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6. MDM

Device의 문제점을 Fix하는게 Vendor의 주요 관심사라면 MDM은 이통사의 주관심사이다. MDM에 대한 이통사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FOTA 기술의 사용 주체도 서서이 이통사로 이동을 할 전망이다.
MDM는 Mobile device management의 약자로 이통사, 핸드폰 개발사, 사용자간의 ecosystem 이라고 할 수 있다.
MDM는 이통사가 FOTA를 통하여 install을 하거나 Active하거나, 관리, 지원, 서비스 update, Application update를 통신사가 원격으로 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InnoPath에서 발행한 MDM White Paper에서는 MDM의 구성요소를 3가지로 이야기 하고 있다. 각각은 Firmware 관리, Configuration 관리, Diagnostics 관리 이다. 이통사가 MDM에 관심을 두는 이유는 MDM을 통해서 새로운 서비스나 기능을 추가할 때 기존폰을 흡수하기가 용이하고, 운영, 지원에 대한 Cost가 줄어들어 고객의 충성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7. FOTA 표준화

Open Mobile Alliance(OMA)내의 워킹 그룹에서는 FOTA 에 대한 프로토콜의 표준화에 대해서 진행 중이다. 관계된 프로토콜로는 OMA DM 1.1.2, OMA DM1.2, FUMO 1.0. 등이다. 대부분의 GSM과 일부 CDMA에서는 이 OMA DM의 스펙을 적용하기로 하였다.

한편, FUMO(Firmware Update Management Object)에서는 2006년도 중반에 OMA DM 서버와 OMA DM 클라이언트 사이의 보다 상세한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표준을 발표하였다. delta 파일에 대한 상세 스펙과 파일의 물리적 위치, 다운로드와 업데이트의 각 단계등이 이에 포함되었다. FUMO 1.0을 적용한 첫 핸드폰은 2007년 상반기에 출시되었다.

Bitfone에 의해서 2003년에 설립된 OTAFF(OTA Flash Forum)은 OTA(FOTA에서 F를 뺀것) flash update를 위한 상용화 적용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그룹이다. Bitfone을 비롯하여 LG, Motorola, Sprint, Orange, T Mobile 등 약 32개사가 가입이 되어 있으며 작성되어진 제안서는 OMA에 의제로 제출이 된다. "Best practice"라는 제목의 White paper와 FOTA의 보안등에 관련된 문서를 제작하여 게제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에 관심있으면 http://www.otaflashforum.org 에 가서 둘러보면 알 수 있다.


8. 국내 현황

국내에서의 FOTA는 Vendor는 그다지 관심이 없는 듯 하다. 팔고나면 더 이상의 고객이 아니고, 단순 전화회사말고 더 큰 비전을 꿈꾸지 못하는 국내 Vendor의 입장에서는 당연한 현상이다. 오히려 SKT와 KTF는 올해안으로 MDM도입을 하기 위해 움직이고 있는 모습이다. 이통사들의 MDM시스템 구축바람은 이노에이스·와이즈그램·휴미트 등 국산 모바일 솔루션업체에 새로운 기회가 되고 있다. 이미 시장을 선점 중인 이노패스·비트폰·인시그니아 등 해외 업체에 맞서 서비스 특화작업을 서두르고 있다.
국내업체 중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업체는 이노에이스(대표 김종식)로 이미 SKT의 MDM 구축작업을 외국업체인 비트폰과 이노패스 등과 공조해 진행하고 있다. 이 회사는 이 서비스를 통해 역량을 축적, 해외시장 개척도 추진할 예정이다.

SKT는 2G부터 적용하고, 3G에 목숨거는 KTF는 3G에 우선적으로 적용을 할 예정이다. 실제 적용이 되는 폰은 년말이나 내년초에 나오지 않을까 예상을 해본다. 이통사가 적용하려는 MDM 기술은 현재로서는 초기 단계인 Bug Fix에 초점을 맞추겠지만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다양한 서비스 Update에 적용한다면 침체된 무선시장의 활기를 줄 수 있는 작은 요소가 될 수 있을거라 기대해 본다.


