷰를 할 SKT의 에코보드는 문자 서비스는 아니지만 이러한 문자 서비스의 부족한 점을 매워주는 훌륭한 서비스이다.

서비스의 컨셉에 비해 많이 알려지지 못한 서비스이다. 심지어 T World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에코보드로 검색을 해보면 검색결과가 나오지를 않는다. 예전 T World 홈페이지 개편때에는 커뮤니티 부가서비스 중에 하나로 분류가 되었는데 홈페이지가 리뉴얼 된 이후로는 어디로 갔는지 찾을 수가 없다. SKT 조차도 외면하는 이 서비스를 잘 이용하면 연말연시 모임 때 친구들에게 메시지를 한꺼번에 보낼 때에 일반적인 문자 전송보다 훨씬 쉽고 저렴한 가격에 보낼 수 있다.
이를 포커스하여 에코보드 서비스에 대하여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2. 에코보드란?

에코보드는 친구들을 특정그룹에 등록한 후 그룹별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그룹 커뮤니티' 서비스입니다. 초등학교 동창, 고등학교 친구, 동호회 멤버, 연인 등 다양한 그룹을 생성하고 친구들을 등록해 놓으면, 메시지 전송시 전화번호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없이 간단하게 그룹만 선택하면 됩니다.
또한 회원이 아닌 친구에게도 메시지를 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 전화가 없는 상황에서도 인터넷을 통해 글을 쓰거나, 확인할 수 있어 무척 편리합니다.
더불어 메시지 작성시 글자 수의 제한이 없고, 한번에 최대 30명까지 전송이 가능하면서도 비용은 일반 SMS보다 저렴하기 때문에 부담없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

위는 무선 Nate에서 에코보드를 소개하는 문구이다. 이러한 편리한 기능을 보유하면서도 잘 알려지지 않는 이유 중에 하나는 SKT에서 바라보는 이 서비스의 Define이다. 메시지 팀별 전송 서비스 정도로 Communication으로 구분했으면 좋았을 것을 뭔가 커뮤니티 성향을 시도해 보고 싶었나 보다.
접속을 하면 커뮤니티 서비스에서 볼 수 있는 베톡, 에코톡톡, 일촌, 채널 구독 등 처음 접하기는 다소 거부감이 있는 개념들이 먼저 눈에 띄인다. 오히려 이러한 복잡한 개념들이 에코보드의 진입장벽을 높여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필자의 경우에는 에코보드를 순순하게 메시지 전송 서비스로만 사용하며, 이에 대단히 만족하고 있다. 에코보드로의 접속은 아래와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3. 팀 관리하기

에코보드는 회원제 서비스이므로 서비스를 사용하려면 회원 가입을 먼저 해야 한다. 회원 가입을 한 이후에는 한꺼번에 전송할 팀을 생성해야 하는데 이러한 팀관리, 친구 관리등은 모두 "마이에코" 탭을 선택하면 할 수 있다. 휴대폰에서도 팀을 생성하거나 팀에 친구들을 추가할 수 있지만 불편한 핸드폰에서 입력대신에 에코보드는 2가지 좀더 편리한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첫번째는 VM을 이용하는 것이다. "휴대폰 주소록 씽크 VM"을 다운 받아서 설치 한 후, 실행을 하면 자신의 핸드폰에 있는 주소록이 그대로 에코보드로 자동으로 등록이 된다. 물론 VM은 무료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두번째는 에코보드 홈페이지(http://www.echoboard.co.kr) 에 접속하여 마이에코 안에 있는 팀관리를 선택하면 된다. 이 홈페이지에서는 자신의 인맥관리도를 볼 수 있는데, 자신이 등록한 사용자가 1촌, 1촌이 등록한 다른 사용자가 2촌이 되는 형태이다. 사용자가 적어서인지 필자는 2촌이 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4. 메시지 전송

사용자 삽입 이미지
팀을 선택한 후 제목과 본문은 입력하면 원하는 메시지를 보낼 수가 있다. 팀별로 등록되는 30명 한도내에서 그 팀이 몇명이던 메시지의 비용은 50원이다. 일반적인 SMS 가격보다 훨씬 저렴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SMS로 전달이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80바이트 한도를 넘어서도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

메시지 전송을 하면 왼쪽 그림과 같이 받는 사람에게는 에코보드 메시지가 왔다는 알림 SMS가 가게 된다. 메시지 받는 사람은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에코보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일반 사용자들이 아직까지는 데이터 정액제가 가입이 안되어 있다라는 것을 고려하면 받는 이들의 비용이 약간 걱정이 되며, 이는 에코보드의 가장 큰 단점이다.

