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모바일 산업은 전세계 GDP의 2%를 차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Chetan Sharma Consulting의 최근 보고서에 의하면 2011년 모바일 시장은 1조3천억달러 수준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규모는 전세계 GDP의 2%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아직까지는 전체 규모 중 52%를 음성매출이 차지하고 있지만 메세지, 앱/서비스의 매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비중 구조도 많은 변화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제조업 의존도가 높은 국내 모바일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 시장의 구성을 살펴보면 전세계 모바일 시장과는 몇가지 큰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대표적인 차이점은 제조업(디바이스)이 차지하는 매출 비중이 전체 평균 15%에 비해 매우 높다는 점이다. 2007년 국내 모바일 산업은 휴대폰 제조업이 6.2조원, 이동통신 서비스는 19.3조원 규모로 전체 비중이 각각 24.31%와 75.69%이다. 국내 모바일의 제조업 의존도는 해가 갈수록 높아져서 2010년에는 33.13%까지 증가하였다.

국내 휴대폰 제조업이 성장하고 있다는 사실만은 무척이나 기쁘고 자랑스러운 일이다. Big 5에 포함되는 삼성과 LG가 버티고 있으며 팬택계열도 꾸준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최근 몰락하고 있는 노키아의 모습을 보면 당분간은 반사이익으로 국내 제조사들에게 더욱 많은 기회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서비스 산업이 제조업과 동반상승하여 상호 시너지를 내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아쉬움이 남는다.


국내 모바일 컨텐츠 시장은 뒷걸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장 규모 추이를 보면 스마트폰 대중화와 방통위의 수많은 전략 보고서들이 무색할 정도로 국내 모바일 컨텐츠 시장은 감소하고 있다. 2007년 7.27 억달러 규모에서 2009년 6.04 억달러 규모로 마이너스 성장을 한 것이다. 이를 전체(Global) 시장을 기준으로 한국 모바일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으로 계산을 하면 더욱 심각해진다. 2007년 4.83%였으나 2008년 2.77%, 2009년 2.17%를 각각 기록하여 국내 시장이 전체 모바일 컨텐츠 시장의 성장을 전혀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본 BM은 더욱 취약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국내 시장의 성장율이 글로벌 시장에 비해 떨어지는 것은 일반 서비스 분야 뿐만은 아니다. BM의 기본이 되는 모바일 광고 역시 마찬가지이다. 전세계 모바일 광고 시장 규모에서 국내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을 비교해보면 2009년 2.85%, 2010년 2.46%, 2011년 2.30%, 2012년 2.35% 으로 점차 하락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모바일 광고 시장이 상대적으로 느린 성장을 한다는 것은 전체 산업의 BM 구성을 다시 생각해 보아야 한다는 위기감을 느끼게 한다.


컨텐츠 사업자들의 어려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러한 현상은 너무도 당연히 컨텐츠 사업자들의 성공 사례가 없고 그 생명력이 약하기 때문이다. 시장상황의 어려움 속에서도 컨텐츠를 생산하는 부가통신서비스 사업자들의 양적인 팽창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2004년 671개 업체에서 2009년 1,192개 업체로 폭발적인 성장을 한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매출액 추이를 비교해 보면 무선통신서비스(인프라)는 2004년 14.6조원에서 2009년 19.6조원으로 계속되는 성장을 하고 있다. 반면에 부가통신서비스는 제자리걸음만 하고 있다. 2004년 2.9조원 규모에서 2009년 5조원 규모로만 성장한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매출액을 업체수로 나누어 보면 서비스 사업자들의 제자리 걸음을 더욱 뚜렷하게 볼 수 있다. 무선통신서비스의 경우 업체당 2004년 1.2조에서 2009년 1.7조로 성장한 반면 부가통신서비스의 경우 2004년 43.2억원에서 2009년 40.3억원으로 소폭 감소했다.


소규모 업체가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

스마트폰 가입자 1500만명, IT 강국, 통신3사 모두 4G를 광고하면서 차세대 모바일 서비스를 논의하는 나라의 성적표치고는 위의 여러 수치는 다소 참옥하다. 이는 대형 기업 위주로 산업이 형성되고 있으며, 모두들 '컨텐츠가 중요하다'고 하면서도 기술에 대한 투자와 환경을 만드는 일에는 인색했기 때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애플 앱스토어에 등록된 국내 업체의 구성을 보면 소규모 개발 전문 업체와 1인 개발자 기업의 비중이 현저히 많다. 누구보다 빨리 변화에 적응하면서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는 것이다. 컨텐츠가 중요하다는 인식만큼이나 이들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 조성과 규제의 재정비, 정부 기관의 실질적인 투자 등이 필요하다. 환경이 바뀌지 않는다면 해외 업체들에게 서비스 영역의 모든 것을 내놓아 할지 모른다.
2011/07/19 08:29 2011/07/19 08:29
kwon