9. 마치는 말

FOTA의 원론적인 용어는 air를 통해 update하는 것이지만 실제 적용 기술은 PC Sync를 통한 Cable update도 포함이 되어 있다. 어떤 경로이던 새로운 기능과 새로운 서비스를 기존의 폰이 수용할 수 있다라는 것은 매력적인 기술이다.

국내에서는 다소 생소란 FOTA는 해외 Vendor들에게는 무척이나 일반적인 기술이다. 이러한 기술을 해외에는 이미 적용하고 있는 국내 Vendor들이 국내향 모델에는 적용할 생각을 하지 않는 것은 그들의 서비스 마인드를 나타내는 것 같아 씁쓸하다. 그나마 고객을 통해 다양한 부가가치 서비스를 고민하는 이통사들이 MDM 도입을 고려하는 것은 다행한 일지만, 이통사의 update Focus와 Vendor의 update Focus가 다를 수 밖에 없는데, 국내 기업에게는 기대하기는 힘들 것 같다. 기술의 발달을 따라오지 못하는 운영 마인드가 아쉽다..

2007/07/26 10:30 2007/07/26 10:30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본 휴대전화 이용자 수는 전체적으로 97,579,000 명이며 NTT가 54%, KDDI가 29%,소프트뱅크가 17%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1분기때 조사 자료와 비교를 해보면 NTT의 점유율은 그대로 이지만 KDDI가 상대적으로 하락세이고 소프트뱅크가 상승을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소프트뱅크의 이러한 상승 원인은 MNP 시행 이후에 순증 가입자에서 꾸준히 1위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골찌였던 업체가 MNP를 기회요인으로 삼아 다양한 서비스 개선, 핸드폰 라인업 관리, 마케팅, 프로모션을 펼치고 있는 것이 빛을 보는 것이다. 같은 MNP를 시행하고도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는 국내 현실과는 비교가 되는 점이다.
2010년부터는 SIM LOCK 제도도 폐지가 되고, 번호 이동을 하여 통신사를 바꾸어도 보유하고 있는 핸드폰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끔 한다고 하니 결국은 무선인터넷 서비스와 컨텐츠의 질이 더 중요해지는 시장이 될 것으로 보이며 MNP로 인한 시장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일본의 휴대전화 시장은 약 47,260,000 대 규모이며 삼성, LG, 팬텍 외에 이러타 할 업체가 없는 국내와는 달리 10 개 이상의 업체가 각축을 하고 있으며 이중에서 샤프가 선두이며, 파나소닉, NEC, 도시바, 후지쯔등 있다. 일본 일을 하다보면 1위업체가 아닌 NEC, 도시바등도 제품의 질에 깐깐하게 신경쓰는 것에 혀를 내두룰 수 밖에 없다 그들의 장인 정신은 인정해줘야 한다.(후위권 업체인 윌컴 등은 제외)

위의 자료는 일본 사)전기통신사업자협의회에서 2007년 6월 7일날 발표한 자료를 정보통신국제협력진흥원에서 재구성한 것을 인용한 것이다.
2007/07/04 09:43 2007/07/04 09:43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저번 "모바일 검색에 대한 단상" 포스트에서 모바일 검색 시장을 크게 3가지로 분류를 했다. 이 3가지는 다분히 국내 현실에 맞춘 것으로 한가지 사항이 빠져있다. 그것은 무선 사이트 검색이다.
즉, 이통사 포탈 밖에 있는 무선 사이트를 검색해서 결과를 알려주는 것이다. 가장 일반적인 검색의 개념이기는 하지만 정작 현실에서는 찾아볼 수가 없다. 무선 사이트를 가지고 있는 업체가 국내에는 이통 3사 포탈과 요 근래 망개방 이슈로 준비하고 있는 몇몇 업체들을 제외하고는 없기 때문이다. 이는 국내뿐만은 아니고 세계적으로 비슷한 분위기이다.

거의 유일하다고 싶을만한 예외인 나라가 있으니, 그 나라는 무선인터넷의 천국이라는 일본이다. 일본은 이통사 안의 Walled Garden 컨텐츠 외에도 비공식 사이트가 예전부터 발달해왔다. 대부분의 컨텐츠를 무료로 운영하며 광고수익등으로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일본만의 이 독특한 문화는 역시나 Access Point가 문제이다. 직접 URL 입력이나 QR코드를 제외하면 거의 접근할 수 없었던 상황이 모바일 검색의 발달로 인해 서서히 다양한 접근 채널을 가지고 있다.