메시지 전송 또한 에코보드 홈페이지에(http://www.echoboard.co.kr) 에서 가능하다. 웹에서 메시지를 전송할 경우에는 2M이하의 이미지까지 첨부가 가능하다. 일반글 외에 투표유형의 글도 입력이 가능하여 송년회 모임 장소나 일시 정할 때 사용하면 유용할 듯 하다.

에코보드 VM은 두가지 종류가 있는데, 앞서 설명한 "휴대폰 주소록 씽크 VM"과 "모바일 에코보드 VM"이다. 모바일 에코보드 VM을 설치하면 휴대폰으로 에코보드 메시지를 보낼 때 좀더 편하게 보낼 수 있다. 카메라로 찍은 사진 첨부도 가능하므로 유용할 수 있다고 하겠다.



5. 마치는 글

에코보드의 근본적인 문제점은 서비스 기능에 대한 정의가 명확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Communication을 기반으로 하고 모바일 친화적인 Community를 원하는 것이라면 Communication의 편의성을 좀더 제공했어야 한다. 일반사용자들이 아직까지는 꺼려하는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 대신에 MMS나 80바이트 한계가 있더라도 SMS를 이용하는 것이 좋았을 것이다. 혹시나 무선인터넷 접속의 빈도수를 높이는게 바램이었다면 그 바램덕분에 에코보드는 소비자에게 외면을 받을 것이다.
만약에 에코보드를 Communication 서비스로 정의한다면 월정액을 좀더 보강하고 일촌이나 베톡과 같은 부가기능을 없앤 좀더 심플한 서비스를 해야 한다. 대신 Text와 이미지로 한정지어지는 메시지 대신에 동영상 서비스나 위치 정보나 개인 정보를 이용한 메시지 전송등 모바일만의 특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서비스의 불안정도 심각한 문제이다. VM에서 WAP으로 넘어갈 때 나오는 WAP 서버 무응답이나, 회원가입 할때 몇번 씩 보아야 하는 서버 에러, 심지어 홈페이지에서도 심심치 않게 보여주는 org.apache.jasper.JasperException 메시지들은 서비스의 완성도를 의심하게 한다.

에코보드의 여러 명과의 의견을 동시에 모바일로 나눌 수 있다는 컨셉은 분명히 훌륭하다. 그러한 컨셉을 잘 살리고 명확한 서비스 Define으로 인해 또하나의 훌륭한 모바일 서비스가 나오기를 희망한다.
2007/12/13 01:39 2007/12/13 01:39
떵꺼리

30명에게 SMS를 전송하는데 50원이라니 이 부분이 궁금하네요.

mobizen

안녕하세요 떵꺼리님~
본문에서 이미지와 글로 여러차례 설명했던 내용입니다.
에코보드는 SMS로 메시지가 가지 않습니다. SMS는 알림 기능만 합니다.

박종일

비슷한 개념의 서비스로 KTF의 문자 그룹 서비스가 있습니다.
작년에 다른 이통사와 유사 프로젝트를 했었는데. 결국 3사 메시지 연동 부분에서 SKT가 거부하는 바람에 반쪽짜리 서비스가 됐었습니다(지금은 KTF 고객만을 위한 서비스가 됐죠)
고객만을 생각한다면 콜백을 통한 VM이던 WAP이던 접속없이 그룹메시지를 받을수 있는게 훨씬 좋을 텐데말이죠^^
http://www.magicn.com/index.asp?code=CDE0000

mobizen

정보 감사드립니다.
이통사들을 설득하는게 쉽지 않죠.... 안타까운 일입니다..

