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2011년 6월 21일부터 시작된 방송통신위원회의 휴대폰 보조금 시장 조사로 인해 전체 휴대폰 시장이 활기를 잃어갔다. 통신사들은 27만원을 초과한 보조금을 일체 중단하였고 신규 가입자 및 MNP 시장이 다소 침체기에 빠져들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략 스마트폰 판매는 호조를 이어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6월말, 전체 이동통신가입자는 51,750,197명으로 전월대비 3,859명이 감소하였다. 가입자수가 감소한 것은 2004년 8월 이후 7년만에 처음있는 일이다. 이는 6월말을 목표로 2G 서비스 종료를 위해 KT가 2G 가입자 정리를 했기 때문이다. KT는 2G 휴대전화 사용자 가운데 요금 미납으로 인한 가입자를 정리하기 시작했고 망 감시에 사용하는 업무용 2G 휴대전화도 일괄 해지하였다. 통신사별 전월대비 증가율은 SKT 0.2%, KT -0.6%, LG U+ 0.4%를 각각 기록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체 MNP 시장 규모는 전월 대비 8.4% 감소한 86만2513건으로 집계되었다. 전체 시장은 침체기였지만 올해 들어 5월 다음으로 높은 번호이동 건수를 기록하였다. 6월 MNP 시장은 KT와 LG U+의 승리라고 요약할 수 있다. KT와 LG U+에서 SKT으로 옮긴 가입자의 감소비율은 줄어든 데 비해 SKT에서 두 회사로 옮긴 가입자수의 감소율은 더욱 커졌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단말 판매 점유율에서는 LG U+만 유일하게 전월대비 1.5% 감소하였다. 이는 LG U+의 부진은 베가 X+ 출시 이후 LG U+용 팬택 단말 판매가 급감했기 때문이다. SKT는 100.6만대 판매로 전월대비 점유율은 0.6% 상승하였고, KT는 66.1만대로 전월대비 점유율 0.9% 상승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단말판매량은 5월 대비 하락했지만 6월 시장은 여전히 뜨거웠다. SKT의 단말 판매는 전월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하였고 KT와 LG U+도 5월을 제외하면 대체적으로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방통위 조사 덕분에 통신사 마케팅은 소극적이었지만 일부 스마트폰 판매 호조는 지속되었고 KT의 2G 종료가 예정대로 진행되지 않는 탓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마트폰 판매 호조를 이어 나간 단말은 갤럭시 S2, 아이폰4, 옵티머스 빅, 옵티머스 블랙, 미라크 A 등이다. 이미 국내 스마트폰 가입자는 천오백만명을 돌파하였고 전체 신규 단말 판매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2%였다. 이로 인해 6월 전체 휴대폰 판매량은 5월을 제외하면 2011년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삼성정자는 갤럭시 S2의 판매 호조가 3개월 동안 지속되면서 53.3% 시장점유율을 유지하였다. LG전자는 옵티머스 빅과 블랙의 판매 급증을 하면서 2개월 연속 시장점유율 증가를 기록하였다, 반면, 2011년 2월 21.0%를 기록하던 팬택의 시장점유율은 베가 S와 베가 X의 판매가 급감하면서 5개월 연속 감소한 모습을 보여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SKT용 갤럭시 S2는 판매량 25만대를 기록하면서 3개월 연속 1위를 기록하였다. 통신 3사의 갤럭시 S2가 판매량 1위~3위에 등극하면서 전체 판매량의 22.7%를 차지하는 기록을 세웠다. 단말 판매 Top 5는 옵티머스 빅만을 제외하고는 모두 삼성 스마트폰이 차지하였다. 이 외에 미라크 A, 갤럭시 지오, 테이크 2 등의 보급형 스마트폰도 좋은 시장 반응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2011/08/07 23:15 2011/08/07 23:15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대면 창구거래'가 가장 적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은행에 방문하여 창구를 통해 업무를 보던 전통적인 금융 서비스 이용 방법이 바뀌고 있다. 2011년 6월 기준으로 '대면 창구거래 이용 비중(12.6%)'이 '텔레뱅킹(12.8%)' 보다 작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5년 1분기 이후 최초로 벌어진 일이다. 물론, '인터넷 뱅킹'의 이용 비중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정체되는 인터넷 뱅킹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11년 2분기 기준, 전체 인터넷 뱅킹(PC뱅킹와 모바일 뱅킹)의 등록 고객수는 7,000만명을 돌파한 7,088만명으로  집계되었다. 이러한 수치는 전분기 대비 2.7%가 증가한 것이다. 고객수 증가에 반해 실제 뱅킹 이용은 다소 정체된 상황이다. 이용건수는 전분기대비 0.7%, 이용금액은 0.2%만 증가된 것에 그쳤다.