일본의 통신사업자들은 자기 밥그릇 뺏길까봐 놓치않고 버티는 우리나라 쫌팽이들과는 마인드가 틀린지라 이러한 모바일 사이트 검색기능을 최근에 강화하고 나서고 있다. 소프트뱅크는 모바일용 포털 사이트로 야후재팬에서 서비스와 컨텐츠 등의 전면제공을 받는다는 전략을 표시하고 있다 . 또한 au도 2006년 5월 구글과 제휴를 발표 , 7월
에는 EZweb에 모바일용 컨텐츠 뿐만 아니라 PC용 사이트를 포함한 인터넷 전체를 대상으로 한 구글의 검색엔진을 채용하고 있다 .

도코모는 2006년 7월 리쿠르트 R25식모바일 , 라쿠텐I nfoseek모바일 , 마이크로소프트MSN서치 , 비트레이팅 F★ROUTE , 디지널스트리드 OH!NEW? , 웹듀재팬 CROOZ! ,라이브도어 케타이 l i vedoo r , 시에이모바일 SeafTyy , NTT레조넌트 모바일goo의 9사 9서비스와의 제휴를 발표 , 공식메뉴 iMemu에서 2006년 10월부터 검색서비스를 개시했다 .

유선에서 점차로 쓰러져가는 야후가 모바일 검색에 사활을 거는 시장이 바로 이러한 시장이다. 최근 LGT와 제휴를 했는데 야후가 국내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통신사업자가 중요한 것이 아니고 이러한 다양한 Walled Garden 밖의 컨텐츠 사이트가 발전을 해야 한다. SKT와 구글의 동거역시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이러한 사이트가 발전할 수 있는 국내 여건은.... 쉽지가 않다. 역시 첫번째 스텝으로는 대형 기업들의 마케팅 활용 사이트가 되어야 하는데.. 그러한 Needs는 있으나 과금, 무선 인터넷 패킷 요금제, UID 등 넘어가야할 산이 많다...
2007/07/03 10:52 2007/07/03 10:52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J.D. Power and Associates가 2007년 5월 30일날 발표한 "2007 US Wireless Mobile Phone Evaluation Study"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소비자들의 휴대폰 만족도에서는 Motorola와 SANYO가 공동으로 1위를 차지했다. Motorola는 디자인과 기능요소에서, SANYO는 조작성과 배터리 기능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사용자들의 휴대폰 중요도는 Physical design(24%), Operation(22%), Features(20%), Handset Durability(19%), Battery function(15%)으로 지적했다. 이 보고서는 매년 이루어지는 보고서인데 이 순위는 거의 바뀌지 않는다. 심지어 %도 거의 변동이 없다. 참고로 2005년의 조사에서는 LG와 SANYO사 공동으로 1위를 차지한 적이 있다.

보고서의 다른 내용을 살표보자면 소유하고 있는 핸드폰의 형태는
* Clamshell - 69%
* Candy-bar - 29%
* Slider - 2%

자주 사용하는 핸드폰의 기능은
* Speakerphone - 51%
* Camera - 35%
* SMS/Text Messaging - 22%
* Games - 16%

으로 나타났다. 이 보고서는 보유하고 있는 핸드폰을 구입한지 2년 미만의 미국 무선 전화기 사용자 21,520명으로 부터 설문 조사하여 발표가 되었으며, 설문조사는 2006년 10월부터 2007년 2월까지 시행이 되었다.
2007/06/21 13:16 2007/06/21 13:16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LG 전자가 명품 브랜드라는 컨셉 하에 출시한 "PRADA"폰이 오늘 스포츠서울에 무참히 씹히는 굴욕을 당하였다.

