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의 표는 국내 임베이드 시장 규모를 보여주는 표이다. 2004년 약 52.3억 달러에서 2007년에는 약 69.6억 달러로 연평균 8.9%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부문별 성장률에서 데이터처리 장치와 항공전자 등은 평균보다 낮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가전, 통신, 산업기기와 텔레매틱스 분야는 평균보다 매우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것을 알 수 있다.
국내 성향을 생각해 보면 당연한 듯..
모바일 왕국을 꿈꾸며!!! mobizen@mobizen.pe.kr
국내에서건 해외 수출용이던간에 BREW의 실행파일의 Size 제한은 대부분 존재하게 된다.
(비단 BREW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VM이 마찬가지겠지만 말이다.)
이로 인해 실행용량을 줄이려고 이미지를 압축하고, 갖은 수단을 해보지만..
결국 안될 때는 최후의 수단으로 게임 자체 중의 일부분을 삭제해야 하는 수 밖에 없을때가 있다.
이러한 경우를 위해 실행파일 자체를 압축하는 툴을 소개하고자 한다.
Sophia Compress 툴
이 툴을 안지는 꽤 오래되었는데 국내에서는 다소 생소한 듯 하다.
Sophia에서 제공하는 툴로 mod를 압축하고 나서 Sophia의 실행파일을 실행시킨다.
Sophia의 실행파일은 압축된 mod를 메모리에 해제를 한 후에 메모리의 실행 포인터를 해제된 mod의 address로 연결시킨다.
이론상은 간단하다.. ^^
실제 Trial 버전으로 간단한 테스트를 해본결과 무리없이 작동함을 확인했었다.
2년 전쯤에 국내 BREW용 테스트를 한적이 있냐고 문의를 한적이 있고..
답변은 해본적은 없으나 시간만 주어진다면 문제가 없다고 했었다.
국내 일부 BREW 전문 개발사의 경우에도 이러한 방법을 쓴다고 듣기는 했었다.
가격이 만만치는 않지만 최후의 보루쯤으로 해서 참고할만한 툴이다.
이번 G-Star 게임 전시회에 SKT가 출품을 하기로 하였다.
SKT의 이번 테마는 네트워크...
그래서 전시회 출품이 가능한 컨텐츠의 요청도 네트워크 게임만을 받고 있다.
이통사가 근 4년째 밀고 있다는 네트워크......
시대는 변했고 HSDPA 시대와 다양한 정액제 상품...........
이라곤 하지만 모바일 게임의 발전 방향으로서 네트워크게임이 정말 정답일까?
G-Star에 가서 사용자들이 보고 싶은 모바일 게임이 온라인 비스무리한 시스템헤 한정없이 불편하고 느리고 불안전한 네트워크 게임이란 말인가?
물론 쇼라는게 현실을 반영하는 마케팅 창구가 아니고 미래 지향적이고 새로운 시도에 대한 체험의 장이라는 점은 인정하지만 과연..............??
..................................
언제나 그렇듯, 기존의 틀을 깨고 변화를 하려면 힘이들죠.
이것을 통해 상하간에 좀 더 자유로운 분위기를 만들어 원활한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라는 생각도 들지만....
역시 저의 생각도 무슨 이런 쓸데없는 짓을... 입니다. 이부장님이 이XX님이 되면 퇴근시간이 좀 빨라지려나요? -_-;;
p.s 개인적으로 CJ인터넷 무쟈게 안 좋아합니다. 대온 퍼블리셔 하는 꼴을 보면서 고객을 우습게 아는 저런 회사가 아직도 안 망하고 있는게 신기할 따름입니다.
(뒤에 버티고 있는 회사가 든든해서 그런가? -_-)
구글다운 상상력과 구글다운 서비스이다.
http://www.google.com/codesearch
에 들어가면 사용할 수 있는 이 서비스는 순수 개발관련 소스만을 검색해주는 소스이다.
어지간한 함수와 라이브러리는 거의 다 검색이 된다.
역시나 GNU 관련 소스 검색이 많다만 앞으로 일하는데 기본적인(!!) 검색 도구로 사용하면 좋을 듯 하다. 모바일에서의 C는 플랫폼에 따라 CRT등을 제공안하는 경우가 많으니 C기본 함수를 포팅해서 써야 하는 경우에는 자주 사용할 듯 하다.
아무리 툴이 좋고 정보의 영역이 넓다곤 하지만 진짜로 찾을려고 하는 소스는 찾기 힘든 법이다.
원리를 알고서 그 원리를 적용시키려는 Mind가 먼저일 것이다.
오늘도 하루 종일 하나의 함수 안에서 맴돌다가 시간이 가버렸다.....
내 소스의 문제는 아닌 것 같은데 Extension dll의 문제인가?????
기본적인 개발 문서도 안주는 심보는 뭔가? 해킹해서 쓰란 말인가?
Comments List
시장이고 산업이기 이전에 순수 게임 그 자체를 생각하고 그릴 줄 아는
그런 SKT, 그런 개발사들이었으면 좋겠습니다.
기술과 진보 이전에 순수한열정이 뒷받침 되지 않는 현실이 안타까울 따름이네요.