빠르게 성장하는 모바일 뱅킹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인터넷 뱅킹'을 견인하는 것은 더 이상 PC 뱅킹이 아니다. 모바일 뱅킹이 빠르게 비중을 높이면서 이용 환경을 바꿔 가고 있는 것이다. 전체 인터넷 뱅킹에서 모바일 뱅킹이 차지하는 비중은 이용건수 18.4%, 이용금액 1.9%를 각각 기록하였다. 2010년 1분기때의 9.0%와 1.2%와 비교하면 얼마나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일평균 이용건수가 700만건을 넘어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바일 뱅킹의 일평균 이용건수는 조회 서비스 645만건, 자금 이체 70만건이다. 전분기 대비 5.8%, 10.7%를 각각 증가하여 시장 변화를 이끌어 내고 있다. 모바일 뱅킹의 급성장은 단기간에 가입자 천오백만명의 가입자를 이루어낸 스마트폰 때문이다. 2011년 2분기의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뱅킹 이용건수 및 금액은 512만건, 2989억원으로 31.5%, 37.1%의 증가율을 각각 기록하였다.


스마트폰 전용 App이 대세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바일 뱅킹 사용자는 1952.3 만명으로 집계되었고 조만간 2천만명을 돌파 할 것으로 보인다. IC칩 방식 가입자는 2010년 3분기 이후 서서히 감소 중이며, 각 은행에서 개발한 스마트폰 전용 App은 급성장을 보여주며 조만간 VM 방식을 넘어설 것이다. 대부분의 은행 전용 App은 iOS, Android를 기본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최근 윈도우 모바일과 블랙베리 등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사용자 만족도도 높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하기 어려웠던 과거 모바일 뱅킹의 방식에서 최근 전용 App 중심으로 바뀌면서 사용자들의 만족도도 크게 높아지고 있다. compete.com의 조사에 의하면 응답자의 44%가 모바일 뱅킹이 유용하다고 답변해 27%에 해당하는 부정적인 의견보다 월등히 높았다. 사용자 인증의 편의를 높이기 위해 LG U+가 금융보안연구원과 범용가입자식별모듈(USIM) 기반의 모바일 OTP 인증서비스 구축하는 등 지속적으로 고도화될 전망이어서 앞으로 더욱 기대가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기술보다 중요한 것은 새로운 가치


다양한 보고서에서 세계에서 모바일 금융이 가장 활성화된 나라로 케냐를 소개한다. 아프리카 동부의 작은 나라에서 3800만명의 인구 중 700만명이 모바일뱅킹(M-PESA)를 이용하고 있다.

케냐가 모바일뱅킹이 일반화될만큼 새로운 기술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휴대폰에 자신의 은행 계좌를 설정하고 물건을 구매할 때나 지인들과 돈을 주고 받을 때 현금대신 SMS를 사용한다. 기존 오프라인 은행 영업망이 불편하기 때문에 휴대폰을 통한 은행 업무 처리에 대한 사용자 니즈가 높아졌고 이를 빠르게 대응해 준 것이 주효했다.


스마트폰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당분간 모바일 뱅킹 시장은 빠르게 증가할 것이다. 지금은 방어적인 전략에서 비슷한 기능의 App을 개발하고 플랫폼 확장을 하고 있다. 하지만 모바일만의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주지 못한다면 기존 PC 시장의 고객을 모바일로 이동(Shift)한 것말고는 의미를 찾기 힘들 수 있다. 오프라인 은행 이용이 불편한 시골에서 사용하기 쉽게 한다던가 모바일에 최적화된 새로운 상품을 개발해야 할 시점이다.
2011/08/05 08:04 2011/08/05 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