프라다폰을 이야기 할려면 국내 업체들의 해외 전략에 대해서 이야기 안할 수가 없다.
국내 업체들의 초기 해외 전략은 저가전략이었다. 초반에는 먹혔던 이 전략이 요즘에 와서는 이래저래 고민이 많아지기 시작한다. 사정이 어려워진 부동의 1위 "Nokia"역시 저가정책이라는 타이틀로 시장을 공략하고, 1위가 그렇게 하자 GSM에서 목에 힘주던 모토롤라와 소니에릭슨까지 저가를 공략하기 시작한다. 이는 휴대폰 시장의 포화와 업체간 경쟁력 심화, 기술의 평준화, 그리고 동남아와 인도 등의 신흥시장의 성장 등이 원인이다.

대부분의 국내 제품등이 아직까지는 저가 정책이 먹히는데 반해서 휴대폰 시장은 여의치가 않다. 물론 LG전자의 경우 GSMA의 3G 휴대폰 단독 업체로 선정되어서 저가 3G 시장에서 힘을 좀 쓸 것도 같고, 삼성전자 역시 인도현지공장을 설립하여 저가 단말기 생산에 집중하려고 하지만 전반적인 상황은 그리 밝지는 않다.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저가의 가장 큰 메리트인 가격에 있다. 우리나라 핸드폰 제품의 가격을 아무리 낮춰봐야 기본적으로 들어가는 금액이 있다. 그중에 가장 큰건 GSM등에 들어가는 로얄티와 BB, RF 등과 같은 핵심 Chipset의 구입비용이다. 결국 원천기술이 부족한 태생적인 한계로 인해 가격 경쟁력에서 밀릴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러한 위기감에서 시작된 전략이 프리미엄 전략이다. 삼성이 밀고 있는 프리미엄 슬림도 이러한 맥락이고 LG전자의 초코렛폰과 이번 프라다폰이 역시 이러한 전략에서 나온 제품이다. 삼성의 전략과 LG의 전략은 둘다 디자인에 치중하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상세 전략은 확연히 구별된다. 삼성은 슬림이라는 대명제하에 여러 모델을 이어가고 있지만 LG전자는 제품 모델 하나하나에 치중한다. 초코렛폰 이후에 이렇다할 히트작이 한동안 뜸했다가 이번에 프라다폰이 나온 것이 이러한 이유이다.

유럽에서 프라다폰이 나오자마자 모조리 팔렸는데 이것은 프라다의 브랜드탓인지 LG전자의 브랜드탓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판매는 했으나 그에 맞는 사용 후기와 이러한 모델을 LG전자가 계속 이어갈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 유럽에서 판매된 GSM 프라다폰과 LGT에서만 판매되는 국내 CDMA는 스펙상 차이가 있다. 실제 유럽에서는 위의 기사와 같은 불만이 그렇게 많이 보이지는 않지만 정작 안방에서 이러한 기사가 실렸다는것은 LG 전자로서는 타격이 크다. 해외 전략과 국내 전략이 반드시 같을 필요는 없으나 안방에서 "프리미엄"브랜드에 문제가 있는 제품을 내주고 이러한 리뷰가 진행이 된다면 해외에서도 똑같은 평가를 받을 것이다.

안에서 좋은 제품과 평가를 받아야 바깥에서도 대접 받는 법이다. LG전자는 항상 20% 부족하다.
2007/06/12 19:14 2007/06/12 19:14
비밀방문자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Lampard

해외/국내 이슈로는 생각해보지 못했는데..
만약 지금 이슈화된 문제가 국내 '프라다'폰에서만 발생되는 거라면 더욱 좌절스러울듯 하네요.

비밀방문자

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

아이바

국내 '프라다'만의 이슈가 맞긴 합니다만 (어차피 칩도 다르고 거의 새로 생산해서 조립해야 되니) 통상 2% 가량의 초기불량율을 가지고 마치 98%인것마냥 이슈화시킨 기사도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그동안 나왔던 기사들은 평가가 그럭저럭 좋은데 이것만 유독 악의가 보이네요. 이런 식이라면 세상에 모든 폰이 '치명적'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앗싸뵹