Posted
Filed under 리뷰
1. 들어가는 글

현대인들에게 가장 중요한 서비스인 이메일과 모바일의 결합이라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서비스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에는 서비스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근래 들어 서서히 국내 통신사들과 포탈 사업자간의 제휴를 통해 메일 확인을 휴대폰으로도 확인이 가능해지고 있고, 포탈이 아닌 기업형 메일 서비스도 개발이 완료되어 준비를 서서히 하고 있다.
현재 SKT에서 제휴를 통해 E-mail 서비스를 하고 있는 포탈은 다음, 네이트, 야후 코리아, 코리아닷컴, 파란 등이다. 금번 리뷰에서는 필자가 사용하는 Nate.com 메일을 기준으로 하여 모바일에서 E-mail을 확인하는 서비스를 리뷰해보고자 한다. 다른 포탈들도 사용방법은 대동소이하고 사용법이 어렵지 않으므로 참고하면 될 듯하다.



2. 접속 방법 및 가입 인증

사용자 삽입 이미지

네이트 메일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위의 경로를 통해 접속하면 메일 확인이 가능하다. 처음 접속을 할 때에는 아래 절차를 통해서 가입을 해야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입을 한번 이라도 한 사용자는 좌측의 이미지와 같이 로그인 창이 나타나게 된다. 휴대폰의 일반적인 로그인 방식인 자동 로그인을 메일에서는 지원하지 않는다. 좌측 이미지의 하단부에 나와있는 공지사항과 같이 고객들의 개인정보보호를 위함이다.
여기서 로그인하는 비밀번호는 유선 네이트에서 사용하는 비밀번호가 아니라 무선에서 가입할 때 사용한 비밀번호임으로 착오 없기를 바란다.

이후의 사용법은 극히 간단하다.
네이트 메일의 기본 메뉴는 4가지인데.

- 받은 메일함
- 기타 메일함
- 메일쓰기
- 외부 메일 받기

로 구성되어 있다.

받은 메일함에서는 일반적인 메일서비스와 같이 본인에게 온 메일을 확인할 수 있으며, 기타 메일함에서는 보낸 메일함, 임시 보관함, 휴지통을 관리할 수 있다. 기타 메일함에서 사용되어지는 폴더는 유선에서 추가나 변경이 가능하다. 메일 쓰기에서는 메일을 보낼 수 있고, 외부 메일 받기는 유선 네이트에서 설정해 놓은 POP3를 지원하는 외부 메일을 받아 볼 수가 있다.



3. 무선만의 서비스

메일을 받고 보내기만을 하는 기본 기능으로는 모바일만의 특징이 없을 것이다. 하지만 SKT 에서는 무선만의 메일 서비스가 있다. 이들을 표로 정리해 보자면 아래와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메일 알림 Plus는 해당 메일 내용을 첨부된 이미지까지 MMS를 이용하여 받아 볼 수 있는 것이고, 퀵메일 알림은 VM 을 통하여 유선 Web과 동일한 UI로 실시간 확인하는 서비스이며, 메일 알림은 단순히 메일 도착 유무를 SMS로 알려주는 서비스이다. 이중에서 가장 사용이 편한 메일알림 Plus를 알아보도록 하자.



4.  메일 알림 Plus

사용자 삽입 이미지
네이트 메일 알림 Plus는 메일의 제목, 날짜, 본문 내용 및 이미지까지 한번에 무선 인터넷 접속없이 핸드폰으로 받아볼 수 있는 서비스이며 현재 WCDMA폰은 지원을 하지 않는다. 정액제 서비스이므로 주민등록 번호와 Nate 메일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으로 가입을 해야 한다.

MMS로 전송되는 Delay 타입 때문인지 NateOn의 메일 알림 서비스보다 10-20초 정도 늦게 도착했지만 실시간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의 시간차였다.
MMS이기 때문에 목록에서는 초기 화면만 보이고 Play를 선택하면 메일의 전체 내용을 볼 수가 있었다.

보낸 사람, 보낸 시간, 제목, 본문 내용등을 충실하게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메일의 내용을 PC없이도 이해하는데에 별 무리가 없다. 만약에 메일의 본문 내용보다는 메일이 왔는지에 대한 여부가 더 중요한 사용자라면 "메일 알림 Plus"보다는 "메일 알림"을 추천한다. "메일 알림"으로 문자가 오면 그 즉시 옆에 있는 PC를 통해 메일 확인을 하면 된다.