모바일 시장에 관해 공부중인 학생입니다.
좋은글 많이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번 연구 발표떄 쓸 pt용으로 스크랩해 갑니다.
감사합니다 ^^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세계 휴대폰 시장에서 Smart Phone이 차지하는 비중은 44% 정도이며 국내 시장에서는 73.7%에 이른다. Smart Phone은 단말 판매량과 함께 App Store와 Mobile Web을 통해 IT 산업 전체를 변화시키고 있다. 이제는 Smart Phone이 Main Stream이 되었다는데 이의를 제기할 사람은 없을 듯 하다.

관련한 보고서들과 자료들은 넘쳐나고 있지만 시장 트렌드의 변화가 너무 빠른 관계로 기본적인 자료를 구하려 해도 생각보다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그런 분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이번 포스팅에서는 Smart Phone에 관련한 몇가지 시장 자료를 정리하여 공유하고자 한다. 몇몇 보고서들은 혼합하여 재구성한 내용도 있으니 디테일한 발란스는 맞지 않을 수 있음을 참고하기 바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9년 1분기, 3600만대 수준이었던 Smart Phone 판매량은 2011년 1분기에 1억대의 규모로 성장하였다. 2년만에 276%의 규모로 시장이 급성장한 것이다. 이렇게 빨리 대중화 될 수 있었던 것은 보급형 Smart Phone이 나올 수 있게 한 Android의 역할이 매우 크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Android의 활약은 실제 Smart Phone OS의 시장 점유율 추이를 비교하면 더욱 명확해 진다. 2009년 3.9%에 불과했던 Android의 M/S는 2011년 1분기 36.0%로 성장하였고 지금과 같은 추이라면 2015년에는 43.8%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반해 2009년 46.9%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며 '영원한 1위'로 여겨지던 Symbian은 빠르게 시장지배력을 잃어가고 MS와의 제휴를 통해 OS 전략을 수정하면서 2015년에는 0.1%에 불과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iOS는 14~18% 정도의 M/S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Symbian을 기반으로 오랫동안 시장을 지배했던 Nokia는 2012년 4분기에는 19.4%까지 M/S가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삼성전자는 갤럭시 시리즈를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시키면서 빠른 성장을 하고 있다. 이번에 출시한 '갤럭시 S2'를 통해 더욱 탄력을 받아 2012년 4분기에는 18.4%의 M/S로 Nokia와 대등한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렇다면, Smart Phone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구성은 어떻게 될까? Nextplora의 최근 발표 자료에 의하면 Smart Phone은 남성의 비중이 64%로 여성보다 더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에 Feature Phone은 여성의 비중이 더 높다. Smart Phone이 아직은 Early Adopter적인 성향이 남아있고 Feature Phone에 비해 단말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연령대별로는 25~54세 사이의 비중이 Smart Phone이 더 높았고 전반적으로 젊은 연령층이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55세 이상 사용자들은 Feature Phone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Smart Phone 사용자들의 무선인터넷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너무 당연한 이야기이다. 하지만, 주말에 비해 평일 사용율이 더 높고 퇴근 시간과 저녁 시간때의 Traffic이 증가하는 것은 Feature Phone 사용자와 동일한 패턴이다. Mobile Device의 고유한 사용행태로 해석되어 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Smart Phone이 완전히 장악하고 있는 국내 휴대폰 시장은 2011년까지 약 1800만명 정도의 사용자를 확보할 것으로 보인다. 2015년까지 4,529만명까지 가파르게 성장하여 전체 시장을 주도할 것이다. 이러한 수치는 오랫동안 무선인터넷 시장에서 버텨온 일원으로서 감개무량하다. 하지만, 이제는 Smart Phone과 Mobile이 아니라 Connected Device와 N Screen을 준비하고 뛰어야 할 시기이다. 주요 키워드가 바뀐 만큼 새로운 시각으로 시장을 해석해야 할 필요가 있다.
2011/07/06 10:13 2011/07/06 10:13
BINU

좋은 내용 잘 보고 갑니다...^^;

미니미니미

매번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

김용식

소중한자료 잘 보았습니다...너무 감사합니다...

박효원

리플을 잘 다는 성격이 아닙니다만, 정말 이번 자료는 최고입니다.

paul jang

genius phone 이라는 이름으로 나와야 할듯합니다..

한종호

훌륭한 자료 감사 드립니다. 항상...

최종화

매달 좋은 자료 등록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우리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김태흥

잘 보았습니다.

giguzzang

감사합니다. 정말 좋은 자료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