국내 제조사들이 고민이 많은게...
자기 마음대로 좀 해보고 싶은데, 국내에 단말을 내려면
이통사의 요구를 만족시켜야 하는게 스트레스죠.
프라다랑 소프트웨어 UI 디자인을 아무리 잘해두어도,
Nate키를 눌러 나오는 화면은 완전 이질적인 화면이니까요..
Full-LCD를 써야 하는 프라다폰과 기존 nate 화면 구성의 이질감도 문제지만, 억지로 억지로 끼워맞춰서 단말을 출시해도 이에 따른 안정성 문제도 골치거리구요..

mobizen

앗싸뵹님~ 폰쪽에 종사하시나요? 반갑습니다.
언급해주는 말씀은 다 맞는 말씀입니다.
다만, 언급해주신 앗싸뵹님은 아시겠지만 혹시 모르는 제 3자를 위해서 언급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말씀하시는 문제가 정말 국내에만, 국내 제조사만의 문제인지 입니다.
저도 포팅이나 그나마 다른 나라의 시장에 대해서 접할 기회가 많은 위치입니다만 그 정도의 차이가 있지 상황은 어느 나라나 다르지 않습니다.
또한 이통사의 입장에서 벤더의 입장을 고려하며 요구를 만족시키는 것 역시 쉽지가 않습니다.이통사 관계자들과의 새로운 서비스에 대해서 이야기 할 때마다 나오는게 벤더들을 어떻게 설득시키냐 입니다.
다시 말씀 드리지만 앗싸뵹님의 말씀이 틀리다는 것이 아니라 다 각자의 위치에서만 보고 제각기의 목소리만 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

뭐... 제 포스팅하고는 좀 동떨어진 이야기네요~
가끔 들리셔서 의견 주시고 틀린 내용있으면 지적해주시기 바랍니다.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인터넷으로 핸드폰을 파는 가장 큰 사이트 중에 하나인 Wirefly에서 발표한 자료이다. 자사 사이트에서 판매했던 자료로만 Rank를 주었기 때문에 아주 공신력있는 데이타라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겠지만 참고 자료 정도로는 충분하다.

1. Motorola RAZR (all colors)
2. BlackBerry Pearl (all colors)
3. LG Chocolate (all colors)
4. Samsung A900M
5. Motorola i850
6. Motorola Buzz ic502
7. Sanyo Katana (all colors)
8. Sony Ericsson w810i
9. Nokia 5300 XpressMusic
10. Motorola v325i

RAZR가 나온지 시간이 조금은 흘렀지만 아직도 1위를 하고 있다. 상위 랭크 폰모델을 보면 누구나 알겠지만 핸드폰의 구매포인트는 화려한 기능이나 획기적인 Application이 영향을 주지 않는다. 누가 뭐래도 중요한 Keyword는 "Design" 이다. Wirefly의 대표이사 Brian Westrick는 이렇게 이야기를 한다. " Looking pretty is the biggest selling point." 아무도 부인은 못할 듯~

2007/05/28 17:20 2007/05/28 17:20
ZiA

오늘의 유머라는 사이트로 담아갈게요 ^.^
나중 되서라도 담아가는게 불편하시다 하심 말씀해 주세요.. ㅎㅎ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각사 IR 자료를 바탕으로한 영업이익률 표이다. 영원한 1위 노키아는 변함이 없고 소니에릭슨에 빼았겼던 2위 자리를 삼성전자가 탈환을 하였다. 반면에 모토로라는 심각하다. 2006년 4분기부터 급하락세를 보이더니 급기아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뿌리는데로 거둔다더니 투자를 적게 하고 구조조정 소리가 들리더니 결과가 매우 좋지가 않다.
모토로라의 슬럼프는 당분간 지속이 될 전망이다.
반면에 LG전자는 지속적인 성장세를 꾸준히 보이고 있다. 프라다폰의 영향도 무시를 못할 것 같다.
2007/05/15 17:45 2007/05/15 17:45
베짱이

프라다폰의 영향은 무시하셔도 되지요..

mobizen

프라다폰이 가지는 의미는 실제 판매대수의 문제가 아닙니다.
2007년도에 가장 비싼 폰이더군요(현재까지..)
그 자체로 인한 브랜드 가치의 상승입니다.
저가 일색으로 해외를 공략하던 국내 폰 업체들이 지금까지의 판매방식으로 생존했습니다만, "신흥 시장의 저가폰 VS. 고가폰 시장 비중"이라는 포스트에서도 이야기 했듯이 요근래 Trend는 가격보다는 디자인과 기능에 사용자들이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LG전자가 그동안 싼맛이라는 브랜드의 이미지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액션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외국 모바일 기사에서도 굉장히 많이 회자되고 있는 것은 잘 아실테구요. 이러한 브랜드 이미지의 상승을 무시할 수 있을까요? 전 아니라고 보는데요..