요근래 메일은 대다수 Text형태 보다는 html 형태를 띄고 있어 메일 가운데에 그림이나 표 등이 자리하고 있을 때가 많다. 이러한 메일을 어떻게 표시하는지는 아래와 같다. 이미지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이미지와 표의 표현을 제대로 하지는 못하고 있지만 본문 내용을 이해하는데에는 크게 무리가 없다. 물론, 메일의 내용과 이미지가 주는 중요도에 따라서 이는 달라질 것이다. MMS라는 플랫폼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 부분은 당분간 큰 개선을 없을 듯 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5. 문제는 스팸 메일

메일의 확인을 실시간으로 하는 사람 입장에서 해당 메일을 MMS로 실시간으로 알려준다는 것은 굉장히 편한 점이 있다. 하지만 특정 규칙없이 오가는 모든 메일을 알려주는 것은 약간 아쉬운 점이다. 스팸 메일이 가장 큰 문제이다. 인터넷 환경에서도 큰 문제가 되는 스팸은 기본적으로 메일 서버에서 처리를 해줘야 하는게 맞기는 하지만 무선에서도 어느 정도 장치를 해 놓았으면 하는 바램이다.

예를 들면 주소록이 있어서 그 주소록에 등록된 사용자에게서 온 메일만 알려준다던가, 제목에 특정 글자가 있을 때에만 알려준다던가를 좀더 사용자 설정을 통해 정밀하게 제어했으면 하는 바램이다. 스팸은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고 매일 같이 오는 뉴스 클리핑과 같은 내용을 굳이 실시간으로 받아볼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메일은 공짜라는 인식이 강한 환경에서 모바일 메일 서비스가 어떠한 사용자의 Needs를 채워줄 수 있을지는 서비스 사업자와 이를 활용하는 사용자에게 달려 있다. 하나하나 메일이 소중한 통신판매업자나, 인터넷 딜러, 그리고 각종 모임에 대한 정보 관리가 필요한 이들에게는 이러한 서비스가 무척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이 된다. SKT가 현재 준비하고 있는 기업형 메일 서비스에서도 이러한 서비스가 확대되어 사용자층이 넓어졌으면 하는 바램이다.
2007/12/05 15:20 2007/12/05 15:20
베짱이

그럼 뭐합니까? 읽을 메일은 없고, 다 스팸만...

mobizen

네이트 메일의 스팸 기능이 좀 개선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죠~
저의 경우는 네이트 메일이 주사용 메일이라서 유용하게 사용하는 편입니다. ^^

땡초

저도 해보려고 들어가보니, 전 LGT 더군요 +_+
아쉽습니다.
회사 방화벽때문에 꼭 필요한 기능이었는데

mobizen

LGT는 저도 잘... ^^

LGT는...

LGT는 네이버, 다음에 바로 갈 수 있도록 메인에 연결해놨죠. 오픈존이라는 곳에 들어가면 네이버/다음 메일로 바로 갈수도 있고... 전 네이버 메일 쓰는데 꽤 유용해요 ^^

mobizen

네. LGT는...님 정보 감사드립니다.
알려주신 내용은 WAP 상에서 일반적인 메일 확인을 말씀하시는 것 같네요.

참고로, 다음의 경우 이동통신 3사 모두 동일한 서비스로 메일알림 Plus, 퀵메일 알림, 메일 알림 3개 서비스 모두 하고 있구요.
네이버의 경우는 메일 알림 Plus를 네이버 폰메일이라는 브랜드로 KTF만, 메일 알림 서비스는 SKT, LGT만 서비스 하고 있습니다.

또한 네이버의 휴대폰 메일 서비스의 경우 본문에서 제가 언급했던 보낸이 설정, 수신시간 설정등으로 원하는 메시지만 알림 서비스 지정을 할 수 있습니다.

park

항상 좋은 글들 잘 읽고 있습니다.
님의 블로그는 모바일에 종사 하시는 분이라면, 거의 다들 아시더군요.
휴대폰으로 메일을 보기도 어렵지만, 작성하기는 더 어렵습니다.
MMS 로 동영상, 사진을 보낼 수 있다지만, 950Kbyte 로 한정되고, 사용이 불편합니다.
아래 사이트 참조해보시면,
http://m2me.co.kr:5000/playground/mail.asp
최대 10 M Byte 까지, 바로 찍어서 바로 보낼 수 있는 프로그램 이 있습니다.

mobizen

Post VM 어플이군요.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