Loudness

LG의 단점?이었던 디자인의 한계성과 브랜드 가치를 프라다폰으로 원샷에 업그레이드 시킬수있었던점이 가장 크다고할수있죠.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사용자 삽입 이미지
SMS가 이제는 너무나 보편화된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되었다. 저번에 TV에서 보니깐 10대들은 음성통화보다는 SMS를 많이 사용한단다. 하루 사용문자 사용량을 물어보니 하루에 300-500통 정도라고 이야기하는 친구들이 많았고 1000통이라고 대답한 친구들도 있었다.(이러는데 이통사들은 영상통화에 사활을 걸고 있으니 뭔 생각인지.....)

문자를 많이 보내는 만큼 문자를 타이핑하는 속도도 빨라지고 있고, 우리 세대(?)에서 일반화되던 PC에서 누가누가 애국가 빨리 치느냐 류의 게임도 많이 되는 것 같다.
이러한 문자 타이핑 빨리 보내기 대회에서 우승한 지존이 있다.
LG National Texting Championship 대회에서 우승한 Morgan Pozgar는 13세 소녀로서 "supercalifragilisticexpialidocious"이란 단어를 15초만에 오타없이 입력을 하면서 우승을 했다고 한다.

우리나라도 이런 대회 열면 재미있을 듯....
2007/04/25 10:35 2007/04/25 10:35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1865년 펄프, 종이회사로 시작한 조그만 나라 핀란드의 노키아는 1988년 휴대폰 세계시장 점유율 22.9%를 기록하여 그때까지의 부동의 1위인 모토롤라를 제친 후에 1위의 자리를 한번도 놓치지 않은 기업이다. 우리나라의 자랑스런 S전자가 전화기 만드는 공장에 안주하며 국내 이통사 싸움에 박수치며 좋아하고 있을 때에 1위 기업 노키아는 미디어 플랫폼 업체로서의 도약을 꿈꾸고 있다. 올해 이루어진 구조조정과 리눅스 플랫폼의 채택 이후 다시 심비안으로의 집중 등의 갈팡질팡한 모습을 보여주면서도 1위는 뭐가 달라도 다르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는 노키아의 최근 움직임을 플랫폼과 컨텐츠의 입장에서 한번 살펴보도록 하자.


1. 노키아의 플랫폼

노키아는 크게 2가지의 플랫폼을 가지고 있다.

첫번째는 심비안 OS를 기반으로 한 미들웨어 플랫폼 "S60" 이다. S60은 스마트폰 전용 플랫폼으로서 심비안 OS위에서 쉽게 Application을 개발할 수 있는 Tool Kit을 제공한다. 최근에 노키아가 보여주는 S60관련한 이슈는 2가지가 있다.
웹 2.0의 기술을 그래도 S60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S60용 Widget 이 하나이며, 노키아는 이를 "Web Run-Time"이라고 부른다. 이를 이용하여 웹 2.0 개발에서 사용했던 기술 즉, Ajax, Java Script, CSS, html 등을 S60 플랫폼에서 그대로 사용할 수가 있다. 이 기술을 이용하여 웹에 있는 데이타와 폰에 있는 데이타들을 상호 연결 할 수 있다. 폰북이나 캘린더등의 Application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또 다른 하나는 S60 디바이스에서 Open C를 그래로 사용할 수 있게끔 하는 "Oepn C SDK Plug-In" 이다. 이 SDK를 이용하면 심비안 OS는 물론이며 S60 플랫폼에 대한 이해가 전혀 없어도 S60용 Application 개발이 가능하다.
OpenSSL, GNOME, LIBZ와 같은 Open C/C++ 용 프로젝트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라는 것은 개발자에게 가장 친숙한 환경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끔 한 점에서 아주 매력적인 일이다. 현재 Open C SDK Plug-In 에 포함되어 있는 주요 기능은 아래와 같다.

- Headers and libraries of the C libraries (ARMv5, GCCE, WINSW);
- Emulator DLLs;
- Signed SIS package for installing Open C libraries to device;
- Open C API documentation;
- Open C example applications; and,
- libglib sources and LGPL license text file.

노키아가 가지고 있는 두번째 플랫폼은 고사양 게임폰을 개발 할 수 있는 N-Gage이다. 세계 최초의 게임폰이라는 타이틀만큼이나 관심도 벤치마킹 대상이 되었다가 킬러 타이틀의 부재로 인해 실패했던 N-Gage가 노키아의 의지로 2007년 3월 7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한 "Game Developers Conference 2007"을 통해서 새로운 SDK 1.0을 공개하였다. 이번 N-Gage SDK는 정확하게는 첫번째 플랫폼인 S60 SDK에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해도 무리가 없다. 노키아가 N-Gage를 게임 전용폰에서 S60 시리즈 단말로 확장하면서 N-Gage SDK로 개발한 게임은 모두 S60 위에서 실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2. 노키아의 제휴

휴대폰의 기본은 사람과 사람은 연결하는 것이다. 종종 나의 블로그에서 우리나라 소위 수퍼갑인 이통사들의 전략에 대해 자기 혼자 모든 것을 한다고 이야기 한다. 노키아의 브랜드 슬로건은 ‘커넥팅 피플(Connecting People)’ 즉 ‘사람과 사람을 잇는다’ 이다. 노키아 기업의 전략은 기업과 기업을 잇는 것일지도 모른다.
노키아의 특징은 하드웨어 업체로서도 특이하다. 노키아는 디스플레이, 카메라 모듈, MP3 플레이 모듈등의 주요 부품들은 좋은 협력업체와의 관계속에서 얻어내고 그들을 관리하는 아키텍쳐 설계는 노키아에서 담당한다. 그리고 그것들을 아우르는 미들웨어 S60은 자체내에서 개발해 내는 시스템이다. 컨텐츠 사업의 전략에도 노키아의 이러한 모습이 그대로 나타나는데 혼자서 하기보다는 전략적 제휴와 과감한 M&A를 요 근래에 진행 중이다. 노키아의 태생은 컨텐츠나 미디어가 아니므로 이것은 무척이나 현명한 것으로 보인다.

노키아는 NCD(Nokia Contents Discoverer)의 전략을 수립하고 있으며, Open Market 지원을 기본으로 다양한 협력 업체들과의 접촉을 시도하고 있다. 아래는 ROA Group이 2007년 3월에 발표한 노키아의 주요 Partnership 체결 현황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노키아는 네비게이션 시장 확대를 예상하여 Gate 5를 M&A하였고, 음원 사업을 위하여 라우드아이를 인수, 영화 다운로드와 VOD 서비스를 위해서 워너 브라더스와의 협력하기로 하였다. 이번의 새로운 N-Gage 플랫폼을 위하여 핀란드 통신사업자 Elisa와 서비스 테스트를 하기로 하였고 게임의 퍼블리싱은 미국의 Glu Mobile과 파트너쉽을 맺었다. 모바일 블로그 시스템을 위해서는 "Six Apart Ltd"사와 파트너쉽을 체결하였다.
2007/04/24 10:17 2007/04/24 10:17
Posted
Filed under 모바일 일반

예전에 리플로 우리나라 기업의 패턴 중에 이상한 것은 계열사끼리 사이도 안 좋고 협업도 잘 안된다고 이야기 한적이 있는데 거짓은 아니다. 하지만 대기업이 대기업인 이유는 그룹차원에서 조율을 하고 서로의 시너지에 대해서 고민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K 모바일에서 아무리 1위의 아성이 흔들린다고 떠들어봐야 국내 통신 3사 중에 SKT가 1위를 할 수 있는 이유 중에 하나가 이러한 그룹차원에서의 풍부한 자산(asset) 들이다. KT 그룹의 지지부진한 매직엔이나 파란 서비스나 아무것도 없는 LG와 비교하면 SKT는 SK라는 그룹이 보유한 풍부한 asset을 이용할 수가 있다.

SKT는 자사의 Value Chain을 Content, Platform, Network, Terminal 로 규정하고 있으며 향후 유무선 통합과 방송통신 융합 그리고 유비쿼터스 환경에 맞춰 자사의 사업 영역 확대를 위한 다각적인 준비를 수행하고 있다. 이 같은 전략은 비단 SKT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SK그룹 차원의 성장 전략과 매칭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그룹 내 시너지 효과의 극대화를 노리고 있는 것이다.

아래 그림은 SKT의 입장에서 바라본 SK 그룹의 Asset을 정리해 본 그림이다.
회색글의 회사는 예전의 계열회사였으나 M&A로 그룹사에서 분리된 회사들이다. 하지만 아직도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어서 넣어 보았다. 그림을 보면 SK그룹 전략과 그를 활용할 수 있는 SKT의 풍부한 asset을 볼 수 있다.
KTF와 LGT는 이런게 없다. SKT를 절대 넘을 수 없는 가장 중요한 이유 중에 하나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7/04/12 10:46 2007/04/12 10:46
alldaylong

LG는 잘 모르겠고 KTF는 SKT와 같은 value Chain을 서비스로 접근하는것 같습니다. 이미 터미널 사업이나 기타 다른 사업에서 쓴맛을 봤던 경험이 있는지라 SKT 모델을 따라하기는 스스로도 한계를 느낀것 같고, 그래서 나온게 서비스 차원에서 접근해보자고 ICET 라는게 나오지 않았나라는 생각이 드는군요

.

어디서 베끼셨는지는 모르겠는데, SK글로벌은 네트웍스로 개명한지 4년 되었습니다. 제대로 된 정보를 올리시던가 아니면 수정을 하시던가요

mobizen

1.먼저 님 말대로 2003년 9월에 상호를 변경한 것이 맞습니다. 잘못된 점 지적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2.무슨 근거로 베꼈다는 언급을 하셨는지는 모르지만 이번 포스트는 제가 예전에(상호명이 바뀐 즈음이더군요) 만들었던 통신사들의 전략에 대한 문서를 보고 재구성한 내용입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몇가지 사항이 바뀌어서 수정을 했는데 위의 내용은 제가 모르고 지나쳤던 부분입니다. 그 당시 제가 다른 문서를 참고로 했는지는 기억이 안나지만 어떤 문서를 그대로 따서 토시하나 안바꾸고 올리는 그런 스크랩퍼는 절대 아닙니다. 말씀 조심하기 바랍니다.

3.저는 완전한 존재도 유명 블로거도 아닙니다. 잘못된 것에 대한 정보를 지적하거나 서로 다른 의견을 공유하는 것에 대해서 환영입니다. 하지만 아무리 의도가 좋을지언정 말하는 방법이 공손하지 못하면 대부분의 사람은 옳은 지적보다는 말투에 신경이 쓰이는 법입니다.
저도 가끔 다른 분들의 블로그에 가면 잘못된 것을 보고 때로는 말도 안되는 소리에 흥분을 하지만 내 블로그에서 떳떳하게 씹을지언정 당사자의 블로그에는 예의를 갖추어 말합니다. 저의 블로그 주소를 남기는 것은 기본이구요.

4.저 역시 위에서 이야기한 범인에 불구하기에 님의 말투는 재수가 없습니다. 말투가 저한테 한번 당했다가 호시탐탐 실수하기를 기다리다가 한번 잡으신 말투인데 그렇게 해서 생각나는 S모 회사하고..
신대방동 근처에서 거주하는 모양인데 그 동네에 있는 K모 회사하고..
자꾸 떠오르는군요.. 아님 말고...

별을 비추는.

좋은 글 감사합니다. 저 또한 통신 분야에서 일을 하고 있는지라 님과 비슷한 작업을 수행하였습니다. KT 또한 가치 사슬에서 점점 Platform과 Contents에 집중을 하고 있습니다. LGT 또한 준비 중이구요. 점점 향후 통신 시장이 재밋어 질 것 같습니다. 한번 기회된다면 님과 만나서 얘기하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